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근골격계 질환의 통증해부학

근골격계 질환의 통증해부학

(해부학으로 이해하는 근골격계 손상과 통증)

Shintaro Kudo (지은이), 이종하, 전진만 (옮긴이)
신흥메드싸이언스
4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42,750원 -5% 0원
1,350원
41,400원 >
40,500원 -10% 0원
0원
40,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근골격계 질환의 통증해부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근골격계 질환의 통증해부학 (해부학으로 이해하는 근골격계 손상과 통증)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기초의학 > 해부학
· ISBN : 9788964980309
· 쪽수 : 233쪽
· 출판일 : 2013-06-10

책 소개

본서는 질환(또는 손상)의 원인, 증상, 치료를 기능해부학적 도식과 설명으로 쉽게 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그 전개방식을 보면, 먼저 각질환의 증례를 제시하고 관련 질환의 주소, 병력, 치료과정을 소개하여 실제 임상 감각을 갖도록 하였다.

목차

옮긴이 머리말 v

CHAPTER 01 흉곽출구증후군(Thoracic outlet syndrome) 1
1. 상완신경총의 압박부위는 어디인가? 또 압박 조건은 무엇일까? 2
2. 통증과 냉감이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5
3. 어깨처짐(자세불량)과 증상의 관계는? 7
4. 흉곽출구증후군에 대한 재활치료법을 기능해부학적으로 고찰해보자. 8

CHAPTER 02 회전근개손상(Rotator cuff injury) 13
1. 왜 혼자서는 오른손을 들 수 없을까? 14
2. 왜 관절낭면에 회전근개손상이 발생했을까? 16
3. 왜 극하근의 위축이 발생했을까? 18
4. 왜 견갑골면에서 거상위로 고정했을까? 19

CHAPTER 03 견관절 불안정증(Shoulder Instability) 23
1. 어떤 상황에서 견관절이 빠질까? 24
2. 왜 불안감이 발생했을까?―관절순ㆍ관절상완인대의 기능 25
3. 왜 견갑골 지지(alignment)를 시정했을까?? 29 29
4. 불안정을 일으키는 근육은 무엇일까? 30

CHAPTER 04 견관절 주위염(Periarthritis of shoulder) 33
1. 왜 견관절의 위치를 바꾸고 가동범위를 측정했을까? 34
2. 왜 야간통이 발생할까? 36
3. 왜 견봉하낭에 주사를 놓으면 가동범위가 개선될까? 39
4. 왜 통증이 발생했을까? 42

CHAPTER 05 상완골외과골절(Lateral condyle fracture of the humerus) 47
1. 가동범위 제한의 원인은 무엇일까? 48
2. 왜 7년 후에 주관절이 변형했을까? 51
3. 전완마비의 원인과 그 대책은? 51

CHAPTER 06 야구팔꿈치(Little league elbow) 57
1. 왜 주관절 내측에 불안감이 발생할까? 58
2. 왜 주관절 외측에 통증이 발생할까? 62
3. 주관절 외반 부하를 감소시키는 운동요법은? 63

CHAPTER 07 상완골외측상과염(Lateral epicondyle of humerus) 69
1. 컴퓨터 작업과 테니스는 통증과 어떤 관계가 있을까? 70
2. 통증의 원인은? 70
3. 외측상과염과 전완 회선(circumduction) 제한과의 관계는? 74

CHAPTER 08 요골원위단골절(Distal radius fracture) 79
1. 왜 엄지와 검지에 마비가 나타났을까? 80
2. 왜 깁스고정 중에 수지운동을 시행할까? 81
3. 전완 회외 시 척측부통의 원인은?-TFCC 손상 83
4. 수관절 장측부통의 원인은? 85
5. 왜 수관절을 배굴하면 증상이 호전될까? 87

CHAPTER 09 척추압박골절(Vertebral compression fracture) 91
1. 척주 지지(alignment)와 기능 해부 92
2. 왜 하지관절의 피로성이 심해졌을까? 96
3. 왜 요실금이 잦아졌을까? 97
4. 척추압박골절 후 재활치료법에는 무엇이 있을까? 99

CHAPTER 10 대퇴골경부골절(Femoral neck fracture) 105
1. 대퇴골경부골절에서 골절하기 쉬운 부위는? 106
2. 왜 인공골두치환술을 시행했을까? 109
3. 왜 보행 시 고관절 외측부통이 발생할까? 111
4. 왜 외전근력이 개선되면 서혜부 내측의 통증도 개선될까? 112

CHAPTER 11 변형성 고관절증(Coxarthosis) 117
1. 구개형성부전과 변형성 고관절증의 관계는? 118
2. 왜 요통을 합병할까? 118
3. 왜 트렌델렌버그 보행(Trendelenburg's gait)이 나타날까? 120
4. 왜 고관절 가동범위가 제한되었을까? 123

CHAPTER 12 후방십자인대손상(Pos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y) 129
1. 왜 후방십자인대손상이 생길까? 130
2. 왜 슬관절운동 시 후외측부에 통증이 발생할까? 131
3. 보행 시 불안정을 느끼는 원인은? 136

CHAPTER 13 장경인대마찰증후군(Iliotibial band friction syndrome) 139
1. 왜 달리기를 한 뒤 장경인대마찰증후군이 발생했을까? 140
2. 왜 대퇴근막장근이나 대둔근 이완운동을 시행했을까? 143
3. 왜 외측광근의 이완운동 시 장경인대의 통증이 소실할까? 146

CHAPTER 14 반월판손상(Medial injury) 149
1. 반월판을 부분 절제하면 어떤 기능적 문제가 발생할까? 150
2. 왜 반월판을 부분 절제했을까? 153
3. 왜 수술 후 능동운동 시 완전 신전이 불가능할까? 155
4. 왜 계단을 오르내릴 때 슬개대퇴관절의 상외측부에 통증이 나타날까? 157

CHAPTER 15 전방십자인대손상ㆍ내측측부인대손상(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y & ulnar collateral ligament injury) 159
1. 전방십자인대의 구조와 기능은? 160
2. 왜 굴곡 시 대퇴골 내측과에 통증이 발생할까? 162
3. 왜 축이동검사(pivot-shift test)에서 양성을 보일까? 164
4. 불안정성을 대신하는 근은 무엇일까? 164

CHAPTER 16 변형성 슬관절증(Gonarthrosis) 169
1. 슬관절전치환술(TKA)의 수술 진입은? 170
2. TKA 후 발생한 슬관절 후내측부 통증의 원인은? 171
3. TKA 후 나타난 지각이상의 원인은? 174
4. 내측광근 경사섬유의 위축이 회복되지 않는 이유는? 176

CHAPTER 17 전거비인대손상(Anterior talofibular ligament injury) 179
1. 왜 전거비인대는 손상되기 쉬울까? 180
2. 왜 전거비인대에 압통이 발생할까? 181
3. 왜 도약 동작에서 하퇴 전경이 제한될까? 183
4. 왜 족관절 전면에 통증이 발생할까? 184
5. 불안정성을 대신하는 근육은 무엇일까? 186

CHAPTER 18 족저건막염(Heel spur syndrome) 191
1. 족저건막의 구조는? 192
2. 종골 부착부 통증의 발생기전은? 194
3. 족저건막염에 대한 운동요법은? 196

CHAPTER 19 외반무지(Hallux valgus) 201
1. 왜 외반무지가 될까? 202
2. 왜 전족부에 통증이 발생할까? 204
3. 외반무지에 대한 운동요법은? 207

CHAPTER 20 족근관증후군(Tarsal tunnel syndrome) 213
1. 왜 내측복사 후하방에서 족저면에 통증이 발생할까? 214
2. 족근관증후군이 발생하는 원인은? 217
3. 족근관증후군에 효과적인 운동요법은? 219

찾아보기 225

저자소개

이종하 (옮긴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재활의학과 전문의, 한국도핑방지위원회 TUE 심사위원, 경륜경정 TUE 심사위원, KBO 도핑자문위원, 대한보디빌딩협회 도핑방지위원장이다. 경희대학교 의대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태릉선수촌 의무실장, 아틀란타 · 시드니 올림픽 한국선수단 주치의, 대한체육회 의무분과위원, 대한축구협회 의무분과위원, KBO(한국야구위원회) 반도핑위원회 위원장, 평창 올림픽 의무전문위원을 역임하였다. 공저서로 『물리의학과 재활』이 있으며, 공역서로 『근육평가를 통한 자세교정 및 통증치료』 『요가 아나토미』 『스트레칭 아나토미』 『사이클링 아나토미』 『골프 아나토미』 『수영 아나토미』 『댄스 아나토미』 등이 있다.
펼치기
전진만 (옮긴이)    정보 더보기
경희의료원 임상 조교수, 재활의학과 전문의, 경희대학교 의대를 졸업, 같은 대학에서 석사를 취득하였으며, 현재 같은 대학 박사과정 중이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