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외국어 > 영어학습법
· ISBN : 9788968179495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20-12-28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장 서론
1.1. 한국 영어교육 현장에 존재하는 구심력과 원심력
1.2. 일반화 경향에서 탈피한 새로운 학문적 경향
1.3. 이 책의 구성
2장 영어 학습 동기 이론의 최근 변화
2.1. Gardner(1985, 2010)의 사회교육 모형: 통합성과 도구성에 대한 오해
2.2. 1990년대의 혼란과 동기의 르네상스(Motivational Renaissance)
2.3. D?rnyei(2001, 2005, 2009)의 동기 이론: 과정 모형과 제2언어 동기적 자아 체계
2.4. 복잡계 이론과 제2언어 학습 동기 연구
2.4.1. 복잡계 이론의 특징
2.4.2. 복잡계 이론의 제2언어 학습 동기 적용: MacIntyre와 Serroul(2015)의 연구
2.5. 유도된 동기적 격동(Directed Motivational Currents; DMC)
2.5.1. 유도된 동기적 격동의 개념
2.5.2. 유도된 동기적 격동의 발생 및 유지를 위한 3요건
3장 2020년대 영어 학습 동기 연구의 새로운 주제들
3.1. 비전(vision)과 영어 학습 동기
3.1.1. 비전과 영어 학습 동기, 이상적 제2언어 자아 관련 연구
3.1.2 비전과 제2언어/영어 학습 동기의 미래 연구 과제
3.2. 영어 학습 동기와 회복탄력성
3.3. 긍정심리학의 여러 개념과 영어 학습 동기
3.3.1. 주관적 안녕(subjective well-being) 개념의 영어 학습 동기에 적용 가능성
3.3.2. 불안(anxiety), 즐거움(enjoyment), 학습 동기
3.4. 제2언어 학습 경험의 재발견: 정서 체험(Perezhivanie)
4장 학습 동기 증진 언어하기 활동의 실제
4.1. 언어하기(languaging)와 학습 동기 증진 언어하기(motivational languaging): 기본 개념
4.2. 영어 학습 동기 증진 언어하기 선행연구와 미래의 과제
5장 한국인의 경쟁적 영어 학습 동기와 문화심리학
5.1. 교실 상황을 반영한 한국 고유의 영어 학습 상황
5.2. 영어 학습에 작용하는 경쟁적 동기: 문화심리학적 고찰
5.3. 무동기 영어 학습
5.4. 무동기, 체념, 탈(脫)여가 문화에서의 영어 학습
6장 영어 학습 동기 연구의 남은 문제점과 미래 방향
6.1. 영어 학습 동기 연구 요약
6.2. 영어 학습 동기 연구의 당면 과제
6.2.1. 당면 과제 1: 대학원 교육과정의 문제
6.2.2. 당면 과제 2: 근본적 차이(fundamental difference) 가설의 붕괴
6.2.3. 당면 과제 3: 설문지법을 둘러싼 방법론적 문제
6.2.4. 당면 과제 4: 하향식, 상향식 환원주의의 문제
6.3. 영어 학습 동기 연구의 미래 방향과 제언
6.3.1. 예상되는 교육 환경 변화와 한국의 영어 학습 동기, 무동기, 탈동기
6.3.2. 영어 학습 동기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3.1. 비전(vision)과 영어 학습 동기
영어가 한국어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면서 영어의 전이(transfer) 현상으로 요즘 한국어 표현에도 “비전이 있다/없다”는 표현이 자주 사용된다. 희망찬 미래가 있고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비전이 있다, 그 반대의 경우에는 비전이 없다는 식으로 사용하는 것이다.1 영어에서 비전의 1차적인 의미는 시각 혹은 시력으로 시력 측정이 대표적인 그 예시가 될 것이다. D?rnyei(2020, pp. 101-102)는 비전의 의미를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구분하고 있다.
첫째, 물리적 인식(physical perception)으로 보통 시력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작년에 비해 올해 내 시력(my vision)이 나빠졌어”라고 말하는 경우에 해당된다.
둘째, 정신적 이미지(mental image): 백일몽, 망상/환상, 창의적 상상, 종교적 혹은 신비한 체험 등을 의미할 때 사용된다.
셋째, 미래에 바라는 것(future aspiration): 보통 정치 혹은 경제계 인사들의 야심을 지칭할 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삼성그룹 이병철 회장의 비전”이나 “김영삼 대통령의 세계화 비전” 등과 같은 표현들이 해당된다.
이와 같이 비전은 원래의 1차적 의미인 시각에 국한되지 않고 미래에 대한 꿈, 이상, 희망 등이 결부되어 사용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D?rnyei, 2020). 비전이 미래의 희망, 꿈을 의미하기에 기업체 구성원들의 사기 진작이나 조직 경영 등에서도 자주 활용되고 있으며, 회사 내 특강, 세미나 강연이나 사원 교육 자료 등에도 곧잘 등장하는 용어로 경영학 분야에서도 그 역할은 나날이 확장되고 있다. D?rnyei는 Klinger(2009)의 연구를 인용하며 비전은 흔히 인간들의 백일몽(daydreaming)과도 관련되는데, 한 개인이 깨어있는 시간 동안 많게는 절반 정도를 이런저런 백일몽을 머릿속으로 그리면서 하루를 보낸다고 한다. 백일몽, 즉 공상의 특이한 점은 인간이 의도적으로 노력하지 않아도 저절로 머릿속으로 심상을 그리게 되는 시각적 특성이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비전을 단지 백일몽이나 공상으로만 한정하게 되면 21세기 영어 학습 동기 연구의 중요한 축인 제2언어 동기적 자아 체계를 올바르게 이해하기 어렵게 된다. 영어나 한국어에서 최근 흔히 사용되는 용례 그대로, 비전은 인간의 심상을 자극해 미래에 대한 희망을 구체화시키며 이를 통해 행동의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자아상(self-image)을 형성하는데 중대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를 보여주는 가장 잘 알려진 강렬한 예시는 흑인 인권운동가였던 Martin Luther King 목사의 유명한 1963년 워싱턴 D.C. 연설일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그는 이 연설에서 “I have a dream”이라는 표현을 8번이나 사용하며, 만민이 평등하고 피부색에 의해 차별받지 않는 미래를 꿈꾼다는 취지의 명연설을 하였다. 이는 미래의 비전이 단지 백일몽이 아니라 강렬한 인간의 열정과 에너지와 결합하면 거대한 힘으로 새로운 동기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점을 여실히 잘 보여준 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