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명사구 총론

명사구 총론

(통사.의미론적 분석과 교육현장 실험 분석)

김영화 (지은이)
한국문화사
21,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1,000원 -0% 0원
1,050원
19,950원 >
21,000원 -0% 0원
카드할인 10%
2,100원
18,9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6,800원 -10% 840원 14,280원 >

책 이미지

명사구 총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명사구 총론 (통사.의미론적 분석과 교육현장 실험 분석)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영어영문학 > 영어학
· ISBN : 9788968172274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15-04-30

책 소개

명사구를 중심으로 한 저자의 언어학 연구를 총정리하면서, Chomsky(1995, 2000, 2008, 2010, 2013)가 제시한 생성 문법 연구의 근본 원리와 생언어학(Biolinguistics)의 이론적 배경과 철학도 소개한다.

목차

머리말

제1장 통사론 연구
1.1 문장의 구조
1.2 구조주의 문법과 변형 생성 문법
1.3 생성 의미론과 Fillmore(1968)의 격 문법
1.3.1 생성 의미론
1.3.2 Fillmore(1968)의 격 문법
1.4 의미역과 논항 구조
1.4.1 논항 구조와 하위범주화 규칙
1.4.2 선택 제한과 논항 구조

제2장 지배 결속 이론과 최소주의 이론
2.1 지배 결속 이론
2.2 최소주의 이론
2.2.1 인간의 지력과 언어 능력
2.2.2 연산의 원리와 보편 문법
2.2.3 최소주의 이론의 기본 원리
2.2.4 병합과 복사
2.2.5 X-바 이론
2.2.6 접합면 층위
2.3 Chomsky(2013)
2.3.1 병합의 운용과 복사
2.3.2 선상 거리와 구조적 거리
2.3.3 표찰 달기
2.3.4 반-순환성 병합과 EKS(2014)
2.4 자극의 빈곤
2.4.1 세 가지 실험과 분석
2.4.1.1 명사구의 약대체성
2.4.1.2 위계 문법 체계의 생득적 능력성
2.4.1.3 두 단어와 세 단어 학습 실험

제3장 명사구의 통사론적 특성
3.1 DP구조와 -’s
3.2 소유격/속격
3.3 속격 전치사 of
3.3.1 K-of의 격 부여
3.3.2 허사적 전치사 of
3.3.3 한국어의 속격 표지 ‘-의’
3.3.3.1 명사 전치 분류사 구조의 ‘-의’
3.3.3.2 VP 외부 병합과 ‘-을/-를’ 산포
3.3.4 일본어의 속격 표지 -no
3.3.5 중국어의 속격 표지 de
3.3.6 명사 부가어적 속격
3.3.7 형태소 변이와 이동 현상
3.3.8 명사구내 형용사의 생성 과정
3.3.9 주어 명사구와 목적어 명사구

제4장 DP-언어와 NP-언어
4.1 명사구의 구조적 특성
4.2 좌측 분지 추출
4.3 부가어 추출
4.4 국면과 좌측 분지 추출
4.5 부정어 인상
4.6 무관사 언어의 우위성 효과

제5장 관계절의 도출과 명사구
5.1 관계절의 명사구핵 인상
5.2 관계절과 보문절
5.3 영어와 한국어의 관계절 구조
5.3.1 영어의 한정적 관계절 구조
5.3.2 D0는 한정성의 자리
5.3.3 한국어의 관계절 구조

제6장 명사구와 논항 구조
6.1 동사와 명사의 차이
6.2 파생 명사형의 구조적 특성
6.3 파생 명사구의 논항 구조
6.4 복합 사건 구조와 소유격 -’s의 기능
6.5 결과 명사구와 사건 명사구
6.6 비논항 보어와 한정어
6.7 수동 명사형

제7장 명사구의 의미역과 주어 선택의 위계
7.1 주어 선택의 위계
7.2 처소역과 대상역
7.2.1 한국어의 처소역 주어
7.2.2 대상역의 처소
7.2.3 대상역과 처소역의 상관성
7.3 주어 자리의 대상역
7.4 주어성 검토

제8장 한국어의 명사구 구조
8.1 복수 표지 ‘-들’과 분류사
8.1.1 복수 표지 ‘-들’
8.1.2 ‘-들’ 산포
8.1.3. 복수 표지 ‘-들’의 어순
8.2 명사 후치 한정 표지
8.2.1 특수 한정사와 격 표지
8.2.2 특수 한정사와 격 표지의 분포
8.2.3 n*P
8.3 자질 점검
8.3.1 C,CP와 Spec,DP의 자질들
8.3.2 복수 표지 ‘-들’의 주어-목적어 비대칭성
8.3.3 특수 한정사의 PIC 불허 현상
8.3.4 화자의 감정이입

제9장 실험 분석
9.1 한국 학생들의 영어 문장 이해도 측정
9.2 말뭉치 용례 분석
9.2.1 한국어 분류사구 용례 분석
9.2.2 한국어 복수 표지 ‘-들’의 용례 분석
9.3 교육 현장 실험
9.3.1 L2 복수형 습득 현상 실험
9.3.1.1 실험 결과 분석 및 통계
9.3.1.2 결과 분석과 해석
9.3.2 특수 한정사의 이해력 실험
9.3.2.1 가설
9.3.2.2 실험 도구
9.3.2.3 상황과 실험 방법
9.3.2.4 결과 분석
9.3.2.5 결론

부록I:각 한정사 표현어구의 함축된 의미
부록II:실험-I과 실험-II에 관한 결과 분석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김영화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림대학교 명예교수 한림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1986.3 - 2013.2) Harvard University 대학원 언어학과 방문교수 UMass, Amherst 대학원 언어학과 방문교수 한국외국어대학교 영어과 문학박사 Indiana University, Bloomington 언어학과 박사학위논문 연구과정 (Fulbright 지원) 서울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석사 서울사대부고 17회, 한국외국어대학교 영어과 13회 2012. 술어 도치와 관계절의 도출. 언어 37-4. 2011. Plurality in Classifier Languages (공저). 한국문화사..?. 2010. Delimiters Re-illuminated: -Yang (1993), n*P, and English Acquisition with Delimiters-. 언어 35-1. 2009. Plurality and Its Syntactic Realization: - Plurals in Classifier vs. Non-Classifier languages-. Studies in Generative Grammar. 19-1. 2008. 의문사 의문문의 통사와 의미 (공저). 한국문화사.
펼치기

책속에서

제1장 통사론 연구

20세기 초 과학과 심리학의 분석적 연구가 발전하게 되면서 언어학 연구도 과학적 분석의 방법을 시도하게 되었다. 전통 문법의 틀을 벗어나 언어를 과학적이며 체계가 있는 대상으로, 또 말이란 변화할 수도 있고 살아있는 대상이라고 생각하는 입장의 구조주의 문법 연구가 시작된다.
구조주의 문법 이론의 틀에서는 문법 연구를 구문론이라고 한다. Chomsky(1957)로부터 시작된 생성 문법 이론에서는 문법 연구가 통사(統辭)의 원리에 기초하기 때문에 이후 문법 연구를 통사론(Syntax)이라고 한다.
제 1장에서는 통사론 연구의 기초가 되는 이론의 틀을 개론적으로 소개한다. 특히 명사구에 초점을 두고 통사론 연구의 바탕이 되는 언어 이론을 소개한다. 구조주의 문법 이론의 분석적 방법을 소개하고, 생성 문법의 표준 이론(Chomsky 1965)과 확대 표준 이론(Chomsky 1981)까지 현대 문법 이론의 변천 과정과 연구 방법을 소개한다. 그럼으로써 앞으로 논의하게 될 이론적 배경과 틀을 제시한다. 1.1은 문장의 구조에 관한 정리다. 문장을 구성하는 핵심 요소는 동사라는 것을 밝히고, 동사를 중심으로 구성되는 논항 구조에 관해 소개한다. 1.2에서는 구조주의 문법 이론에서부터 변형 생성 문법, 지배 결속 이론, 그리고 최소주의까지 각 이론의 특성을 밝히면서 통사론 이론의 발전 과정을 소개한다. 1.3에서는 생성 의미론과 Fillmore(1968)의 격문법에 관해 논의한다. 생성 의미론은 통사 구조 분석에 치우친 변형 생성 문법이 의미 구조 분석에 미약하다는 것을 지적하여 Chomsky(1981)의 격이론과 ?-이론 발전의 계기가 된다. 1.4에서는 어휘부의 주요 정보인 의미역과 논항 구조, 하위범주화 규칙, 선택 제한 등에 관해 소개한다.

1.1 문장의 구조

문장은 크게 주어부와 술어부의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주어부의 중심은 명사이며, 술어부의 중심은 동사다. 전통 문법(Traditional Grammar)에서는 동사를 자동사와 타동사로 구분한다. 목적어가 없어도 문법적인 술어부를 구성하게 되면 자동사, 문법성을 지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목적어를 수반하여야 하는 동사는 타동사로 분류한다. 전통 문법에서는 동사가 수반하는 보어나 목적어의 유무에 따라 문장의 구조를 크게 5개 또는 7개의 형식으로 구분한다.즉, 동사구의 구조가 문형 분류의 기준이 된다.
문장 구조의 중심을 동사에 두는 것은 생성 문법(Generative Grammar)에서도 다를 바가 없다. 생성 문법의 표준 이론(Chomsky, 1965)에서는 동사의 심층 구조인 하위범주화 규칙(subcategorizational rules)과 선택 제한(selectional restrictions)이 어휘부(Lexicon)의 주요 정보 구성원이 된다. Chomsky(1981)에서는 동사구의 핵(head) Vo로부터 Infl(Inflection)을 분리한다. Infl의 자질이 문법적으로 구현 될 때 동사구의 핵 요소 또는 조동사에 형태소 첨가가 실현된다는 통사적 분석을 제시한다. 따라서 Chomsky(1981) 이후에는 문장 단위를 IP(Inflectional Phrase)로 규정한다. IP의 핵은 Infl(Inflection)이다. Infl은 동사에 첨가되는 굴절 형태소(Inflectional morphemes)로서 영어의 경우 주어 명사구의 성, 인칭, 수 등의 φ-자질(phi-features)과 시제(Tense: T)에 관한 정보를 표현한다. 조동사가 있을 경우에는 시제 정보가 법조동사(Modal) 또는 일차 조동사(primary auxiliaries)에 구현된다.
Chomsky(1957)로부터 Chomsky(1998)까지 40여년에 걸친 생성 문법 이론의 변천 과정을 살펴보면서 주목하게 되는 것은 동사구의 구조와 기능에 관한 기술의 세밀화라고 할 수 있다. 생성 문법에서는 동사의 하위범주화 규칙과 선택 제한 등 동사가 갖는 자질과 특성을 어휘부에서 인식한다고 전제한다. 어휘부의 논항 구조(Argument Structure)는 동사가 문장을 구성하기 위해 사용할 논항의 의미역을 나열하여 의미 구조와 통사 구조의 관계를 기술한다.
동사가 통사적 운용을 하여 문장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의미 역할을 담당하는 명사(구) 논항이 필요하고, 이 관계를 기술하는 것이 논항 구조(argument structure)다. 동사에 첨가되는 형태소, 동사의 논항, 명사(구)의 의미역, 논항 구조 등이 기저 의미 구조와 통사/문장 구조를 연결하는 주요 구성요소가 된다. 한 사건을 표현하기 위해 화자는 어휘부에서 동사를 선택한다. 선택된 동사가 지닌 의미·구조적 정보가 논항 구조에 담겨 있으며, 형태소의 첨가가 문형을 표출하거나 필요한 경우 문형의 변형을 유도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6857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