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외국어 > 영어회화 > 생활영어
· ISBN : 9788968176876
· 쪽수 : 1072쪽
· 출판일 : 2018-11-10
책 소개
목차
■ 머리말
■ 음성부호
A ~ Z
■ 용어 해설
■ 참고문헌
■ 사전
■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머리말] : 저자서평
시간이 나는 대로 오랫동안 이 책을 위해 자료를 모아오고 있었으나 이만하면 충분하다는 생각이 들지 않았다. 자료를 점검할 때마다 부족한 부분이 눈에 띄었으나 나이도 있고 해서 이 정도로 그간 모아온 자료들을 책으로 묶어 출판하기로 했다. 이 책은 영문법의 기본 개념을 어느 정도 알고 있다는 가정 하에서 쓰였기 때문에 영어를 처음 배우는 사람에게는 좀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모든 다른 언어와 마찬가지로 영어에도 우리가 비교적 쉽게 그리고 체계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문법적 문제가 있는가 하면, 널리 사용되는 표현들 중에는 그 표현들이 왜 (문법적으로?) 허용되는가를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것들이 허다하다.
영어에서는 많은 단어가 한 가지 문법적 범주로만 사용되지 않을 때가 많다. 예를 들어 “that”라는 단어를 생각해 보자. “that”는 지시대명사로 쓰일 수 있으며(예: That’s my boy.), “a”나 “the”와 같은 관사와 같이 한정사로 쓰일 수 있다(예: That boy is my son.). “that”는 또한 명사절을 이끄는 접속사로 쓰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예: He said that he loved her.), 관계대명사로도 쓰이며(예: I lost the wallet that my wife bought for me.), 나아가서 부사로서 형용사와 부사를 수식할 수 있다(예: The fish he caught was that big; I didn’t know he could run that fast.).
책의 성격상 많은 예문이 주어지고 예문을 중심으로 설명을 전개하고 있다. 자연히 어떤 예문은 문법적으로 허용되지만 어떤 표현은 허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Richard Burton was one of the most famous actors”는 가능하지만 “*Richard Burton was one of my most favorite actors”는 허용되지 않는다. 영어에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는 표현 앞에는 별표지(*)를 붙여 표시하였다. 물론 영어에서 어떤 표현이 문법적이고 어떤 것이 비문법적인지를 모두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어떤 표현에 대해서는 단순히 “이렇게” 사용되지 않는다고 말할 수밖에 없는 경우도 상당히 많다. 예를 들어 영어에는 날짜를 표현하는 “today, tomorrow, yesterday”가 있고, 하루의 한 부분을 표현하는 “morning, afternoon, evening, night”라는 단어가 있다. 그러나 이들 두 집단의 단어를 자유롭게 결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앞의 세 단어 중에 tomorrow만이 뒤의 네 단어와 자유롭게 결합할 수 있으며 (tomorrow morning, tomorrow afternoon, tomorrow evening, tomorrow night), yesterday의 경우에는 “*yesterday night”라고 하지 않고 “last night”라고 한다. 그러나 today는 “morning, afternoon, evening, night”의 어떠한 단어와도 결합할 수 없으며 (*today morning, *today afternoon, *today evening, *today night), 대신에 this를 사용하지만 (this morning, this afternoon, this evening) “*this night”라고 하지 않고 “tonight”라는 단어가 별도로 존재한다.
영어에는 흥미롭고 신기한 현상이 많다. “The lecture was a bit boring.”과 “The lecture was a little boring.”은 의미가 유사하지만, “He was not a bit surprised.”와 “He was not a little surprised.”는 왜 다른 의미로 해석되는 것일까? 가령 여러분이 인천국제공항에서 미국인 관광객을 만났다고 하자. 그 외국인에게 “한국에 처음 오셨습니까?”라고 묻고 싶은데 “Have you ever been to Korea?”와 “Have you been to Korea before?” 중에 어느 문장이 자연스러울까? 우리는 “It’ll take a long time to get there.”라고는 해도 “*It won’t take a long time to get there.”라고 하지 않으며, 대신 “It won’t take long to get there.”라고 한다. 우리는 “dozens of eggs, hundreds of people”이라고는 해도 “*two dozens of eggs, *five hundreds of people”이라고는 하지 않는다. 이 책은 문법적으로 궁금한 점뿐만 아니라 실제로 표현하는 데 나타나는 다양한 제약을 다루고 있다.
책 끝에 비교적 상세한 어휘 색인(lexical index)을 마련하여 독자의 관심이 가는 표현을 쉽게 찾을 수 있게 했다. 또한 사용된 용어의 이해를 도울 수 있는 용어 해설(glossary)과 특정 문법현상에 관심이 있는 사람을 위해 주제 색인(subject index)도 준비했다.
이 책의 출판을 흔쾌히 허락해 주신 한국문화사 김진수 사장님께 감사드린다. 또한 유난히 더운 여름에 원고의 수정과 편집에 애써주신 한국문화사 김태균 전무님을 비롯한 편집진에 특별한 감사를 드린다.
2018년 11월
이 홍 배
A1 a(n)(부정관사)
부정관사에는 a와 an 두 가지 형태가 있다. an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단어 앞에 나타나고, a는 그 외의 경우에 나타난다.
1 형태: 문자 “e, o, u”로 시작하는 단어가 자음으로 발음되면 a를 사용하고 그 외의 경우에는 an을 사용한다. 문자 “h”는 시작하는 단어 중에는 “h”가 묵음이 되는 경우가 있으며, 이 경우 an이 사용된다.
a + 자음 an + 모음
a European style an Egyptian darkness
a one-way ticket an only child
a unique opportunity an unknown artist
a + h an + 묵음 h
a holy place an honor student
a huge building an hour’s rest
2 약자와 문자: “a, e, i, o, f, h, l, m, n, r, s, x” 문자는 독립적으로 발음할 때 모음으로 시작하기 때문에 이들 문자로 시작하는 약자나 문자 앞에는 an이 사용되고, 그 외의 경우에는 a가 사용된다.
a KBS announcer an MBC reporter
a VIP room an FBI agent
a “k” an “x”
a “u” an “o”
3 숫자: 모음으로 발음이 시작되는 숫자 앞에는 an이 오고, 자음으로 발음이 시작되는 숫자 앞에는 a가 온다.
a “1” an “8”
a “10” an “11”
a “20” an “18”
4 자음 앞에 오는 a에는 강형 /eı/와 흔히 쓰이는 약형 /ə/가 있고, 모음 앞에 오는 an에는 강형 /æn/과 흔히 쓰이는 약형 /ən/이 있다.
He’s a /ə/ doctor. (그는 의사다.)
I gave him a /eı/ THOUSAND dollars. (나는 그에게 천 불을 주었다.)
He’s an /ən/ engineer. (그는 공학자다.)
NATO is an /æn/ ACRONYM. (나토는 두문자어다.)
부정관사의 용법에 대해서는 A58 보라.
A2 abbreviations(약자)
우리는 글이나 말에서 매우 자주 약자(abbreviations)를 접하게 된다.
He was born in ca. 1769. (그는 대략 1769년에 태어났다.)
(= approximately in the year 1769; circa의 약자)
Often a man uses a more formal style when addressing a woman. (cf. Trudgill 1986).
(남성은 종종 여성에게 말할 때 더 격식적인 말투를 쓴다.)
(= compare with Trudgill 1986; confer의 약자)
NATO was organized under the leadership of the United States after World War II.
(나토는 세계 2차대전 이후에 미국의 주도 아래 조직되었다.)
(NATO는 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의 약자)
1 약자와 마침표: 현대 영국영어에서는 약자에 일반적으로 마침표를 찍지 않는 데 반하여 미국영어에서는 찍는 것이 정상이다.
Mr (미국 Mr.) = Mister (일반적으로 완전한 형태로 쓰지 않는다)
Ltd (미국 Ltd.) = Limited (company)
kg (미국 kg.) = kilogram
2 두문자 약자: 어떤 약자는 단어의 첫 문자로 구성된다. 이러한 단축은 기관이나 조직의 이름에서 자주 볼 수 있다.
BBC = the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영국방송협회)
FBI = the Federal Bureau of Investigation (연방수사국)
UNESCO =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유네스코: 유엔 교육 과학 문화기구)
(NATO는 the 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의 약자)
3 두문자어: 두문자 약자에는 문자 하나하나를 발음하는 (예를 들어 BBC) 것과 어떤 것은 단어처럼 발음하는 (예를 들어 UNESCO) 것이 있다. 후자를 두문자어(acronyms)라고 부른다.
► 두문자 약자
NBC = the National Broadcasting Company (미국의 방송회사)
ROTC = Reserve Officers’ Training Corps (예비역 장교 훈련단)
UPI = the United Press International (미국의 통신사)
► 두문자어
AIDS/Aids /eɪdz/: 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 (후천성 면역결핍 증후군)
WASP /wɑ:sp/: White Anglo-Saxon Protestant (앵글로 색슨 백인 신교도)
AWOL /eɪwɑ:l/: absent without leave ((군무의) 무단이탈)
4 약자와 정관사: 두문자 약자 앞에는 정관사 the가 올 수 있지만, 두문자어 앞에는 올 수 없다.
She works as a newscaster for the KBS. (그녀는 KBS에서 뉴스캐스터로 일한다.)
The CIA sometimes collides with the FBI on issues related to national securities.
((미)중앙정보국은 국가안보 문제와 관련된 문제에서 때때로 (미)연방수사국과 충돌을 일으킨다.)
She served as a spokeswoman for (*the) NATO from 2010 to 2012.
(그녀는 2010년부터 2012년까지 북대서양 조약기구의 대변인으로 일했다.)
He has spent all his life to find cure for (*the) AIDS.
(그는 후천성 면역결핍 증후군의 치료법을 찾는 데 평생을 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