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영어 학습 동기 연구의 새 지평

영어 학습 동기 연구의 새 지평

김태영 (지은이)
한국문화사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5,000원 -0% 0원
1,250원
23,7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3개 23,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5,000원 -10% 1250원 21,250원 >

책 이미지

영어 학습 동기 연구의 새 지평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영어 학습 동기 연구의 새 지평 
· 분류 : 국내도서 > 외국어 > 영어학습법
· ISBN : 9788968179495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20-12-28

책 소개

한국의 영어 학습 동기를 둘러싼 구심력과 원심력의 긴장 관계 및 변화하는 영어 학습 동기 연구의 개별화 경향에 대해 설명하였다. 또한 영어 학습 동기 이론의 최근 변화 내용에 대해서 다루었다.

목차

머리말

1장 서론
1.1. 한국 영어교육 현장에 존재하는 구심력과 원심력
1.2. 일반화 경향에서 탈피한 새로운 학문적 경향
1.3. 이 책의 구성

2장 영어 학습 동기 이론의 최근 변화
2.1. Gardner(1985, 2010)의 사회교육 모형: 통합성과 도구성에 대한 오해
2.2. 1990년대의 혼란과 동기의 르네상스(Motivational Renaissance)
2.3. D?rnyei(2001, 2005, 2009)의 동기 이론: 과정 모형과 제2언어 동기적 자아 체계
2.4. 복잡계 이론과 제2언어 학습 동기 연구
2.4.1. 복잡계 이론의 특징
2.4.2. 복잡계 이론의 제2언어 학습 동기 적용: MacIntyre와 Serroul(2015)의 연구
2.5. 유도된 동기적 격동(Directed Motivational Currents; DMC)
2.5.1. 유도된 동기적 격동의 개념
2.5.2. 유도된 동기적 격동의 발생 및 유지를 위한 3요건

3장 2020년대 영어 학습 동기 연구의 새로운 주제들
3.1. 비전(vision)과 영어 학습 동기
3.1.1. 비전과 영어 학습 동기, 이상적 제2언어 자아 관련 연구
3.1.2 비전과 제2언어/영어 학습 동기의 미래 연구 과제
3.2. 영어 학습 동기와 회복탄력성
3.3. 긍정심리학의 여러 개념과 영어 학습 동기
3.3.1. 주관적 안녕(subjective well-being) 개념의 영어 학습 동기에 적용 가능성
3.3.2. 불안(anxiety), 즐거움(enjoyment), 학습 동기
3.4. 제2언어 학습 경험의 재발견: 정서 체험(Perezhivanie)

4장 학습 동기 증진 언어하기 활동의 실제
4.1. 언어하기(languaging)와 학습 동기 증진 언어하기(motivational languaging): 기본 개념
4.2. 영어 학습 동기 증진 언어하기 선행연구와 미래의 과제

5장 한국인의 경쟁적 영어 학습 동기와 문화심리학
5.1. 교실 상황을 반영한 한국 고유의 영어 학습 상황
5.2. 영어 학습에 작용하는 경쟁적 동기: 문화심리학적 고찰
5.3. 무동기 영어 학습
5.4. 무동기, 체념, 탈(脫)여가 문화에서의 영어 학습

6장 영어 학습 동기 연구의 남은 문제점과 미래 방향
6.1. 영어 학습 동기 연구 요약
6.2. 영어 학습 동기 연구의 당면 과제
6.2.1. 당면 과제 1: 대학원 교육과정의 문제
6.2.2. 당면 과제 2: 근본적 차이(fundamental difference) 가설의 붕괴
6.2.3. 당면 과제 3: 설문지법을 둘러싼 방법론적 문제
6.2.4. 당면 과제 4: 하향식, 상향식 환원주의의 문제
6.3. 영어 학습 동기 연구의 미래 방향과 제언
6.3.1. 예상되는 교육 환경 변화와 한국의 영어 학습 동기, 무동기, 탈동기
6.3.2. 영어 학습 동기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김태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영어교육과에서 학사 및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캐나다토론토대학교온타리오교육학연구소(OISE/UT)에서의사소통능력의세계적 권위자인메릴 스웨인 교수의 논문지도로 2007년 제2언어교육학 박사학위(Ph.D.)를 취득하였다. 2008년부터는 중앙대학교 영어교육과 및동 대학원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09개정 중학교 영어교과서(지학사) 공저자, 2015개정 고등학교 영어교과서(천재교육) 대표저자이며, 현재까지 국내외 영어교육 및응용언어학학술지에약 180편의 학술논문을 발표하였다. 한국응용언어학회 총무이사를 역임하였고, 현재한국영어교육학회(KATE) 부회장및 동 학회의 SCOPUS 등재학술지 의 편집위원장을 맡고있으며, 한국연구재단인문학단전문위원(PM)으로 봉사하고 있다. 2015년 이후국제 SSCI학술지인 The Asia-Pacific Education Researcher의 편집위원직을 수행하고 있다. 2015-2016년 중앙대학교 Distinguished Scholar로 선정되었으며, 영어학습 동기 관련 저술을Springer, 한국문화사등 국내외 저명 출판사에서 출판하였다. 주된학술 관심사는 제2언어학습/교수 (탈)동기, 제2언어 학습자 요인, 비고츠키사회문화이론, 한국영어교육사, 한중일영어교육비교연구 등이다. 그간의 연구 성과를 인정받아 2022년교육부장관상을수상하였다.
펼치기

책속에서

3.1. 비전(vision)과 영어 학습 동기
영어가 한국어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면서 영어의 전이(transfer) 현상으로 요즘 한국어 표현에도 “비전이 있다/없다”는 표현이 자주 사용된다. 희망찬 미래가 있고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비전이 있다, 그 반대의 경우에는 비전이 없다는 식으로 사용하는 것이다.1 영어에서 비전의 1차적인 의미는 시각 혹은 시력으로 시력 측정이 대표적인 그 예시가 될 것이다. D?rnyei(2020, pp. 101-102)는 비전의 의미를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구분하고 있다.

첫째, 물리적 인식(physical perception)으로 보통 시력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작년에 비해 올해 내 시력(my vision)이 나빠졌어”라고 말하는 경우에 해당된다.
둘째, 정신적 이미지(mental image): 백일몽, 망상/환상, 창의적 상상, 종교적 혹은 신비한 체험 등을 의미할 때 사용된다.
셋째, 미래에 바라는 것(future aspiration): 보통 정치 혹은 경제계 인사들의 야심을 지칭할 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삼성그룹 이병철 회장의 비전”이나 “김영삼 대통령의 세계화 비전” 등과 같은 표현들이 해당된다.

이와 같이 비전은 원래의 1차적 의미인 시각에 국한되지 않고 미래에 대한 꿈, 이상, 희망 등이 결부되어 사용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D?rnyei, 2020). 비전이 미래의 희망, 꿈을 의미하기에 기업체 구성원들의 사기 진작이나 조직 경영 등에서도 자주 활용되고 있으며, 회사 내 특강, 세미나 강연이나 사원 교육 자료 등에도 곧잘 등장하는 용어로 경영학 분야에서도 그 역할은 나날이 확장되고 있다. D?rnyei는 Klinger(2009)의 연구를 인용하며 비전은 흔히 인간들의 백일몽(daydreaming)과도 관련되는데, 한 개인이 깨어있는 시간 동안 많게는 절반 정도를 이런저런 백일몽을 머릿속으로 그리면서 하루를 보낸다고 한다. 백일몽, 즉 공상의 특이한 점은 인간이 의도적으로 노력하지 않아도 저절로 머릿속으로 심상을 그리게 되는 시각적 특성이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비전을 단지 백일몽이나 공상으로만 한정하게 되면 21세기 영어 학습 동기 연구의 중요한 축인 제2언어 동기적 자아 체계를 올바르게 이해하기 어렵게 된다. 영어나 한국어에서 최근 흔히 사용되는 용례 그대로, 비전은 인간의 심상을 자극해 미래에 대한 희망을 구체화시키며 이를 통해 행동의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자아상(self-image)을 형성하는데 중대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를 보여주는 가장 잘 알려진 강렬한 예시는 흑인 인권운동가였던 Martin Luther King 목사의 유명한 1963년 워싱턴 D.C. 연설일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그는 이 연설에서 “I have a dream”이라는 표현을 8번이나 사용하며, 만민이 평등하고 피부색에 의해 차별받지 않는 미래를 꿈꾼다는 취지의 명연설을 하였다. 이는 미래의 비전이 단지 백일몽이 아니라 강렬한 인간의 열정과 에너지와 결합하면 거대한 힘으로 새로운 동기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점을 여실히 잘 보여준 예이다.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91995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