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지금처럼 살려면 몇 개의 지구가 필요할까?

지금처럼 살려면 몇 개의 지구가 필요할까?

(영화로 보는 세계와 미래)

오승현 (지은이), 황정하 (그림)
개암나무
16,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120원 -10% 0원
840원
14,28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지금처럼 살려면 몇 개의 지구가 필요할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지금처럼 살려면 몇 개의 지구가 필요할까? (영화로 보는 세계와 미래)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인문/사회
· ISBN : 9788968308383
· 쪽수 : 276쪽
· 출판일 : 2024-09-27

책 소개

학교에서 알려 주지 않지만 살아가는 데 꼭 필요한 질문을 담은 ‘교실 밖의 질문’ 시리즈 첫 번째 도서이다. 《지금처럼 살려면 몇 개의 지구가 필요할까?》는 ‘미래’ 하면 떠오르는 두 가지 주제인 ‘기후 위기’와 ‘기술 발전’을 한 권에 담았다.

목차

작가의 말 … 6

세계의 미래
[기후 위기_ 인터스텔라] 우주에 두 번째 지구가 있을까? … 8
[자원 고갈_ 매드맥스: 분노의 도로] 지금처럼 살려면 몇 개의 지구가 필요할까? … 34
[에너지 전환_ 오블리비언] 우리나라는 재생 에너지에 적합할까? … 60
[불평등_ 엘리시움] 우리가 누리는 것들은 온전히 노력의 결과일까? … 84
[코로나19_ 컨테이젼] 코로나19 같은 팬데믹이 다시 올까? … 110

기술의 미래
[메타버스_ 레디 플레이어 원] 우리가 사는 세상이 가상 현실은 아닐까? … 136
[모빌리티_ 아이, 로봇] 자율주행차는 차일까, 로봇일까? … 164
[인공 지능_ 마이너리티 리포트] 인공 지능은 우리 생각만큼 공정할까? … 190
[소셜 로봇_ 바이센테니얼 맨] 로봇도 마음을 가질 수 있을까? … 220
[트랜스휴먼_ 로보캅] 인간과 기술을 떼어 놓을 수 있을까? … 250

저자소개

오승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에서 국어국문학을 전공했습니다. 문학을 전공했지만 인간과 세상과 우주에 대한 관심이 문학을 넘어 자연스레 인문, 사회, 과학 공부로 이어졌습니다. 그 덕분에 여러 분야의 책을 쓰고 있습니다. 어린이 독자들이 시민으로서 알아야 할 지식을 쉽게 전달하는 책을 쓰는 데 힘쓰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어린이 도서로 《차별은 세상을 병들게 해요》 《너와 나를 지키는 힘, 동의》 《인공 지능 판사는 공정할까》 등을 썼고, 청소년 도서로 《지금처럼 살려면 몇 개의 지구가 필요할까》 《학교에서 가르쳐 주지 않는 노동 이야기》 《5·18 민주화 운동을 묻는 십대에게》 《인공 지능 쫌 아는 10대》 등을 썼습니다.
펼치기
황정하 (그림)    정보 더보기
프랑스 에피날 미술학교에서 이미지 내레이션과 일러스트레이션을 공부했고 지금은 일러스트레이터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지은 책으로 《오늘 내 기분은요》가 있으며, 그린 책으로 《둘이라서 좋아》 《아빠 만날 준비 됐니?》 《메타버스가 뭐예요?》 《삼각형은 힘이 세다!》 등이 있습니다. 인스타그램 @illust_jungha
펼치기

책속에서



우리가 오염된 정신으로 새로운 행성에 정착한다면 그 행성을 다시 오염시킬 것이다. 그 행성이 망가지면 새로운 행성을 또 찾을 건가? 그렇게 우주를 떠돌며 온통 망쳐 놓을 셈인가? 결국 지구만이 이 우주에서 인간이 살 수 있는, 유일한 행성이다. 아직까지, 그리고 앞으로 꽤 오랫동안 말이다.
- 우주에 두 번째 지구가 있을까?


《21세기 자본》으로 유명한 프랑스 경제학자 토마 피케티는 불평등 정도를 나타내는 ‘피케티 지수’를 발표했다. 피케티 지수가 높을수록 자본 소득이 근로 소득보다 많다는 뜻이다. 쉽게 말해 돈이 돈을 버는 속도가 일해서 돈을 버는 속도보다 빠르다고 이해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피케티 지수가 8.28로, 4.1인 미국과 4.12인 독일의 두 배가 넘는다. 피케티는 “돈이 돈을 버는 속도가 일해서 돈을 버는 속도보다 빠른 것을 경계해야 한다”라고 말한다.
- 우리가 누리는 것들은 온전히 노력의 결과일까?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