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외국어 > 프랑스어
· ISBN : 9788968179006
· 쪽수 : 207쪽
· 출판일 : 2020-06-2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일러두기
1 들어가는 말
2 이론적 기반 및 방법론
2.1. 시상 발화이론
2.2. 위상 구간
2.3. 위치탐지 시스템
3 시간 좌표계
3.1. 발화 유형에 따른 시간 좌표계
3.2. 동기화와 현동화 관계(Synchronisation et Actualisation)
4 프랑스어 직설법 현재시제
4.1. 현재시제의 의미적 가치 분석
4.2. 현재시제 분석 :
Wilmet (2010), Arrivé et al. (1986), Vet (2011)
4.3. 분석결과 비교 및 현재시제 불변소 추출
5 프랑스어 직설법 반과거 시제
5.1. 반과거 시제의 의미적 가치 분석
5.2. 반과거 시제 분석 :
Arrivé et al. (1986), Le Goffic (1986), Wilmet (2010)
6 프랑스어 직설법 복합 과거시제
6.1. 복합 과거시제의 의미적 가치 분석
6.2. 복합 과거시제 분석:
Arrivé et al.(1986), Vet(2011), Wilmet(2010)
6.3. 분석결과 비교 및 복합 과거시제 불변소 추출
7 현재, 반과거, 복합 과거시제 불변소의 적용 가능성
학문적 기대효과
실용적 기대효과
교육과의 연계 활용방안
참고문헌
Annexe 각 연구물 예문 분석
저자소개
책속에서
인지 언어학에서 인간은 모든 정보를 내적 상징 기호로서 저장한다고 말한다. 즉, 인간은 정보를 인지하고 저장하고 기억하는 데 있어서 문자나 음성을 그대로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상징적 기호인 그림이나 도식으로 저장한다고 본다.
위의 그림처럼 화장실 앞의 남자와 여자 그림, 신호등의 보행자 그림 등과 같이 인간을 상징하는 서로 다른 여러 그림을 보면서 모두가 동일하게 <사람>을 지시하는 그림임을 알 수 있는 것은 인간은 상징적 기호인 그림이나 도식으로 두뇌 안에 정보를 받아들이고 이것을 언어체계로 출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도 프랑스어의 세 가지 시제인 현재시제, 복합 과거시제, 반과거 시제와 각 시제와 연결된 상의 체계를 도식으로 시각화하여 프랑스어 학습자들이 직관적으로 문장의 의미를 파악하도록 돕고, 기계번역의 결과 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라 전제한다.
본 연구는 시제와 상을 엄격히 구분할 수 없으므로 이 둘을 하나의 분석 예문에서 분리해 다루지 않는다는 시상 발화이론을 토대로 한다. 시상 발화이론은 ‘적용·인지·발화 문법’이라는 언어계산 모델 안에서 제안되는 언어분석 기법으로, 인간이 사용하는 자연언어의 형태와 문법이 각기 다를지라도 공통으로 존재하는 의미 속성을 메타언어와 도식을 통해 추출할 수 있다고 전제한다. 그러므로 시상 발화이론의 틀 안에서 시간의 흐름을 도식적으로 표상하는 시간 좌표계를 사용하여 다양한 프랑스어 예문들을 분석한다면 여러 발화문 사이의 시간 관계 표현(전-후 관계, 동시성 관계, 포함관계 등)뿐만 아니라 발화문의 특징적 분석(속담 혹은 격언 구문, 인용문, 언어 외적 발화문, 잠재적 의미를 지니는 발화문, 화용적 발화문), 프랑스어 시제의 특수용법 (반과거 시제를 사용했지만 실제로는 현재시제를 의미하는 특수 예문) 등과 같은 시간 관계 및 의미표현까지 동시에 다룰 수 있다.
본문에서는 프랑스어의 세 가지 대표적 시제인 현재, 반과거, 복합 과거의 의미 가치를 분류하고, 시상 발화이론에서 주장하듯이 시제와 상을 같은 범주에서 분석하는 대표적인 프랑스 언어학자들의 연구 문헌에서 예문들을 추출한다. 그리고 이 문헌들이 취하는 시제 불변소에 대한 각각의 이론적 입장과 의미 가치분류에 대입된 분석을 비교하여 최종적으로 공통되는 의미자질을 찾는 것을 과업으로 삼는다. 이를 위해 우선 시상 발화이론에 관해 기술하고, 위상 구간과 위치탐지시스템의 개념을 시상 발화이론에 대입시켜 프랑스어 발화문을 형식적으로 표상할 수 있는 이론적 방법론을 제시한다. 이어서 도식적 표상체계인 시간 좌표계 시스템을 도입하여 프랑스어 각 시제의 특수용법을 포함한 다양한 유형의 발화문의 정확한 의미전달을 위한 형식적 기제를 구축한다.
기존의 프랑스어 시상 연구는 시제와 상을 따로 구분 지어 연구된 경향이 많다. 또한, 시제와 상을 형식화하는 도구로서 ‘좌표계’의 개념을 언어학에 도입한 이론적 · 응용적 연구는 흔히 찾아볼 수 없다. 이 책은 시제와 상 어느 한편에만 속하는 문법표지나 형태소를 다루기 어려우므로 이 둘을 하나의 발화문 안에서 따로 분리해 다루지 않는다는 시상 발화이론을 통해 발화문의 시간 관계 및 의미표현까지 시간 좌표계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구체적으로 시상 발화이론과 시간 좌표계 시스템은 여러 발화문 간의 전-후 시간 관계, 혹은 동시성이나 포함관계뿐만 아니라 속담이나 화용론적 발화문 또는 언어 외적 발화문과 같은 특징적 분석을 위한 도구로 사용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프랑스어 학습자들이 발화문의 정확한 의미를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향후 프랑스어-한국어의 자동 번역 및 의미추출을 기반으로 하는 전산화 작업을 위한 이론적 기반을 구축하는 데에도 매우 유의미한 토대연구가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