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초등영어지도법

초등영어지도법

윤여범, 서진아 (지은이)
한국문화사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0,000원 -0% 0원
1,000원
19,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0,000원 -10% 1000원 17,000원 >

책 이미지

초등영어지도법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초등영어지도법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과교육론 > 영어교육 전공
· ISBN : 9788968178368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20-01-20

책 소개

이 책에서는 초등영어교육의 핵심 내용 8가지를 다루고자 한다. 각 장은 각 기능에 대한 이론적인 내용 및 초등영어 교육과정과의 관련성, 지도의 실제로 구성되어 있다.

목차

· 머리말

Chapter 1 초등영어 교수법
1. 서론
2. 전통적 교수법
3. 디자이너 교수법
4. 최근의 교수법

Chapter 2 어휘 지도
1. 어휘 관련 용어
2. 단어의 정의
3. 어휘의 중요성
4. 어휘와 문법의 긴밀한 연관성
5. 어휘의 종류
6. 초등영어 교육과정과 어휘
7. 초등영어 어휘 지도의 실제

Chapter 3 문법 지도
1. 문법의 정의
2. 문법의 종류
3. 문법의 중요성
4. 중간언어
5. 초등영어 교육과정과 문법
6. 초등영어 문법 지도의 실제

Chapter 4 발음 지도
1. 발음의 특징과 중요성
2. 초등영어 교육과정과 발음
3. 자음
4. 모음
5. 음절
6. 강세
7. 리듬
8. 억양

Chapter 5 듣기 지도
1. 듣기의 특징과 중요성
2. 음성언어의 특징
3. 듣기의 어려움
4. 듣기의 종류
5. 초등영어 듣기 성취기준
6. 초등영어 듣기 활동

Chapter 6 말하기 지도
1. 말하기의 중요성
2. 말하기의 특징
3. 말하기의 어려움
4. 영어의 초분절음
5. 음성언어 문법의 특징
6. 초등영어 말하기 성취기준
7. 초등영어 말하기 활동

Chapter 7 읽기 지도
1. 읽기의 특징
2. 읽기의 중요성
3. 읽기의 종류
4. 초등영어 읽기 성취기준
5. 초등영어 읽기 활동

Chapter 8 쓰기 지도
1. 쓰기의 특징과 중요성
2. 문자언어의 특징
3. 쓰기의 종류
4. 초등영어 쓰기 성취기준
5. 초등영어 쓰기 활동

· 참고문헌
· 부록 1 _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영어 권장 어휘(800개)
· 부록 2 _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영어 권장 언어형식
· 부록 3 _ 초등 필수 교실영어 문장(30개)
· 찾아보기

저자소개

서진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서울동작초등학교 교사 서울교육대학교 영어교육과 학사 서울교육대학교 영어교육과 석사 서울교육대학교 영어교육과 박사 저서 2007 개정 초등영어 3~6학년교과서 공동 저자. 천재교육 2009 개정 초등영어 3~6학년교과서 공동 저자. 천재교과서 초등영어교육의 해법(공저). 천재교육 초등영어 발음교육의 이해와적용(공저). 한국문화사 파닉스의이해와 적용(공저). 한국문화사
펼치기
윤여범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 서울교육대학교 영어교육과 교수 학력 서강대학교 영어영문학과 학사 서강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석사 캐나다 Alberta 대학교 언어학과 박사 저서 초등영어발음교육의 이해와 적용. 한국문화사. (공저) 파닉스의 이해와 적용. 한국문화사. (공저) 초등영어 지도법. 한국문화사. (공저) 2007 개정 교육과정 초등영어 3~6학년 교과서. 천재교육. (대표저자) 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영어 3~6학년 교과서. 천재교과서. (대표저자)
펼치기

책속에서

Chapter 1초등영어 교수법
1. 서론
(1) 교수법과 접근법
영어교육에서 ‘교수법’이라는 용어는 다소 혼란스럽게 사용되고 있다. 그 이유 중의 하나는 교수법이라는 용어가 포함하는 영역이 너무 넓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잘 알려진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도 사실은 ‘접근법’이라는 용어가 더 적절하다는 주장이 있다(Richards & Rodgers, 2001). 교수법 및 접근법에 대한 연구 중에서 일반적으로 많이 인용되고 있는 문헌인 다음과 같은 Anthony(1963)의 분류 방식부터 살펴보자.

· 접근법(approach)
· 교수법(method)
· 기법(technique)

Anthony(1963)의 분류에 따르면, 접근법은 언어와 언어 학습에 대한 전제와 신념이 구체화되는 단계인 반면에, 교수법은 접근법의 이론이 수업에 적용되는 단계로서, 수업의 내용과 내용의 제시 방식 및 순서가 결정되는 단계이다. 기법은 의미가 가장 좁은 것으로서, 교실에서의 수업 절차가 구체적으로 기술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접근법이 가장 추상적인 의미이고 기법이 가장 구체적인 의미라고 할 수 있다. Anthony(1963)의 분류 방식은 간단명료하지만, 교수법에 대한 설명이 불충분하고 접근법이 교수법 안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에 대한 설명이 부족한 단점이 있다.
다음으로 Harmer(2001)는 Anthony(1963)의 3단계 분류 방식에 절차(procedure)를 추가하여 다음과 같이 4단계로 분류하였다.

· 접근법(approach)
· 교수법(method)
· 절차(procedure)
· 기법(technique)

Harmer(2001)의 분류 방식에서도 접근법과 교수법의 의미가 명료하게 구분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Richards와 Rodgers(2001)는 접근법과 교수법이 혼동되어 사용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교수법 대신에 계획(design)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3단계를 제시하고 있다.

· 접근법(approach)
· 계획(design)
· 절차(procedure)

Richards와 Rodgers(2001: 20)는 위의 3단계가 각각 교수법과 어떤 관계에 있는지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A method is theoretically related to an approach, is organizationally determined by a design, and is practically realized in procedure.

즉, 교수법은 접근법과 이론적으로 관련되어 있으며, 계획에 의해 구조적으로 결정되고 절차에 의해 현실적으로 실현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Richards와 Rodgers(2001)의 분류법은 접근법과 경계가 불분명한 교수법(method) 대신에 계획(design)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점에서는 큰 의의가 있지만, 이 책에서는 보다 일반적인 맥락에서는 교수법이라는 용어를 그대로 사용하고, Richards와 Rodgers(2001)의 분류 방식을 설명할 때에만 계획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자 한다.
Richards와 Rodgers(2001)는 접근법과 계획을 명료하게 구분하기 위해 접근법을 다음과 같이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접근법은 교수법의 이론적 바탕이 되는 것으로, 크게 언어에 대한 이론과 학습에 대한 이론으로 분류한다. 여기에서는 언어에 대한 이론을 위주로 살펴보자.
언어에 대한 이론은 3가지 관점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 구조주의적 관점(structural view)은 언어를 문장 구조와 문법 위주로 분석한다. 예를 들어, 청화식 교수법과 전신반응 교수법이 구조주의적 관점을 취하고 있다. 둘째, 기능적 관점(functional view)은 언어를 기능적 의미를 표현하는 수단으로 간주하며,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이 대표적이다. 셋째, 상호작용적 관점(interactional view)은 언어를 인간관계의 형성과 유지를 위한 도구로 보는 견해로서, 과제 중심 교수법이 대표적이다.
Richards와 Rodgers(2001)는 계획(design)을 다음과 같이 6가지 항목으로 나누어 정의하였으며, 이는 보다 추상적인 접근법과는 엄밀하게 구분할 수 있다고 하였다.

① 학습 목표
② 내용 선택과 구성
③ 교수ㆍ학습 활동 유형
④ 학습자 역할
⑤ 교사 역할
⑥ 교수 자료의 역할

또한 앞으로의 논의에 있어 연도를 비롯한 각 교수법의 상세한 내용은 Richards와 Rodgers(2001)에 바탕을 두고 있음을 밝힌다.

(2) 교수법의 시대별 분류
이 책에서 살펴볼 교수법은 모두 13가지이며, 시대에 따라 다음과 같이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다(Liontas, 2018).

① 전통적 교수법 (1950년대 이전)
·문법번역식 교수법(Grammar-Translation Method)
·직접 교수법(Direct Method)
·청화식 교수법(Audio-Lingual Method)

② 디자이너 교수법 (1970년대)
·전신반응 교수법(Total Physical Response)
·침묵식 교수법(Silent Way)
·공동체 언어 학습법(Community Language Learning)
·암시 교수법(Suggestopedia)
·자연적 접근법(Natural Approach)

③ 최근의 체계적인 교수법 (1980년대 이후)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내용 중심 교수법(Content-Based Instruction)
·어휘 중심 접근법(Lexical Approach)
·과제 중심 교수법(Task-Based Instruction)
·총체적 언어 접근법(Whole Language Approach)

먼저 전통적 교수법은 1950년대 이전까지 유행했던 교수법으로서, 문법번역식 교수법, 직접 교수법, 청화식 교수법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문법번역식 교수법은 1840년대, 직접 교수법은 1900년대, 청화식 교수법은 1940년대에 유행하여 약 50년의 간격을 두고 개발되었으며, 선행하는 교수법의 약점을 보완하는 방향으로 발전해 왔다.
다음으로, 다양한 교수법이 개발되었던 1970년대는 교수법의 역사에 있어 대단히 중요한 시기이다. 비교적 짧은 기간 내에 많은 교수법이 개발되었으며, 이 당시의 교수법들을 디자이너 교수법, 또는 전통적 교수법에 대한 대안을 제시했다는 의미에서 대안적 교수법이라고 통칭한다.
1980년대 이후에는 우리나라의 영어교육에 있어 매우 중요한 영향력을 끼치고 있는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을 바탕으로 다양한 교수법이 개발되고 있다. 이 교수법들의 공통점은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을 기본 틀로 하면서 특정 요소를 강조하고 있다는 점이다(Richards & Rodgers, 2001).

(3) 교수법과 어린이 영어교육의 원리
Thornbury(2006: 251-2)는 13가지의 어린이 영어교육 원리를 제시하고 있는데, 이 원리들은 우리가 초등영어교육에 적합한 교수법을 찾는 데 있어 중요한 기준이 된다. 다음의 13가지 원리가 앞으로 논의할 교수법 중에서 어떤 교수법과 깊은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자.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91985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