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자녀와 함께하는 유쾌한 영어교육

자녀와 함께하는 유쾌한 영어교육

(개정판)

홍선미 (지은이)
한국문화사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2,000원 -0% 2,500원
600원
13,9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개 9,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9,600원 -10% 480원 8,160원 >

책 이미지

자녀와 함께하는 유쾌한 영어교육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자녀와 함께하는 유쾌한 영어교육 (개정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과교육론 > 영어교육 전공
· ISBN : 9788968174193
· 쪽수 : 350쪽
· 출판일 : 2016-10-30

책 소개

집중력이 오래 지속되지 않고 쉽게 싫증을 내는 아동들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하는 의문점을 중심으로 부모님들의 고민을 덜어드리고자 가정에서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을 제시하고자 한다.

목차

Lesson 1 아동의 특성과 아동 영어교육의 방향
제1강|아동의 특성
제2강|아동영어교육의 방향

Lesson 2 언어란
제1강| 언어의 성질
제2강| 언어 학습 이론
제3강| 언어학습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

Lesson 3 챈트
제1강| Chant와 Rhyme의 학습효과
제2강| 실제 적용의 예 1
제3강| 실제 적용의 예 2

Lesson 4 노래
제1강| Songs의 학습효과
제2강| Songs의 실제 1
제3강| Songs의 실제 2

Lesson 5 손유희와 몸동작
제1강| Finger play의 학습효과
제2강| Finger play 실제 적용의 예 1
제3강| Finger play 실제 적용의 예 2

Lesson 6 동화
제1강| Storytelling의 학습효과
제2강| Storytelling의 실제 1
제3강| Storytelling의 실제 2

Lesson 7 게임
제1강| Game의 학습효과
제2강| Game 실제 적용의 예 1
제3강| Game 실제 적용의 예 2

Lesson 8 역할놀이와 무언극
제1강| Role Play와 Mime의 학습효과
제2강| Role Play 학습내용 및 적용방법
제3강| Role Play의 실제

Lesson 9 드라마
제1강| Drama의 학습효과
제2강| Drama 실제 적용의 예 1
제3강| Drama 실제 적용의 예 2

Lesson 10 창작놀이
제1강| Art & Craft의 학습효과
제2강| Art & Craft의 실제 1
제3강| Art & Craft의 실제 2

Lesson 11 알파벳
제1강|알파벳 놀이 & Phonics 지도의 학습효과
제2강|Alphabet & Phonics 학습내용 및 적용방법
제3강|Alphabet & Phonics 실제 적용의 예

Lesson 12 멀티미디어
제1강| 멀티미디어의 학습효과
제2강| 멀티미디어 활용의 실제 1
제3강| 멀티미디어 활용의 실제 2

Lesson 13 자녀 지도 시 필요한 영어표현
제1강| 가정에서의 상황별 영어표현
제2강| 실제 적용의 예 2
제3강| 장소별 영어표현 2

부 록|영어교육자료 사이트 안내
참고문헌

저자소개

홍선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 영어교육학 박사 The University of Birmingham TEF/SL 석사 부산대학교 영어영문학·불어불문학 학사 국제사이버대학교 평생교육학과 부교수 (현) 한국영어어문학교육학회 정책이사(현) 국제통번역사절단협회 위원 GJCU 국제교사교육원 원장 국제사이버대학교 영어지도학과 학과장 공무원 국가경쟁력 경력사원 채용 심사위원 한양대 경희대 교육대학원 외래강사 경희대학교 교육발전연구원 객원연구원 역임
펼치기

책속에서

제1장
비판적 교수법의 이해

정숙경(대전대학교)

1. 비판적 교수법의 정의

비판적 교수법(critical pedagogy)은 기본적으로 힘과 지식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둔 교수법이다. 비판적 교수법은 모든 지식(혹은 진리)은 진공 속에서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사회적으로 구성되어지고, 문화적으로 중재되어지며, 역사적인 맥락에서 만들어지는 것이라고 주장한다(McLaren, 1989, 2009). ‘비판적’(critical)이라는 의미는 사회에서 어떻게 지배적인 이데올로기가 특권층에 이익이 되는 방향으로 이해와 의미를 만들어 자신들에게 편리한 지식을 생성해 가는지 중점적으로 본다는 의미이다(Hawkins & Norton, 2009, p. 31). 따라서 비판적 교수법은 이러한 힘의 논리로 만들어진 개념을 재생산하는 데 교육의 목표가 있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에게 이러한 상황을 인지시키고 비판적 의식을 가지고 스스로 변화할 수 있도록 이끌어 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McLaren, 1989).
비판적 교수법의 뿌리는 1920년대 독일 프랑크푸르트학파에서 연구되었던 비판이론(critical theory)에서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 후 브라질의 민중 교육학자 Paulo Freire(1970)가 이 개념을 교육에 도입시켜 Pedagogy of the Oppressed에서 비판적 교수법의 개념을 설명하기 시작했고 이후 미국의 교육학자 Henry Giroux(1983)가 자신의 저서인 Theory and Resistance in Education에서 처음으로 비판적 교수법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비판적 교수법의 근간이 되는 비판이론은 1923년에 프랑크푸르트 대학의 사회연구소(The institute of social research)에서 발전하였는데 궁극적으로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철학 목표는 사람들을 억압하는 사회구조를 이해하고 인간이 해방될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들은 사람의 양심과 행동을 억압하는 모든 도구적 이성(instrumental rationality)을 반대하고 사람을 자유롭게 하고 인간을 억압시키는 사회구조를 변화시킬 수 있는 비판적 이성(critical rationality)만이 올바른 이성이라고 주장하였다.
비판적 이성은 어떤 사실을 절대화하는 것을 거부하며 Arato와 Gebhardt(1978)가 주장한 것처럼 ‘진실로 위대한 진리는 숭배되어지는 것이 아니라 비판되어지기를 원하는 것’이라고 하면서 이성에 대한 절대적인 신봉을 거부한다. 비판이론은 계몽시대 이후 근대 산업혁명을 거치면서 만연했던 이성주의를 비판해서 나온 이론인데, 즉 사람의 이성을 통해서 인간을 계몽한다는 이성 만능주의가 만들어 낸 산업혁명, 제1차 세계대전, 자본주의, 관료주의, 공산주의가 결코 인간을 자유롭게 하지 못했던 상황에 대한 반성이라고 할 수 있다(Guess, 1981).
Erich Seligmann Fromm, Horkheimer Max, Marcuse Herbert, J?rgen Habermas 등의 학자들로 이어지면서 아직까지도 건재하게 철학 분야에서 주장되는 비판이론을 교육에 적용하면서 비판적 교수법이라는 새로운 교수이론이 등장하게 된 것이다.
비판적 교수법이란 억압적인 사회조건에 대해서 학습자들의 비판적인 의식을 불러일으키려고 고안된 교수와 학습 방법을 말한다. 마르크스주의(marxist theory)을 기초로 하여 급진적 민주주의(radical democracy), 무정부주의(anarchism), 여성운동(feminism), 그리고 사회적 정의를 위한 다른 사회운동을 근간으로 한다. 이 교수법의 기본 생각은 학생들이 학교에서 배우는 모든 지식은 중립적인 지식이 아니라 사회적으로 역사적으로 힘의 논리에 의해 만들어진, 의도된 지식이라는 것이다. 즉, 지식은 참이냐 거짓이냐가 아니라 얼마나 억압적이냐 탄압적이냐는 기준에서 분석되어 져야 한다는 것이다(McLaren, 2009). 이렇게 힘과 지식 간의 관계에 초점을 둔 비판적 교수법은 학교 교육 자체를 힘에 의한 사회적 관계를 재생산하는 교육체제로 인식한다(Giroux, 1983). 따라서 이런 교육상황에서의 참다운 교육은 학생들에게 자신들이 배우는 지식에 대한 비판적인 눈을 키워 지식을 스스로의 힘을 기르기 위한 도구로 창조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즉, 학생들이 습득한 지식을 가지고 자신의 존재를 파악하고 사회적인 힘의 역학 관계에 위치되어진 자신의 실체를 인지하여, 그 인식과 지식으로 자신을 억압하는 힘의 구조에서 해방시킬 수 있는 운동가가 되도록 교육되어야 한다는 것이다(Freire, 1970).
결국 비판적 교수법의 목적은 교육이 이미 사회적으로 형성된 지식을 재생산시키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을 교육을 통해 힘을 갖게 하는 것(empowerment), 즉 자기 스스로 힘을 가지고 스스로를 새로운 존재로 변화시키는 자기 변화(self transformation)가 가능하도록 이끄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은 다시 말하면 프랑크푸르트 학파의 후기 철학자인 Habermas(1972)의 해방 지식(emancipatory knowledge), Giroux(1983)의 지시적 지식(directive knowledge)을 학생들에게 주지하자는 것이다. 이러한 지식들이야말로 우리가 힘과 특권에 의해 왜곡되어지고 조정되어진 사회적 관계를 바로 보고 올바로 잡을 수 있도록 도와 줄 수 있다(McLaren, 2009). 결국 비판적 교수법의 목표는 사회 정의와 비판적이고 민주주의적인 삶(critical democratic life)을 위해 정치적이고 교수적인 개입을 하자는 것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6858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