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컴퓨터 공학 > 정보통신공학
· ISBN : 9788966183203
· 쪽수 : 552쪽
· 출판일 : 2012-02-03
목차
Part I 가치 제안의 검토
Chapter 1 클라우드 컴퓨팅의 정의
1.1 클라우드 컴퓨팅의 정의
1.2 클라우드 컴퓨팅의 종류
1.2.1 NIST 모델
1.2.2 클라우드 큐브 모델
1.2.3 배치 모델
1.2.4 서비스 모델
1.3 클라우드 컴퓨팅의 장단점
1.3.1 패러다임의 전환
1.3.2 클라우드 컴퓨팅의 장점
1.3.3 클라우드 컴퓨팅의 단점
1.4 공개 표준의 역할에 대한 평가
1.5 요약
Chapter 2 가치 제안의 평가
2.1 클라우드 컴퓨팅의 가치 산정
2.1.1 얼리어댑터와 새로운 애플리케이션
2.1.2 클라우드노믹스의 법칙
2.1.3 클라우드 컴퓨팅의 장애물
2.1.4 클라우드 컴퓨팅 선택과 관련한 행동경제학 요소
2.1.5 클라우드 컴퓨팅의 비용 산정
2.2 설비 투자의 절감
2.2.1 적정화
2.3 소유권의 총 비용 계산
2.4 서비스 수준 협약서
2.5 라이센싱 모델
2.6 요약
Chapter 3 클라우드 아키텍처
3.1 클라우드 컴퓨팅 스택
3.1.1 구성 능력
3.1.2 인프라
3.1.3 플랫폼
3.1.4 가상 기구
3.1.5 통신 프로토콜
3.1.6 애플리케이션
3.2 클라우드 서비스로의 연결
3.2.1 Jolicloud 넷북 OS
3.2.2 Chromium OS
3.3 요약
Chapter 4 형태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와 애플리케이션
4.1 Infrastructure as a Service
4.1.1 IaaS 작업 부하
4.1.2 포드, 집합체, 사일로
4.2 Platform as a Service
4.3 Software as a Service
4.3.1 SaaS의 특성
4.3.2 Open SaaS와 SOA
4.3.3 Salesforce.com의 CRM SaaS
4.4 Identity as a Service
4.4.1 ID의 정의
4.4.2 네트워킹 ID 서비스 등급
4.4.3 행동의 ID 시스템 코드
4.4.4 IDaaS 상호운용 가능성
4.5 Compliance as a Service
4.6 요약
Part II 클라우드 플랫폼의 이용
Chapter 5 추상화와 가상화
5.1 가상화 기술
5.2 로드밸런싱과 가상화
5.2.1 고급 로드밸런싱
5.2.2 구글 클라우드
5.3 하이퍼바이저
5.3.1 가상머신의 종류
5.3.2 VMware vSphere
5.4 머신 이미지
5.5 애플리케이션 이식
5.5.1 Simple Cloud API
5.5.2 AppZero Virtual Application Appliance
5.6 요약
Chapter 6 수용량 설계
6.1 수용량 설계
6.2 기준치와 측량
6.2.1 기준치 측정
6.2.2 시스템 측량
6.2.3 부하 테스트
6.2.4 자원 상한
6.2.5 서버와 인스턴스 형태
6.3 네트워크 수용량
6.4 크기 조정
6.5 요약
Chapter 7 Platform as a Service
7.1 PaaS의 정의
7.1.1 Salesforce.com VS Force.com
7.1.2 애플리케이션 개발
7.2 PaaS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7.2.1 Drupal
7.2.2 Eccentex AppBase 3.0
7.2.3 LongJump
7.2.4 Squarespace
7.2.5 WaveMaker
7.2.6 Wolf 프레임워크
7.3 요약
Chapter 8 구글 웹 서비스
8.1 구글 애플리케이션
8.2 구글 애플리케이션 포트폴리오 조사
8.2.1 인덱스 검색
8.2.2 다크 웹
8.2.3 통합과 탈금융 중개화
8.2.4 생산성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8.2.5 엔터프라이즈 서비스
8.2.6 애드워즈
8.2.7 구글 웹 로그 분석
8.2.8 구글 번역
8.3 구글 도구 모음
8.3.1 구글 API
8.4 구글 앱 엔진
8.5 요약
Chapter 9 아마존 웹 서비스
9.1 아마존 웹 서비스
9.2 아마존 웹 서비스 구성
9.3 Elastic Compute Cloud
9.3.1 아마존 머신 이미지
9.3.2 가격 모델
9.3.3 시스템 이미지와 소프트웨어
9.3.4 EC2에 계정과 인스턴스 생성
9.4 아마존 저장장치 시스템
9.4.1 Simple Storage System
9.4.2 Elastic Block Store
9.4.3 CloudFront
9.5 아마존 데이터베이스 서비스
9.5.1 SimpleDB
9.5.2 Relational Database Service
9.5.3 아마존 웹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선택
9.6 요약
Chapter 10 마이크로소프트 클라우드 서비스
10.1 마이크로소프트의 클라우드 서비스
10.2 윈도우 애저 플랫폼
10.2.1 소프트웨어 플러스 서비스
10.2.2 애저 플랫폼
10.2.3 윈도우 애저 서비스
10.2.4 윈도우 애저 AppFabric
10.2.5 애저 콘텐츠 전달 네트워크
10.2.6 SQL 애저
10.2.7 윈도우 애저 비용
10.2.8 윈도우 라이브 서비스
10.3 윈도우 라이브
10.3.1 윈도우 라이브 필수 패키지
10.3.2 윈도우 라이브 홈
10.3.3 모바일을 위한 윈도우 라이브
10.4 요약
Part III. 클라우드 인프라 분석
Chapter 11 클라우드 컴퓨팅 관리
11.1 클라우드 컴퓨팅 관리
11.1.1 관리 책임
11.1.2 생명주기 관리
11.2 클라우드 관리 제품
11.3 최신 클라우드 컴퓨팅 관리 표준
11.3.1 DMTF 클라우드 관리 표준
11.3.2 클라우드 커먼과 SMI
11.4 요약
Chapter 12 클라우드 컴퓨팅의 보안 유지
12.1 클라우드 컴퓨팅 보안
12.1.1 보안 경계
12.1.2 보안 서비스 경계
12.1.3 보안 매핑
12.2 데이터 보안
12.2.1 중개되는 클라우드 저장장치 접속
12.2.2 저장장치의 위치와 차용
12.2.3 암호화
12.2.4 보안 감사와 보안 규정 준수
12.3 ID와 프레즌즈의 수립
12.3.1 ID 프로토콜 표준
12.3.2 윈도우 애저 ID 표준
12.3.3 프레즌즈
12.4 요약
Part IV 서비스와 애플리케이션의 이해
Chapter 13 서비스 지향 아키택처
13.1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
13.1.1 이벤트 주도 SOA와 SOA 2.0
13.1.2 엔터프라이즈 서비스 버스
13.1.3 서비스 카탈로그
13.2 SOA 통신
13.2.1 비즈니스 프로세스 실행 언어
13.2.2 비즈니스 프로세스 모델링
13.3 SOA 관리와 모니터링
13.3.1 SOA 관리 도구
13.3.2 SOA 보안
13.3.3 오픈 클라우드 컨소시엄
13.4 SOA와 클라우드 컴퓨팅
13.5 요약
Chapter 14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
14.1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
14.1.1 기능 매핑
14.1.2 애플리케이션 속성
14.1.3 클라우드 서비스 속성
14.1.4 시스템 추상성
14.1.5 클라우드 버스팅
14.2 애플리케이션과 클라우드 API
14.3 요약
Chapter 15 클라우드 저장장치
15.1 디지털 유니버스 측정
15.1.1 디지털 유니버스에서의 클라우드 저장장치
15.1.2 클라우드 저장장치의 정의
15.2 클라우드 저장장치
15.2.1 언매니지드 클라우드 저장장치
15.2.2 매니지드 클라우드 저장장치
15.2.3 클라우드 저장장치 시스템 생성
15.2.4 가상 저장장치 컨테이너
15.3 클라우드 백업 솔루션
15.3.1 백업 형태
15.3.2 클라우드 백업 기능
15.3.3 클라우드 첨부 백업
15.4 클라우드 저장장치 상호운용성
15.4.1 클라우드 데이터 관리 인터페이스
15.4.2 오픈 클라우드 컴퓨팅 인터페이스
15.5 요약
Chapter 16 생산성 소프트웨어
16.1 생산성 소프트웨어
16.1.1 생산성 소프트웨어의 특징
16.2 클라우드 오피스 소프트웨어
16.2.1 Acrobat.com
16.2.2 Glide Digital
16.2.3 구글 문서도구
16.2.4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웹 앱스
16.2.5 ThinkFree Office
16.2.6 Zoho Office Suite
16.3 요약
Chapter 17 웹 메일 서비스
17.1 클라우드 메일 서비스
17.1.1 구글 Gmail
17.1.2 Mail2Web
17.1.3 윈도우 라이브 핫메일
17.1.4 야후! 메일
17.2 신디케이션 서비스
17.2.1 RSS와 아톰 프로토콜
17.2.2 뉴스 리더
17.2.3 뉴스 수집기
17.3 요약
Chapter 18 클라우드 컴퓨팅과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18.1 인스턴트 메시징
18.1.1 인스턴트 메시징 클라이언트
18.1.2 인스턴트 메시징 상호운용성
18.1.3 마이크로 블로그와 단문 메시지 서비스
18.2 공동 작업 소프트웨어
18.3 소셜 네트워크
18.3.1 소셜 네트워크 기능
18.3.2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 목록
18.3.3 개인 정보 보호와 보안
18.3.4 상호작용과 상호운용성
18.4 요약
Chapter 19 미디어와 스트리밍
19.1 스트리밍 프로세스
19.1.1 사용되는 프로토콜
19.1.2 스트리밍에 대한 클라우드 컴퓨팅의 장점
19.2 오디오 스트리밍
19.3 VoIP 애플리케이션
19.3.1 스카이프
19.3.2 구글 보이스와 구글 토크
19.4 비디오 스트리밍
19.4.1 클라우드 안에서의 TV
19.4.2 스트리밍 비디오 포맷
19.4.3 유투브
19.5 요약
Part V 모바일 클라우드 컴퓨팅의 이용
Chapter 20 모바일과 클라우드 컴퓨팅
20.1 모바일과 클라우드 컴퓨팅의 상관 관계
20.1.1 모바일과 클라우드 컴퓨팅의 연결
20.1.2 모바일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
20.1.3 피처폰과 클라우드 컴퓨팅
20.2 클라우드 컴퓨팅과 스마트폰
20.2.1 안드로이드
20.2.2 아이폰
20.2.3 블랙베리
20.2.4 심비안
20.2.5 윈도우 모바일
20.3 요약
Chapter 21 모바일 웹 서비스
21.1 모바일 웹 서비스 형태
21.1.1 모바일 상호운용성
21.2 서비스 검색 수행
21.2.1 컨텍스트 인식 서비스
21.2.2 MEMS
21.2.3 위치 인식
21.2.4 푸시 서비스
21.2.5 블랙베리 푸시 서비스
21.2.6 레모네이드 프로파일
21.3 SMS 사용하기
21.4 WAP 프로토콜
21.5 동기화
21.6 요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