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최소주의와 최후의 수단

최소주의와 최후의 수단

(언어의 본질을 보여주는 핵심적인 책략)

김광섭 (지은이)
한국문화사
2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4,000원 -0% 0원
1,200원
22,800원 >
24,000원 -0% 0원
0원
24,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4,000원 -10% 1200원 20,400원 >

책 이미지

최소주의와 최후의 수단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최소주의와 최후의 수단 (언어의 본질을 보여주는 핵심적인 책략)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영어영문학 > 영어학
· ISBN : 9788968176241
· 쪽수 : 356쪽
· 출판일 : 2018-04-10

책 소개

최후의 수단이라는 개념은 촘스키의 저서 <통사구조>에서 처음 제시되었다. 저자는 최후의 수단이 지엽적이거나 예외적인 것이 아니라, 언어 전반에 걸쳐 매우 광범위하게 적용되는 책략이며, 언어의 본질을 잘 드러내 주는 핵심적인 개념이라는 것을 다양한 언어현상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

목차

머리말 / v

들어가는 말

제1부/ 최후의 수단으로서의 삽입
제1장 Do-삽입
제2장 ‘하’-삽입
제3장 To-삽입
제4장 That의 분포와 삽입전략
제5장 For의 분포와 삽입전략
제6장 허사(expletive) it/es-삽입
제7장 격과 삽입에 의한 보수

제2부/ 최후의 수단으로서의 생략
제8장 복원가능성의 원리(Principle of Recoverability)
제9장 최후의 수단과 통사-음운접합부와 논리형태부(LF)에서의 복사본 생략 (Copy Deletion)
제10장 국부조건(locality condition)위반과 생략에 의한 보수
제11장 최후의 수단으로의 후치사 생략
제12장 최후의 수단으로서의 굴절어미 생략

제3부/ 통사부와 논리형태부(LF)에서의 최후의 수단
제13장 최후의 수단으로의 재병합(remerge)
제14장 최후의 수단으로의 표찰달기(labeling)
제15장 논리형태부(LF)에서의 삽입에 의한 보수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김광섭 (지은이)    정보 더보기
University of Maryland, College Park 언어학과 언어학 박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영어학과 영어학 석사, 박사 한국외국어대학교 영어학과 영어학 학사 경력 현) 한국외국어대학교 영어통번역학부 교수 전)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 학장 전) 한국외국어대학교 Tesol대학원장 전) 한국생성문법학회 회장 공저 『의문사와 의문문의 통사와 의미』(한국문화사, 공저) 『Plurality in Classifier Languages』(한국문화사, 공저) 『The Grammar of Copulas Across the Languages』(Oxford Univ. Press, 공저) 외 다수 논문 English C moves downward as well as upward (Linguistic Inquiry) Movement paradoxes are not paradoxes (Lingua) 외 다수
펼치기

책속에서

제2장 ‘하’-삽입

제1장에서 우리는 영어의 시제가 접사의 형태로 나타나며 접사가 좌초될 위험에 처해 있을 때 do가 삽입되는 것을 보았다. 한국어의 시제도 접사이므로 do-삽입에 상응하는 현상이 한국어에도 존재하리라고 예측할 수 있다. 예측하는 바와 같이, 한국어에도 영어의 모형동사 ‘do’에 해당하는 의미가 없는 모형동사 ‘하’가 존재하며, 이 ‘하’는 최후의 수단으로 삽입되는 요소라고 분석할 수 있다. 본 장에서는, 모형동사 ‘하’가 나타나는 부정문과 강조문을 ‘하’-삽입의 시각에서 분석하게 되면, 상당히 많은 현상을 자연스럽게 설명할 수 있음을 보이고자 한다.

2.1 장형부정문과 ‘하’-삽입

한국어에는 두 종류의 부정문이 존재한다. 소위 장형부정과 단형부정이 그것이다. (1a)와 (1b)가 각각 장형부정과 단형부정의 대표적인 예인데, 바로 장형부정문인 (1a)에서 ‘하’가 등장한다.

(1) a. 철수가 영희를 만나지 아니 하였다.
b. 철수가 영희를 안 만났다.

(1a)의 ‘하’는 축약(contraction)과 관련하여 본동사 ‘하’와는 다른 행태를 보인다. (2a)에 나오는 본동사 ‘하’는 ‘ㅎ’으로 축약될 수 없다.

(2) a. 철수가 숙제를 안했다.
b. *철수가 숙제를 않았다.

반면에 (1a)의 경우에는 ‘하였다’의 ‘하’가 ‘ㅎ’으로 축약될 수 있다.

(3) 철수가 영희를 만나지 않았다.

이렇게 축약이 가능하다는 것은 의미가 약하거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분명한 것은 (1a)와 (3)에서 ‘하’나 ‘ㅎ’은 ‘수행하다’의 의미를 갖고 있지는 않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들 문장의 ‘하’는 본동사로 쓰였다고 볼 수 없다. 이렇게 ‘하’가 두 종류가 있다는 것은, 영어의 do동사가 본동사와 조동사 두 가지 용법으로 다 쓰일 수 있다는 것을 연상시킨다.
영어의 조동사 do가 부정문에서 나타나는 이유를 상기하면서 한국어의 의미 없는 동사 ‘하’가 부정문에서 나타나는 이유를 설명하여 보기로 하자. 영어의 경우 동사와 시제가 별개의 구성소이며, 이 둘은 핵이동을 통하여 만난다고 가정하였다. 한국어도 영어와 같은 방식으로 문장이 도출된다면, 문장 (4)는 (5a-b)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만들어진다. 즉, 동사 ‘만나’가 핵이동을 통하여 시제 ‘ㅆ’ 쪽으로 이동해 나가면 ‘만났다’가 생성된다.

(4) 철수가 영희를 만났다.
(5) a. 철수가 영희를 만나 ㅆ다: ‘만나’가 시제로 이동
b. 철수가 영희를 만나 만났다.

영어의 경우 문부정소 not은 동사구와 시제형태소 T사이에서 나타남을 보았다. 한국어 문부정문의 경우에도, 영어와 마찬가지로 부정형태소 ‘아니’가 동사구와 시제형태소 사이에 나타난다. 이렇게 부정형태소가 동사와 시제형태소 사이에 끼게 되면 문제가 발생한다. 그 문제란, 시제형태소가 접사화를 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이다. 과거시제 형태소인 ‘ㅆ’은 접사로서 반드시 동사에 들러붙는 접사화를 해야 한다, 하지만 (6a)에서, 시제접사에 인접한 요소는 동사가 아니라 부정형태소이다. 문제는 부정형태소는 시제접사의 지지대 역할을 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최후의 수단으로 ‘하’가 삽입된다고 주장하면, 기본적으로 영어의 부정문과 한국어의 부정문이 유사한 방식으로 도출된다고 할 수 있다.

(6) a. 철수가 영희를 만나지 아니 였다: ‘하’-삽입
b. 철수가 영희를 만나지 아니 하였다.

지금까지의 논의를 요약하여 보기로 하자. 시제 ‘였’은 통사적으로 동사구나 부정어구(NegP)를 취할 수 있다. 그런데 음운-통사부에서는 시제가 반드시 동사와 병합하여야 한다. 따라서 동사구가 부정어구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음운-통사부에서 최후의 수단으로 ‘하’가 삽입되어 시제가 동사라는 지지대를 필요로 한다는 요구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

2.2 단형부정

한국어의 부정문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쟁점 중의 하나는 단형부정과 장형부정이 관련성을 맺고 있느냐 하는 것이다. 관련성 여부를 가리기 전에, 먼저 장형부정의 구조를 다시 한번 살펴보기로 하자. (7)에서 동사 ‘만나’가 시제 ‘였’으로 이동하지 못하는 이유는 부정소 ‘아니’ 때문일 수도 있고, 아니면 ‘아니’가 취하는 명사형 보충어(complement)인 ‘지’ 때문이라고 말할 수도 있다.

(7) a. 철수가 영희를 만나지 아니 였다: ‘하’-삽입
b. 철수가 영희를 만나지 아니 하였다.

이제 한국어의 단형부정의 구조를 규명해보기로 하자. 예문 (8)에서 최소한 음운부(PF) 표상을 고려해 보면 부정소 ‘안’은 동사 ‘만나’의 자매이다.

(8) 철수가 모든 사람을 안 만났다.

문장 (8)이 (9)와 같은 구조를 갖는다고 가정하여 보자. 그렇다면, ‘안’은 동사만을 부정해야 한다. 왜냐하면 ‘안’의 작용역은 자신의 성분통어영역이기 때문이다.

(9) 철수가 모든 사람을 [안 만나]았다.

그러나 (8)에서 ‘안’은 ‘모든 사람’을 부정할 수 있다. 즉, (8)은 ‘not>every people’의 해석을 허용하여 ‘철수가 모든 사람을 만난 것은 아니다’라는 의미를 줄 수 있다. 따라서 ‘안’이 동사 ‘만나’의 자매라고 주장하는 것은 잘못된 주장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중의 하나는 이동을 이용하는 것이다. 먼저 부정어 ‘안’이 동사구를 수식하며, 동사구내의 목적어가 이동해 나갔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10) a. 철수가 [안 [모든 사람을 만나] 았다: 목적어 이동
b. 철수가 모든 사람을 [안 [모든 사람을 만나]] 았다

이러한 주장의 한 가지 문제점은 왜 목적어가 반드시 이동해 나가야 하느냐 하는 것이다. 만약 부정어 ‘안’이 동사구 ‘모든 사람을 만나’를 수식한다면 부정문에서는 목적어가 반드시 이동해 나간다고 가정해야 한다. 왜냐하면 (11)과 같은 문장이 비문이기 때문이다.

(11) *철수가 안 모든 사람을 만났다.

일반적으로 동사구를 수식하는 부사는 목적어 전후에 모두 나타날 수 있다.

(12) a. 철수가 매우 영희를 사랑한다.
b. 철수가 영희를 매우 사랑한다.

이러한 점에 비추어 볼 때 ‘안’이 동사구 수식어라는 주장은 그리 만족스러운 주장은 아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68177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