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초등영어 발음교육의 이해와 적용

초등영어 발음교육의 이해와 적용

윤여범, 서진아 (지은이)
한국문화사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0% 0원
900원
17,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4,000원 -10% 700원 11,900원 >

책 이미지

초등영어 발음교육의 이해와 적용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초등영어 발음교육의 이해와 적용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초등교육학
· ISBN : 9788968175428
· 쪽수 : 264쪽
· 출판일 : 2017-09-20

책 소개

초등영어 교사가 알아야 할 영어 발음의 원리를 한국어 발음과 대조하여 설명하는 책이다. ‘음절’의 개념부터 시작하면서, 영어 발음 관련 용어를 최대한 쉽게 설명하고 있다. 음성학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독자에게도 초등영어 발음교육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쓰여졌다.

목차

◾서문

Chapter 1 서론
1. 음성학, 음운론, 발음교육
2. 발음교육의 목표
3. 발음교육의 방법
4. 영어 발음의 양상과 규칙
5. 이 책의 구성

Chapter 2 음절
1. 음절의 정의
2. 음절의 중요성
3. 음절의 외부 구조
4. 영어 음절의 내부 구조
5. 음절 지도의 실제
(1) 각운 지도하기
(2) 자음군 발음 지도하기

Chapter 3 강세
1. 강세의 정의
2. 강세의 구성 요소
3. 강세의 중요성
4. 강세의 위치
(1) 2음절어의 강세 규칙
(2) 3음절어의 강세 규칙
(3) 동철이의어의 강세 규칙
(4) 접미사에 의한 강세 규칙
(5) 초등영어 어휘의 강세 위치
5. 강세 지도의 실제
(1) 소리 내어 읽기
(2) 찬트하기
(3) 구체물 이용하기
(4) 신체 활동하기
(5) 강세 유형에 따라 단어 분류하기

Chapter 4 리듬
1. 리듬의 정의
2. 영어 리듬의 규칙
3. 기능어 발음의 약화
4. 축약
5. 강세박자와 음절박자
6. 리듬 단위
7. 리듬 지도의 실제
(1) 문장 강세 표시 이용하기
(2) Tench(1981)에 제시된 강세박자 연습하기
(3) 단어 카드와 문장 카드 짝 짓기
(4) 기능어 추가하며 문장 읽기

Chapter 5 억양
1. 억양의 정의
2. 억양의 중요성
3. 영어 억양의 구조
4. 상승-하강 억양
5. 상승 억양
6. 억양 지도의 실제
(1) 상승-하강 억양 지도하기
(2) 상승 억양 지도하기

Chapter 6 자음
1. 자음의 정의
2. 영어 자음의 분류
3. 한국어 자음과 영어 자음의 비교
4. 음소와 이음
5. 자음 지도의 실제
(1) 듣기 연습의 중요성
(2) 최소대립쌍을 활용한 지도
(3) 조음방법 및 조음위치 지도에 대한 두 가지 견해
(4) 조음동작 연습
(5) 대조분석과 기능부담량
(6) /l/과 /r/
(7) /ɵ/와 /ð/
(8) /f/와 /v/

Chapter 7 모음
1. 모음의 정의
2. 영어 모음의 분류
3. 한국어 모음과 영어 모음의 비교
4. 모음 지도의 실제
(1) 최소대립쌍을 활용한 지도
(2) 특정 어휘 종류를 활용한 모음 지도
(3) 문제 모음의 지도
(4) 환경에 의한 모음의 발음 변화

Chapter 8 발음 규칙
1. /t/와 관련된 규칙
(1) 기식음화
(2) 비기식음화
(3) 비파열음화
(4) 구개음화
(5) 탄설음화
(6) 성문음화
(7) 생략
2. 연음
(1) 연성
(2) 연음에 의한 자음의 연결
(3) 연음에 의한 자음의 생략
(4) 연음에 의한 구개음화
(5) 연음에 의한 탄설음화
3. 동화
4. 생략
5. 삽입

◾ 참고문헌
◾ 찾아보기
◾ [부록 1]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영어 권장 어휘 (800개)
◾ [부록 2] 2015 개정 교육과정 외래어 (200개)

저자소개

윤여범 (감수)    정보 더보기
(현) 서울교육대학교 영어교육과 교수 서강대학교 영어영문학과 학사 서강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석사 캐나다 Alberta 대학교 언어학과 박사 [저서] 초등영어 발음교육론. 한국문화사 현장 수업 적용을 위한 초등영어지도법(공저). 한국문화사 초등영어교육의 이론과 실제(공저). 한국문화사 초등영어교육의 해법(공저). 천재교육 초등영어 발음교육의 이해와 적용(공저). 한국문화사 2007 개정 초등영어 3~6학년 교과서 대표 저자. 천재교육 2009 개정 초등영어 3~6학년 교과서 대표 저자. 천재교과서
펼치기
서진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서울동작초등학교 교사 서울교육대학교 영어교육과 학사 서울교육대학교 영어교육과 석사 서울교육대학교 영어교육과 박사 저서 2007 개정 초등영어 3~6학년교과서 공동 저자. 천재교육 2009 개정 초등영어 3~6학년교과서 공동 저자. 천재교과서 초등영어교육의 해법(공저). 천재교육 초등영어 발음교육의 이해와적용(공저). 한국문화사 파닉스의이해와 적용(공저). 한국문화사
펼치기

책속에서

[머리말]

영어에 apples and oranges라는 숙어가 있다. 차이점이 너무 많아서 비교하기가 거의 불가능한 상황을 뜻한다. 영어 발음과 한국어 발음의 차이점도 apples and oranges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학습자 입장에서 영어 발음을 잘 하기 위해서는 원어민의 발음을 많이 듣고 따라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그러나 교사의 입장에서는 영어 발음과 한국어 발음의 근본적인 차이를 알고 학생들에게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이 책은 초등영어 교사가 알아야 할 영어 발음의 원리를 한국어 발음과 대조하여 설명하고 있다. 많은 영어 발음 관련 책이 자음과 모음부터 시작하는 것과는 달리, 이 책에서는 ‘음절’의 개념부터 시작한다. 음절이야말로 영어와 한국어 발음의 차이를 설명하는 바탕이 되기 때문이다.
하나의 전공 분야에 대한 이해도는 그 분야의 용어를 얼마나 아느냐와 정비례할 것이다. 이 책은 영어 발음 관련 용어를 최대한 쉽게 설명하여 음성학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독자들에게도 초등영어 발음교육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이 책의 초고로 수업을 들으며 좋은 의견을 준 2017년도 1학기 서울교육대학교 영어교육과 대학원의 <초등영어발음교육론> 수강생들에게 감사의 뜻을 전한다. 마지막으로 이 책의 출판을 허락해 주신 한국문화사 김진수 사장님과 편집을 위해 수고하신 홍윤환님께 감사의 뜻을 전한다.

2017년 8월
윤여범·서진아


Chapter 1 서론
1. 음성학, 음운론, 발음교육

발음교육과 관련된 언어학의 두 분야는 음성학(phonetics)과 음운론(phonology)이다. 두 분야 모두 말소리에 관한 것을 다루지만 음성학이 말소리들이 실제로 발성되고 청취되는 방식에 대해 다루는 반면에, 음운론은 말소리들이 한 언어에서 어떻게 사용되며 체계를 이루는 방식에 대해 다룬다(Dalton & Seidlhofer, 1994: 18).

Not only do we need a knowledge of how these sounds are produced as physiological and acoustic events (the domain of phonetics), but also an understanding of how they are utilized, how they are organized into a system of sounds in the language concerned(the domain of phonology).

전상범(2005)은 음성학을 말소리의 물리학, 음운론을 말소리의 심리학에 비유했다. 이와 같은 구별에도 불구하고 두 분야에서 다루는 영역은 중복되는 경우가 많고, 실제로 음성학과 음운론의 의미를 구별하지 않고 쓰는 경우도 많다.
음성학은 일반적으로 다음 세 가지 분야로 나뉜다.

· 조음음성학
· 음향음성학
· 청음음성학

조음음성학(articulatory phonetics)은 화자가 발음을 하는 과정에 대한 연구로서, 예를 들어, /p/를 발음하는 데 있어 어떤 조음기관이 어떻게 작동하는가 등에 관한 것이다. 음향음성학(acoustic phonetics)은 화자가 발음한 소리가 하나의 물리적 실체로서 어떤 특징을 갖는가를 분석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p/의 음향적 특성을 음성분석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게 된다. 청음음성학(auditory phonetics)은 청자의 귀에서 말소리가 어떤 과정으로 인식되는가에 대한 연구로서 언어학의 한 분야라기보다는 의학의 한 분야이다.
따라서 음성학은 보통 조음음성학과 음향음성학으로 나눌 수 있다. 조음음성학은 음성학 중 가장 먼저 연구된 분야로서 영어 발음교육에 있어 중요성이 여전히 인식되고 있으며, 영어 교사는 조음음성학에 대한 기초 지식을 갖추어야 한다(Derwing & Munro, 2015b: 117).

Although we do not believe that pronunciation teachers need to be expert phoneticians, we are quite convinced that a basic knowledge of articulatory phonetics is indispensible.

최근 다양한 음성 분석 기술의 발달로 인해 음향음성학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음성 분석 프로그램 프라트(praat)는 이전까지는 알 수 없었던 말소리의 주파수, 음량, 길이 등의 정보를 자세히 제공하기 때문에 발음교육에 응용할 수 있다(Derwing & Munro, 2015a).
음운론의 목표는 개별 언어에서 발견되는 특정 말소리의 유형에 대해 연구하고, 전 세계 언어에서 발견되는 말소리의 특성에 대해 보편적인 설명을 하는 데 있다(Crystal, 1991: 261).

The aim of phonology is to demonstrate the patterns of distinctive sounds found in a language, and to make as general statements as possible about the nature of sound systems in the languages of the world.

발음교육의 중요성은 많은 학자들에 의해 언급되고 있다. 예를 들어, Harmer(2001: 183)는 발음교육은 학습자의 말하기 능력뿐만 아니라, 듣기 등 전반적인 분야에 매우 큰 영향을 준다고 말한다.

Pronunciation teaching not only makes students aware of different sound features (and what these mean), but can also improve their speaking immeasurably. Concentrating on sounds, showing where they are made in the mouth, making students aware of where words should be stressed - all these things give them extra information about spoken English and help them achieve the goal of improved comprehension and intelligibility.

Pennington(1996: 2)은 발음에 대한 이해가 언어의 다른 양상에 대한 이해에도 큰 도움을 주기 때문에 효율적인 음성언어 지도를 위해 필요하다고 말한다.

Since it opens the way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how language works and how the different aspects of linguistic and social meaning are interrelated, an understanding of the phonology of a language is a necessary basis for fully effective teaching of a spoken language.

2. 발음교육의 목표

언어습득의 결정적 시기(critical period)가 지나면 원어민과 같은 발음을 습득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더욱이 발음은 외국어 학습의 다른 분야인 문법 및 어휘보다 결정적 시기가 매우 빠르다. 그러나 모국어 화자 동화 원칙(nativeness principle)을 강조하였던 1970년대 이전에는 원어민과 동일한 발음을 구사하는 데에 언어 교육의 목표를 두었다.
결정적 시기가 너무 단정적이고 획일적인 의미라는 점에 착안하여 일부 학자들은 결정적 시기라는 용어 대신에 민감한 시기(sensitive period)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Fromkin, Rodman, & Hyams, 2011: 366).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68589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