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문화융합시대의 아시아 1

문화융합시대의 아시아 1

(새로운 공동체를 꿈꾸며)

구현아, 권혁래, 김광식, 김향숙, 박영진, 사토 요지, 심소희, 정준곤, 최말순, 최원오 (지은이)
역락
21,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950원 -5% 0원
1,050원
18,9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1,000원 -10% 1050원 17,850원 >

책 이미지

문화융합시대의 아시아 1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문화융합시대의 아시아 1 (새로운 공동체를 꿈꾸며)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67427373
· 쪽수 : 268쪽
· 출판일 : 2024-04-19

책 소개

용인대학교는 2023년에 최초로 유라시아 재단의 기금을 지원받아 당해 2학기 ‘문화융합시대의 아시아’라는 과목으로 강좌를 개설하였다. 이 책은 첫 학기 강좌에서 강의한 내용을 토대로 편찬한 것이다.

목차

고대 동아시아의 문화융합, ‘중화(中華)’
심소희

문화융합의 관점에서 본 우리나라 외국어 교재 편찬의 역사
구현아

근대 시기 아시아 각국의 설화 조사・연구 현황과 전망
권혁래

일본 및 재일한국인의 옛이야기 활용 −<삼년고개>를 중심으로
김광식

동북아시아 삼강(三江) 유역 소수민족의 영웅신화와 문화적 혼종(混種)
최원오

대만 매체를 통해 본 한국과 대만인의 한국 인식
최말순

공자(孔子)−사랑을 묻다
박영진

한일관계와 아시아 공동체
김향숙

새로운 공동체를 향하여−그 필요성과 의미에 대해
정준곤

진리의 탐구−우리는 어디에서 왔는가? 누구인가? 어디로 가는가?
사토 요지(佐藤 洋治)

저자소개

최원오 (감수)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에서 ‘동아시아 무속영웅서사시의 변천과정 연구’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광주교육대학교 국어교육학과 교수, 한국구비문학회 회장, 광주광역시 무형유산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서울민속학회장, 『고전문학연구』 및 『열상고전연구』 『동화와번역』 편집위원장을 역임하였으며, 인디애나대학교 민속학 및 민족음악학부 박사후과정 및 방문학자를 지냈다. 구비문학 전반을 비교 연구하는 데 주력하고 있으며, 구비문학의 문화콘텐츠화, 옛이야기를 소재로 한 동화와 그림책 창작에도 관심을 가지고 있다. 저서로 『동아시아 비교서사시학』 『An Illustrated Guide to Korean Mythology』 등이 있다.
펼치기
사토 요지 (지은이)    정보 더보기
EURASIA FOUNDATION from asia 이사장
펼치기
최말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최말순은 부산대학교에서 중국 문학을 공부하고, 타이완 국립정치대학(國立政治大學) 중문과에서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국립중정대학(國立中正大學) 타이완문학연구소(台灣文學硏究所)를 거쳐 현재 국립정치대학 타이완문학연구소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전공 영역은 식민지 시기 타이완 문학의 근대성에 관한 고찰이다. 기타 동아시아 국가의 현대 진입 과정 및 문학적 대응 등을 비교 연구하는 데 관심이 있다. 저서로는 박사논문 <現代性與臺灣文學的發展(1920∼1949)>과 ≪海島與半島: 日據臺韓文學比較≫(台北: 聯經出版社, 2013)가 있고, 편저로 ≪타이완의 근대문학 1∼3≫(서울: 소명출판사, 2013)이 있으며, 그간 발표한 논문으로는 <1930년대 대만문학 맥락 속의 장혁주>, <전쟁시기 대만문학의 심미화 경향과 그 의의>, <일제시기 소설의 ‘발전형’ 서사와 인물 ‘신생’의 의의>, <≪오래된 정원≫과 ≪忠孝公園≫-황석영과 陳映眞 소설의 역사인식> 등 30여 편이 있다. 그 외 수 년간 타이완과 한국에서 두 나라의 역사·문화·정치·사회 일반에 대한 강연을 진행하고 있다. 두 나라의 잡지와 신문에 이와 관련한 에세이를 싣고 있는데, 한국에선 ≪부산일보≫, ≪플랫폼≫, ≪말≫, ≪한겨레21≫ 등에, 타이완에선 ≪롄허원쉐(聯合文學)≫, ≪쯔유스바오(自由時報)≫, ≪타이완문학연감(台灣文學年鑑)≫, ≪원쉐타이완(文學台灣)≫ 등에 다수의 글을 발표했다.
펼치기
구현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어 역사음운론 용인대학교 용오름대학 조교수 復旦大學 中國語言文學系 박사 대표 저역서로 『디지털로 되살린 근대 중국어의 세계』, 대표 논문으로 「淸末 ⺠初 北京官話 교재에 나타난 웨이드식 표기의 특징 연구」, 「고서 한자 인식 OCR의 데이터 수집과 활용 방안 고찰」 등이 있다.
펼치기
김광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민속학, 릿쿄대학 겸임강사, 한양대 석사, 東京學藝대학 박사 연세대, 東京理科대학, 요코하마국립대학, 사이타마대학, 일본사회사업대학 등에서 강의했고, 20여 년간 일본에 거주하며 동아시아 민속, 전승 문화를 연구 중 단행본 『식민지기 일본어 조선설화집의 연구(植民地期における日本語朝鮮說話集の硏究-帝國日本の「學知」と朝鮮民俗學)』(2014), 『식민지 조선과 근대설화』(2015), 『근대 일본의 조선 구비문학 연구』(2018), 『한국ㆍ조선 설화학의 형성과 전개(韓國ㆍ朝鮮說話學の形成と展開)』(2020), 『북한 설화의 새로운 이해』(2022) 등 공저 『식민지 시기 일본어 조선설화집 기초적 연구』, 『경성제국대학 부속도서관 장서의 성격과 활용』, 『박물관이라는 장치(博物館という裝置)』, 『국경을 초월하는 민속학(國境を越える民俗學)』, 『日韓歷史共通敎材 調べㆍ考えㆍ步く日韓交流の歷史』 등 역서 『조선아동 화담』(2015), 『제국일본이 간행한 설화집과 교과서』(2019), 『문화인류학과 현대민속학』(2020) 등
펼치기
권혁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용인대학교 용오름대학 교수
펼치기
김향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日本大學 文理學部 겸임강사
펼치기
박영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용인대학교 용오름대학 교수
펼치기
정준곤 (지은이)    정보 더보기
EURASIA FOUNDATION from asia 수석연구원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74298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