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의미론/화용론
· ISBN : 9788968170683
· 쪽수 : 537쪽
· 출판일 : 2013-10-10
목차
머리말
국어의 다의 분석과 사전 기술 | 최호철
1. 머리말
2. 국어 어휘의 다의 분석
2.1. 형태 ‘먹다’의 단의
2.2. 어소 {먹다}의 의소
2.3. 어소 {먹다1}의 이의 분류
2.4. 어소 {먹다1}의 이의 실현 양상
3. 국어 사전 기술
4. 맺음말
|참고문헌|
하강 이동 동사 ‘내리다’와 ‘추락하다’의 의미 분석 | 김혜령
1. 서론
1.1. 연구의 목적 및 의의
1.2. 대상 어휘의 선정
1.3. 선행 연구
2. 의미 분석
2.1. 의미 분석의 과정
2.2. 개별 동사의 의미 분석
3. 의미 관계
3.1. 의미 자질 표시
3.2. 의미 관계
4. 결론
|참고문헌|
상하 공간어의 의미 연구 | 백형주
1. 서론
1.1 연구 목적 및 의의
1.2. 대상 어휘 선정
1.3. 선행 연구
2. 의미 분석
2.1. 분석기준
2.2. 어휘별 의미 분석
3. 의미 관계
3.1. 의미 자질
3.2. 의미 관계
4. 결론
|참고문헌|
명사 ‘바닥’의 의미 분석과 의미 관계 | 황림화
1. 서론
2. 의미 분석
2.1 명사의 의미 분석 기준
2.2 ‘바닥’의 의미 분석
3. 의미 관계
3.1 의미 자질 표시
3.2 의미 관계
4. 결론
|참고문헌|
정도부사 ‘너무, 아주’의 의미 연구 | 권용문
1. 서론
1.1. 연구 목적
1.2. 연구 대상
1.3. 선행 연구
2. 의미 분석
2.1. 의미 분석 방법
2.2. ‘너무’의 의미 분석
2.3. ‘아주’의 의미 분석
3. 의미관계 설정
3.1. 의미관계 설정 방법
3.2. ‘너무’의 의미관계 설정
3.3. ‘아주’의 의미관계 설정
4. 결론
|참고문헌|
정도부사 ‘가장, 휠씬’의 의미연구 | 신우봉
1. 서론
1.1. 연구 목적 및 의의
1.2. 대상 어휘 선정
1.3. 선행 연구
2. 의미 분석
2.1. 분석 기준
2.2. 어휘별 의미 분석
3. 의미 관계
3.1. 의미 자질 표시
3.2. ‘가장’의 의미 관계: 유의, 반의, 상하위 관계
3.3. ‘훨씬’의 의미 관계: 유의, 반의, 상하위 관계
4. 결론
|참고문헌|
현대 한국어 보조사 ‘조차’의 의미 분석 | 왕보하
1. 서론
1.1 연구 목적 및 의의
1.2 대상 어휘 선정
1.3 선행 연구
2. 의미 분석
2.1. 의미 분석의 과정
2.2. 의미 분석
3. 보조사 ‘조차’의 의미 관계
3.1. ‘조차’의 반의 관계
3.2. 유의 관계
3.3. 상하위 관계
4. 결론
|참고문헌|
보조사 ‘도’와 ‘마저’의 의미 분석 | 박지영
1. 서론
1.1 연구 목적 및 의의
1.2. 대상 어휘 선정
1.3. 선행 연구
2. 의미 분석
2.1 분석 기준
2.2 어휘별 의미 분석
3. 의미 관계
3.1 의미 자질 표시
3.2 의미 관계
4. 결론
|참고문헌|
현대 국어 연결어미 ‘-고자’와 ‘-려고’의 의미 분석 | 정유남
1. 서론
1.1. 연구 목적 및 의의
1.2. 대상 어휘 선정
1.3. 선행 연구
2. 의미 분석
2.1. 분석 기준
2.2. 어휘별 의미 분석
3. 의미 관계
3.1. ‘-고자’의 의미 관계
3.2. ‘-려고’의 의미 관계
4. 결론
|참고문헌|
하강 이동 동사 ‘흐르다’의 의미 분석 | 전련려
1. 서론
1.1. 연구의 목적 및 의의
1.2. 대상 어휘의 선정
1.3. 선행연구
2. 의미 분석
2.1. ‘흐르다’의 사전적 의미
2.2. ‘흐르다’의 의미 분석
3. 의미 관계
3.1. 의미 자질 표시
3.2. ‘흐르다’의 의미 관계
4. 결론
|참고문헌|
상승 이동 동사 ‘오르다’의 의미 분석 | 길미란
1. 서론
1.1. 연구의 목적 및 의의
1.2. 대상 어휘의 선정
1.3. 선행연구
2. 의미 분석
2.1. ‘오르다’의 사전적 의미
2.2. ‘오르다’의 의미 분석
3. 의미 관계 분석
3.1. 의미 자질 표시
3.2. 의미 관계
4. 결론
|참고문헌|
이동 동사 ‘나가다’의 의미 분석 | 리추월
1. 서론
1.1. 연구의 목적 및 의의
1.2 선행연구
1.3 대상 어휘의 선정
2. 의미 분석
2.1. 단의 분류의 기준
2.2. ‘나가다’의 의미 분석
3. 의미 관계
3.1. 의미 자질 표시
3.2. 의미 관계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