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88968175862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18-01-05
책 소개
목차
제1부 일본에서의 가마쿠라 막부론
제1장 / 가마쿠라 막부론鎌倉幕府論의 학설사적 검토
머리말
1. 전후 역사학의 가마쿠라 막부론 - 재지영주제론
2. 중세 국가론과 가마쿠라 막부- 권문체제론權門體制論과 동국국가론東國國家論
3. 새로운 무사론·전쟁론과 가마쿠라 막부
4. 동아시아 속의 가마쿠라 막부
5. 도시 가마쿠라론과 가마쿠라 막부
6. 가마쿠라 사상사연구와 가마쿠라 막부
맺음말
제2장 / 가마쿠라 막부관鎌倉幕府觀의 시대적 변천
머리말
1. 중세의 가마쿠라 막부관
2. 근세의 가마쿠라 막부관
3. 근대의 가마쿠라 막부관
맺음말
제2부 가마쿠라 막부의 ‘무위’와 ‘무민’
제1장 / ‘무위武威’를 통해서 본 가마쿠라 막부의 성립
머리말
1. 무사의 성장과 ‘무위’의 자부
1) 무사의 성장 과정
2) ‘무위’의 인정과 자부
2. 가마쿠라 막부의 성립과 ‘무위’
1) 가마쿠라 막부의 성립 과정
2) 막부 성립기의 ‘무위’
3) 무예의 진작
맺음말-가마쿠라 막부 성립의 역사적 의의
제2장 / 조큐承久의 난과 ‘무위’의 정착
머리말
1. 조큐의 난에 이르기까지
1) 미나모토노 요리토모 사망 후의 정치정세
2) 조큐의 난의 경위
2. 조큐의 난 이후의 ‘무위’
1) 전후처리
2) 막부의 승병 대책
3) 황위 계승의 문제
4) 사회의식으로서의 ‘무위’
맺음말
제3장 / 몽골의 일본 침략과 ‘무위’의 고양
머리말
1. 몽골의 일본 침략 이전의 정치정세
2. 몽골 국서에 대한 대응을 둘러싸고
1) 몽골 국서의 도래
2) 조정과 막부의 입장
3. 몽골의 침략과 막부의 응전- ‘이국정벌異國征伐’ 계획을 중심으로
맺음말-대외적 위기의식과 ‘무위’의 고양
제4장 / 가마쿠라 막부의 무민사상撫民思想의 전개
머리말
1. 막부 성립기의 무민사상
2. 싯켄 호조 씨의 무민사상의 전개
1) 싯켄 정치의 태동과 ‘무민’
2) 싯켄 정치의 확립과 ‘무민’
3) 호조 씨 도쿠소의 전제화와 ‘무민’
3. ‘무민’과 지방사회
맺음말 - ‘무민’과 ‘무위’
[보론] / 「아즈마카가미吾妻鏡」는 어떤 사서인가?
머리말
1. 구성
2. 편찬
3. 특징
4. 주제
맺음말
제3부 가마쿠라 막부의 천황관과 국가의식
제1장 / 가마쿠라 막부의 천황관天皇觀
머리말
1.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의 천황관
2. 조큐의 난 이후 무가의 천황관
3. 도쿠소와 천황
맺음말
제2장 / 가마쿠라 막부의 신국사상神國思想의 전개
머리말
1.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의 신국사상
2. 조큐의 난 이후 무가의 신국사상
3. 몽골의 일본 침략과 무가의 신국사상
맺음말
제3장 / 가마쿠라 시대 국가의식으로서의 ‘무위’
머리말
1. 가마쿠라 막부의 성립과 ‘무위’의 자각
2. 몽골의 일본 침략 이후 ‘무위’의 고양
맺음말 - ‘무위’와 ‘신국’
저자소개
책속에서
‘무위武威’를 통해서 본 가마쿠라 막부의 성립
가마쿠라 막부鎌倉幕府는 독자적인 지배조직을 갖춘 일본 역사상 최초의 무사정권武士政權이었다. 이 장에서는 미나모토노 요리토모源賴朝에 의한 가마쿠라 막부의 창립 과정과 그 역사적 의의를 ‘무위武威’의 창출이란 관점에서 고찰하려고 한다. 그를 위해 우선 막부 성립의 전사前史로서 10세기 이후 무사武士의 형성과 성장 과정, 그에 따른 무사의 ‘무위’에 대한 자부에 대해서 살필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 ‘무위’라는 용어는 사회적으로는 무예武藝를 고유한 직능으로 하는 무사의 위세威勢, 또는 무사의 무력武力이나 무용武勇에 담긴 위압을 뜻하고, 정치적으로는 중세 국가 속에서 차지하는 가마쿠라 막부의 무사정권으로서의 위광威光?위세를 가리킨다. 중세의 사회와 국가 속에서 이러한 ‘무위’에 관한 관념?의식을 추적하여 무사와 무사정권의 사회적?정치적 위상 및 자기 인식의 변화상을 파악하려는 것이다.
문인文人 우위의 정치이념이 보편적이었던 동아시아 세계에서 본다면, 일본 중세의 무사와 무사정권은 비정상적이고 예외적인 존재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일본 중세의 무사란 과연 어떠한 존재였는가? 그들은 어떤 의식과 행동을 보이고 있었고 당시 사회 속에서 어떻게 받아들여졌는가? 무사를 조직기반으로 하는 무사정권의 성립?발전을 통하여 무사정권은 정치적으로 자신을 어떻게 자리매김하여 갔는가? 이러한 문제들은 동아시아사의 관점에서 중세 일본을 바라볼 때 자연스럽게 생겨나는 근본적인 의문일 것이다.
중세 무사에 관한 연구는 제1부 제1장에서 살폈듯이, 이른바 ‘재지영주在地領主’=지방영주地方領主로서의 무사에 대한 경제적인 분석으로부터 최근의 사회사적社會史的인 무사직능론武士職能論에 이르기까지 실로 많은 연구가 축적되어 있고 풍부한 무사상武士像을 제공해 왔다. 또한 가마쿠라 막부에 대한 정치사적 연구는 크게 권문체제론權門體制論과 동국국가론東國國家論에 입각한 방대한 성과를 가지고 있다. 이하에서는 종래의 연구성과에 의거하면서, 12세기 말 가마쿠라 막부의 성립에 이르기까지 무사 세력의 사회적?정치적 성장 과정을 ‘무위’의 개념을 통하여 구성해 보도록 하겠다.
가마쿠라 막부는 본래 무사들의 무력을 결집한 군사정권으로서 성립하였다. 막부 존립의 현실적 근거는 군사력이었고, 막부는 군사정권으로서의 위광?위세를 국가 속에서 주장, 확보하려고 하였다. 그러한 무사정권으로서의 위광을 ‘무위’로 파악하고 그것이 가마쿠라 시대를 통하여 어떻게 발현되고 확립되어 갔는가를 고찰하는 것은 가마쿠라 막부의 성립과 발전 과정을 살피는 데 유효한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를 통하여 막부幕府와 조정朝廷 관계의 실태, 나아가 중세 국가 속에서 막부가 차지하는 위치와 역할을 보다 명확히 할 수 있지 않을까 한다. 이 장은 그 첫 번째 단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