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전략/혁신
· ISBN : 9788965640455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12-06-01
책 소개
목차
감사의 글 | 한국의 독자들에게 보내는 글 | 옮긴이 서문
서장
1장 선도 사용자를 통한 제품 개발 사용자들이 혁신의 주체가 되다● 선도 사용자 이론● 선도 사용자의 혁신 사례● 토론
2장 사용자들이 주문 생산품을 선호하는 이유 각자 다른 것을 꿈꾸는 사용자들● 토론
3장 혁신이냐 구매냐 혁신의 기회에 대한 사용자와 제조자의 관점 차이● 어떤 해결책을 더 선호하는가?● 구매만 하는 사용자와 제품을 만드는 사용자의 기대 차이● 제조자에게 더욱 엄격한 법적 규제● 최종 결과● 사용자의 혁신-구매 결정 모델링● 혁신 과정에 참가해 얻는 효용
4장 사용자의 저비용 혁신 틈새 문제 해결 과정● 정보 비대칭이 사용자 혁신과 제조자 혁신에 미치는 영향● 저비용 혁신 틈새● 토론
5장 왜 혁신을 무상으로 공개할까? 무상 공개의 증거● 무상 공개의 실용성● 무상 공개와 재사용● 이론적 고찰
6장 혁신 공동체 사용자 혁신은 널리 퍼져 있다● 혁신 공동체● 혁신 공동체가 개발한 실제 제품들● 사용자들의 협력
7장 사용자 혁신을 위한 정책 변화 사용자 혁신의 사회복지 효과● 공공 정책의 결정
8장 혁신의 민주화 민주화의 트렌드● 성공의 필수 조건: 사용자 중심의 혁신에 적응하기● 사용자 중심의 혁신에서 제조업체의 역할● 토론
9장 선도 사용자 혁신의 탐색 선도 사용자의 탐색● 3M의 실험● 토론
10장 사용자 혁신과 맞춤형 제품 설계를 위한 툴킷 툴킷의 유용성● 개발 업무의 재분할● 툴킷의 기능성● 토론
11장 사용자 혁신과 다른 분야의 연계성 정보 공동체● 지식 경제학● 국가의 경쟁 우위● 기술 공동체의 사회학● 제품 개발의 관리● 결론
미주 | 참고문헌 | 찾아보기
책속에서
“혁신의 민주화란 무엇인가? 이 책에서 혁신이 민주화되고 있다는 것은 제품과 서비스의 사용자들(개인 소비자와 기업)이 스스로 혁신을 지속적으로 해나갈 수 있다는 뜻이다. 사용자 중심의 혁신 과정은 수백 년간 상업의 대들보 역할을 해온 생산자 중심의 혁신 개발 시스템에 비해 수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사용자들은 자신들을 대신해서 생산자들이 혁신을 일으키는 것에 의지하는 대신, 스스로 혁신함으로써 자신들이 원하는 것을 100% 얻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중심의 혁신 과정에서는 다른 사람들이 개발한 여러 혁신의 결과물들을 공유할 수 있기 때문에, 개인 사용자들은 자신들이 필요로 하는 모든 것을 혼자 개발하지 않아도 된다.”
“참신한 제품이나 서비스의 생산은 개발자들의 역할이라는 생각은 학계나 일반인에게 익숙하다. 상품의 사용자인 우리는 기존에 존재하는 상품의 문제점들을 발견하거나 새로운 상품이 나오길 바랄 때 ‘누군가’가 이걸 개발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우리 스스로는 아니라는 말이다. 뿐만 아니라 개인 사용자들을 지칭하는 ‘소비자’라는 기존의 용어는 사용자들이 제품이나 서비스 개발 과정에 적극적인 주체가 아니라는 것을 암시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용자 기업과 일반 개인 사용자 모두는 곳곳에서 빈번하게 제품을 개발하거나 수정하고 있고, 그 효과가 중요하다는 것을 잘 보여주는 실증 결과들이 있다.”
“사람들을 트렌드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면 중요한 트렌드에서 앞서 있는 사람들이 오늘 (혹은 올해) 겪고 있는 필요를 시장의 다수 사용자가 내일 (혹은 내년에) 겪게 될 것이다. 따라서 선도 사용자들이 자신의 필요를 해결하기 위해 스스로 개발하고 수정한 상품에 다수의 사용자들이 향후에 매력을 느끼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