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외국어 > 중국어 > 중국어 어휘/문법
· ISBN : 9788968176289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18-05-05
책 소개
목차
▪역자 서문
▪한국어판 저자 서문
▪저자 서문
제1장 품사별 주요 오류 유형
제1절 명사의 주요 오류 유형
1. 한자어 명사로 대체한 오류
2. 时间, 时候를 期间으로 대체한 오류
3. 방위사 里의 대체 오류
4. 刚을 刚才로 대체한 오류
5. 以后를 后来로 대체한 오류
제2절 동사의 주요 오류 유형
1. 한자어 동사로 대체한 오류
2. 会를 可以로 대체한 오류
3. 能을 会로 대체한 오류
4. 会를 能으로 대체한 오류
5. 认为를 以为로 대체한 오류
6. 觉得를 感觉로 대체한 오류
7. 不得의 어순 오류
8. 이합사 중첩식의 오류
제3절 형용사의 주요 오류 유형
1. 大의 오류
2. 坏의 오류
3. 平安의 오류
4. 少를 小로 대체한 오류
5. 형용사를 동사로 대체한 오류
제4절 대명사의 주요 오류 유형
1. 怎么를 多么로 대체한 오류
2. 那儿을 哪儿로 대체한 오류
3. 那么의 오류
4. 哪儿의 오류
5. 의문대명사의 어순 오류
6. 这样의 어순 오류
7. 지시대명사의 누락 오류
제5절 수사와 양사의 주요 오류 유형
1. 한국어 양사로 대체한 오류
2. 两을 二로 대체한 오류
3. 前后를 左右로 대체한 오류
4. 양사 앞 一의 누락 오류
5. 양사의 누락 오류
6. ‘동사+了+(수량)+명사’의 명사 앞 수량구 누락 오류
7. 수량구의 어순 오류
8. 多의 어순 오류
9. 余의 어순 오류
10. 동량사의 오류
제6절 부사의 주요 오류 유형
1. 不를 没로 대체한 오류
2. 还를 又로 대체한 오류
3. 又를 再로 대체한 오류
4. 有点儿을 一点儿로 대체한 오류
5. 经常을 常常으로 대체한 오류
6. 不와 没의 어순 오류
7. 刚刚의 어순 오류
8. 就의 어순 오류
9. 也의 오류
10. 都의 오류
11. 很의 오류
12. 真의 오류
제7절 전치사의 주요 오류 유형
1. 对于의 오류
2. 在의 오류
3. 对의 오류
4. 对를 给로 대체한 오류
5. 对를 向으로 대체한 오류
6. 对를 跟으로 대체한 오류
7. 为了의 어순 오류
제8절 접속사의 주요 오류 유형
1. 或者를 还是로 대체한 오류
2. 另外를 还有로 대체한 오류
3. 所以를 于是로 대체한 오류
4. 除了를 除非로 대체한 오류
5. 即使를 如果로 대체한 오류
6. 即使를 虽然으로 대체한 오류
7. 和의 오류
8. 不但의 어순 오류
9. 不管, 不论, 无论의 오류
10. 而의 오류
제9절 조사의 주요 오류 유형
1. 的의 오류
2. 得의 오류
3. 地의 오류
4. 了의 오류
5. 着의 오류
6. 吗의 오류
7. 吗를 呢로 대체한 경우
제2장 문장 성분별 주요 오류 유형
제1절 주어의 주요 오류 유형
1. 주어 앞 전치사 첨가 오류
2. 주어 뒤 방위사 첨가 오류
3. 주어와 부사어의 어순 오류
제2절 술어의 주요 오류 유형
1. 명사(구) 술어 앞 是의 누락 오류
2. 동사(구) 술어 앞 是의 첨가 오류
3. 형용사(구) 술어 앞 是의 첨가 오류
4. 연동문의 선행동사 누락 오류
5. 명사(구) 술어 오류
제3절 목적어의 주요 오류 유형
1. 한정성 목적어의 오류
2. 목적어 앞 수량 성분의 오류
3. 목적어의 중심어 누락 오류
4. 이합사가 목적어를 갖는 오류
5. 목적어와 시량보어의 어순 오류
6. 목적어와 동량보어의 어순 오류
7. 进行의 목적어 오류
제4절 관형어의 주요 오류 유형
1. 多의 오류
2. 的의 오류
3. ‘真+형용사’의 오류
4. 다항 관형어의 어순 오류
제5절 부사어의 주요 오류 유형
1. 부사어의 어순 오류
2. 부사어 표지 地의 누락 오류
3. 다항 부사어의 어순 오류
제6절 보어의 주요 오류 유형
1. 결과보어의 오류
2. 방향보어의 오류
3. 가능보어의 오류
4. 상태보어의 오류
5. 정도보어의 得 첨가 오류
제3장 구문별 주요 오류 유형
1. 是…的구문의 오류
2. 有비교문의 오류
3. 比비교문의 오류
4. 把구문의 오류
5. 被구문의 오류
6. 连구문의 오류
7. 给구문의 오류
8. 有존재문의 주어 오류
9. 让구문을 使구문으로 대체한 오류
제4장 단락에서의 주요 오류 유형
1. 잉여 오류
2. 누락 오류
3. 지시성분과 선행사의 불일치 오류
4. 지시대명사의 오류
5. 시간 연결 성분의 오류
6. 공간 연결 성분의 오류
7. 논리 연결 성분의 오류
8. 명사 앞 수량 성분의 누락 오류
9. 지시 성분의 오류
▪참고문헌
▪보충설명 찾아보기
▪용어표
저자소개
책속에서
[머리말] : 역자 서문
한국과 중국은 지정학적으로 인접해 있지만 상반되는 언어 특징을 가지고 있다.중국어는SVO를기본어순으로하며,대표적인고립어(isolating language)로서 형태표지가 아닌 어순에 의해 문법관계가 표현된다. 반면 한국어는 SOV를 기본어순으로 하며 대표적인 교착어(agglutinative language)로서 다양한 격조사를 통해 문법관계를 표현한다. 따라서 중국어와 달리 한국어는 어순이 바뀌어도 문장의 기본 의미가 변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그가 너를 사랑한다’와 ‘너를 그가 사랑한다’는 어순이 달라도 의미가 서로 통하지만, ‘他?? 그가 너를 사랑한다’와 ‘??他 너는 그를 사랑한다’는 어순이 달라짐에 따라 의미도 달라진다.
한국인 중국어 학습자들은 한국어의 이러한 언어 유형적 특징 때문에 문법적 관계가 주로 어순에 의해 엄밀하게 표현되는 중국어의 특징을 제대로 인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한국어는 후치사 언어인 반면에 중국어는 전치사 언어이다. 대표적으로 중국어는 부정법 및 화자의 의도나 판단을 나타내는 핵심 성분이 모두 동사의 앞쪽에 출현하지만, 한국어의 경우 핵심 성분이 동사의 뒤쪽에 위치한다. 이러한 언어적 차이점 때문에 중국어 문장을 배열 순서대로 번역하면 한국어 자체에 문제가 없다고 하더라도 원래의 의미를 온전하게 전달하지 못하게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好好?着, ???!”의 문장을 “잘 듣기만 하고 말은 하지 마라.”라고 해석할 수 있지만, 순서를 바꾸어 “말하지 말고 잘 듣기나 해라.”로 해석하는 것이 더 자연스럽고 정확한 번역이다.
이러한 예들을 보더라도 한국어와 중국어는 공통점보다는 차이점이 더 많다. 설령 한국어 어휘의 약 70%가 한자어로 구성되어 한국인 중국어 학습자들이 중국어 단어의 의미를 비교적 수월하게 인지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중국어 단어를 어순에 맞게 배열하여 문장을 구성함에 있어 모어의 부정적인 간섭은 난공불락의 오류 발생의 주요 원인이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인 중국어 학습자들에게 중국어의 개별 특징만을 열거한 이론 중심의 문법서보다는 한국어와 중국어의 특징을 대조 분석하여 두 언어 사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기술한 한국어 맞춤식의 중국어 문법서가 효과적일 것이다.
본서의 역자들은 2014년 한국연구재단의 글로벌연구네트워크(GRN) 사업에 선정된 <한국인 학습자를 위한 중국어 결합관계 연구(A study of the Chinese collocation for Korean learners)>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현대 중국어 단어의 결합관계 양상에 대해 진지한 탐색을 해왔다. 중국어 어휘 간의 결합에 있어 한국인 학습자들이 범하는 오류의 형태에 초점을 맞추어 어휘에서 통사로 연구 범위를 확대시켜 논의를 진행하던 중 2016년에 간행된 ??한국인이 자주 틀리는 중국어 문법 오류 분석(??人???常??法???疑)??을 만난 것은 진정 행운이었다.
베이징대학교 대외한어교육대학의 ?德峰, 姚? 교수는 다년간 한국인 학습자의 작문 자료를 수집하여 <한국인 중국어 학습자 중간언어 코퍼스(???生??中介??料?)>를 구축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한국인 학습자에게서 자주 출현하는 문법 오류를 단어, 문장성분, 문형, 단락 등 네 부분으로 나누어 기술하고, 그 원인을 심도 있게 분석하였다. 기존의 문법 오류 연구는 한국인 학습자들의 오류 현상과 유형을 분류하는 데에만 주력하였지만, 본서는 오류가 발생하는 근본적인 원인에 대해 중점적으로 분석하여 학습자들이 유사한 오류를 반복하여 범하지 않도록 하였으니, 참으로 시의적절한 중국어 문법서가 아닐 수 없다.
본 프로젝트팀은 원서가 출간되자마자 바로 번역작업에 들어갔으나 2017년 끝자락에야 마무리 짓게 된 것은 의외의 복병을 만났기 때문이다. 그것은 다름 아닌 베이징대학교에서 수집한 학습자 오류 데이터가 남북한 중국어 학습자를 모두 포괄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본 프로젝트팀은 저자의 동의를 얻어서 번역 과정 중에 생경하고 이질적인 ‘북한식’ 표현은 정리하고 ‘대한민국식’ 언어를 기반으로 재편집하고 수정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남북한 단절 60년의 언어 차이 또한 체감할 수 있었다.
본서는 한국인 중국어 학습자들의 방대한 오류 데이터를 포괄적으로 수집하고, 한중 언어 대조라는 시각에서 중국어 문법 전반에 걸쳐 오류의 원인을 생생하게 밝힌 秀作이다. 그러한 의미에서 본서가 한국에서 출판되는 중국어 문법서의 전환점이 될 것이라는 기대와 함께 향후 한국에서 이루어지는 중국어 교육에 이바지할 수 있기를 소망한다.
2017년도 마지막 달력을 넘기면서
역자 일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