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의미론/화용론
· ISBN : 9788967640255
· 쪽수 : 516쪽
· 출판일 : 2013-06-24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부 국어의 의미 연구 동향
국어의 의미 연구 동향
1. 박사 학위 연구 동향 2. 석사 학위 연구 동향
체언의 의미 연구 동향
1. 서론
2. 의미 관계에 대한 연구
2.1 유의 관계에 대한 연구 2.2 반의 관계에 대한 연구
2.3 의미 파생 관계에 대한 연구
2.3.1 신체어의 의미 파생 관계에 대한 연구
2.3.2 호칭어의 의미 파생 관계에 대한 연구
2.3.3 공간어의 의미 파생 관계에 관한 연구
2.3.4 신어의 의미 파생 관계에 대한 연구
2.3.5 의미 파생 원리에 대한 연구
3. 의미 대조에 대한 연구 4. 의미 변화에 대한 연구
5. 기타 연구
6. 결론
용언의 의미 연구 동향
1. 서론
2. 동일선상에서 본 제3시기(2005~2011) : 인지적 접근 방법의 활성화
2.1. 의미 관계에 따른 연구
2.1.1. 유의 관계에 대한 연구 2.1.2. 반의 관계에 대한 연구
2.1.3. 다의 파생 관계에 대한 연구
2.2 낱말밭 관련 연구 2.3 의미망 구축 관련 연구
2.4. 개념화 양상 관련 연구
3. 결론
수식언의 의미 연구 동향
1. 서론
2. 관형사의 의미 연구
3. 부사의 의미 연구
3.1. 전체 부사의 의미 연구
3.2. 개별 부사의 의미 연구
3.2.1. 성상 부사의 의미 연구 3.2.2. 상징 부사의 의미 연구
3.2.3. 지시 부사의 의미 연구 3.2.4. 양태 부사의 의미 연구
4. 결론
접사의 의미 연구 동향
1. 서론
2. 접사의 의미 연구 동향
2.1. 개별 접사의 의미 연구 2.2. 접사의 의미 분류 연구
3. 결론
조사의 의미 연구 동향
1. 서론
2. 조사의 의미 연구 동향
2.1. 격조사 2.2. 보조사
3. 결론
어미의 의미 연구 동향
1. 서론
2. 본론
2.1. 제6기(2005~2008): 관형형 전성어미의 연구 시도
2.1.1. 어말 어미의 연구 2.1.2. 선어말어미의 연구
2.2. 제7기(2009~ ): 어미 연구 범위의 전반적인 확대
2.2.1. 어말 어미의 연구 2.2.2. 선어말어미의 연구
3. 결론
문장의 의미 연구 동향
1. 서론
2. 본론
2.1. 문장 2.2. 구문
2.3. 관용어 2.4. 상
2.5. 연어 2.6. 명사구 구성
3. 맺음말
발화의 의미 연구 동향
1. 서론
2. 담화 연구
2.1. 담화 분석 2.2. 화행 분석
3. 텍스트 연구
4. 결론
제2부 국어 의미론 학위 논문 해제
[박사 학위 논문] 체언 [석사 학위 논문] 체언
[박사 학위 논문] 용언 [석사 학위 논문] 용언
[박사 학위 논문] 수식언 [석사 학위 논문] 수식언
[박사 학위 논문] 접사 [석사 학위 논문] 접사
[박사 학위 논문] 조사 [석사 학위 논문] 조사
[박사 학위 논문] 어미 [석사 학위 논문] 어미
[박사 학위 논문] 문장 [석사 학위 논문] 문장
[박사 학위 논문] 발화 [석사 학위 논문] 발화
제3부 국어 의미론 학위 논문 목록
연도별 목록 저자별 목록
제4부 2005년 판 학위 논문의 국어 의미 연구 경향보완
연도별 논문 목록 저자별 논문 목록
보완한 논문 차례
저자소개
책속에서
국어의 의미 연구 동향
2005년부터 2011년까지 이루어진 국어 의미 연구와 관련된 학위 논문은 박사 학위 논문이 43편, 석사 학위 논문이 121편으로 총 164편이다. 각각의 논문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체언, 용언, 수식언, 접사, 조사, 어미, 문장, 발화)을 기준으로 헤아리면 중복 수치를 기준으로 박사 학위 논문은 53편, 석사 학위 논문은 137편으로 총 190편에 달한다. 아래에 기술될 학위별 연구 동향에서 학위 논문 편수의 합계가 다른 것은 이와 같은 데에서 말미암은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