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참고도서/백서
· ISBN : 9788968492426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15-08-28
책 소개
목차
제Ⅰ장 병원에서 영어 대화 준비
제1절 소개 Introduction: 영어는 어려워! 13
제2절 병원 학술 용어 Academic terminology, Doctor's terminology와 일반인의 표현 Laymen's expression 20
제3절 어린이 영어(유아어) Children's expression 27
제4절 인사하기 Greetings 29
제5절 이해하다 Understand? 내말 알아들었니? 32
제6절 호칭 Name calling 34
제7절 병원 조직 Hospital organization 38
제Ⅱ장 병원 영어 대화 실제
제8절 원무과 Reception desk, Registration desk에서 43
제9절 외래 Outpatient clinic나 응급실 ER에서 환자 처음 대할 때 46
제10절 내과계 Medical 외래 부서에서의 대화 50
제11절 소아청소년과 Pediatrics와 산부인과 Ob & Gyn 외래에서의 대화 56
제12절 외과계 Surgical 외래 부서에서의 대화 58
제13절 신체 검사 Physical와 치과 Dental에서의 대화 61
제14절 방사선/임상검사 X-ray/Lab exam가 필요 시 65
제15절 심전도 EKG Rm, 내시경실 Endoscopy Rm 기타 검사-처치실에서 68
제16절 결과/경과/수술필요 시 설명 Explanation 70
제17절 약국 Pharmacy에서 73
제18절 병원 입원 Admission 수속과 안내 76
제19절 입원 후 의사 검진과 회진 Rounding 82
제20절 퇴원 Discharge 후 조치 85
제Ⅲ장 미국 영어 대화 실력 높이기
제21절 미국 병원 시스템 U.S. Health care system과 우리와의 차이 89
제22절 본토인은 속어/비어 Slang를 많이 쓴다 92
제23절 손짓/발짓 Gesture/body language도 훌륭한 의사표시 방법 95
제24절 약자 약어 Abbr(ev).는 현대 언어에서 한 몫 한다 99
제25절 미국 영어와 영국 영어 American & British English 101
제26절 그리고 Konglish 104
제27절 종합 정리 Discussion & conclusion 105
제Ⅳ장 부록 Appendix, Supplement
부록 Ⅰ. 잘못된 의학용어 영어 발음 109
부록 Ⅱ. 영문 의학용어의 약자 사용 113
부록 Ⅲ. 미국 영어 슬랭 American english slang 136
부록 Ⅳ. Konglish와 잘못 쓰이는 외래어 모음집 228
책속에서
머리말
근 2백만 명의 외국인이 현재 한국에 살고 있다. 이들이 한국어에 익숙해 질 때까지는 영어를 써야 서로 통하게 된다. 영어가 세계 공용어이기 때문이다. 사업차 또는 관광차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인도 많고 고등교육을 받은 외국 사람들은 영어로는 어느 정도 통한다. 의료 선진국이요 의료비가 비교적 저렴한 한국이고 보면 의료목적 관광객(medical tourism) 숫자도 증가 일로에 있다. 물론 시간이 허락하면 현지 언어에 능통한 통역사를 준비한다지만 다급한 상황에서는 영어가 유일한 소통 수단이다. 이 지역에도 광주 과기원이나 지방 대학들에 미국 교수가 상당수 근무하고 있고, 외국인 유학생이 꽤 있으며, 각 급 학교와 학원에 원어민 교사들도 많다. 기아 타이거즈 팀에도 MLB(the Major League Baseball) 출신 선수가 여럿 있다.
해외여행 자유화 이후 언어 소통의 필요성을 우리는 더 체감하게 되고, 영어권 국가 여행 시는 물론 전 세계에 통하는 언어는 단연 영어라는 것을 실감한다. 물론 현지 가이드 등이 도움을 주지만 응급 상황 발생 시 언어 장애가 큰 문제가 된다. 그러나 갑작스럽게 아픈 사람이 있어 외국 병원을 찾은 경우도 소통이 잘 이루어질까. 그 단체나 여행 그룹 중에 내가 유일한 의료인이라면 나에게 기대하는 바는 무얼까.
영어도 영국이나 호주, 뉴질랜드 등 영국 연방 계열의 나라와 미국 영어는 확실히 차이가 있다. 영어를 공용어로 쓰고 있는 인도나 필리핀, 싱가포르, 홍콩 등에는 독특한 나름대로의 억양을 가지고 있어 우리가 듣고 이해하는 데는 또 어려움이 따른다. 세계의 정치, 경제, 문화, 학술의 중심이 아직 미국에 있고 보면 우리가 익히고 가장 흔히 접하는 것이 미국 영어 아닌가 싶다. 본 소 책자가 미국식 영어에 중점을 두는 이유이기도 하다.
해방과 한국전쟁을 치루면서 우리 사회는 미국 문화에 깊게 젖어 있다. 의료도 예외는 아니다. 물론 과거 일본을 거쳐 온 (서)양의학의 배경이 있지만 미국의 의료 선교 활동, 육이오 사변을 통한 군진 의학, 선배들의 미국 유학으로, 의술은 물론 수련제도, 의학교과서, 의무기록 등에서 미국의 영향을 그대로 받아왔다. 필자도 그 중 한 사람이지만, 한때 미국은 의사의 문호를 개방하여 외국인 의사들의 미국 수련이 쉬었을 때, 필자도 미국행 비행기에 몸을 실었고 전 수련 과정을 미국 병원에서 마치었다. 그간 의료인은 물론 전 국민의 노력으로 이제 우리의 임상 의료 수준도 선진국 수준이고 산업, 수출, 경제 등 여러 분야에서 비약적인 발전을 해 왔다. 그러나 세계에 손을 뻗는 K-pop 뿐만 아니라 의료 한류에도 그 근저에는 미국의 영향이 큰 것임을 부인할 수는 없다.
우리나라 병원을 찾아오는 영어 특히 미국 영어를 쓰는 외국인을 응대하는데 이 소 책자가 우리 병원 종사자들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본 책자의 일차 목표이다. 또 나아가 병원 직원들이나 우리 주위 사람들이 특히 영어권 여행이나 유학 시에도 갑자기 병원을 찾았을 때에 의료 상담 대화에 일조가 되었으면 한다. 병원에서의 영어 사용이 약간 특수하기는 하지만 일반적 언어 영역을 초월할 수는 없다. 책자 내에 군데군데 언어문화와 그 배경이 되는 사회의 면면을 담도록 하였다. 필자 본인이 미국 의사 생활 중, 알게 모르게 당하고 실수했을 때 또 다른 실수를 줄이기 위해 꾸준히 메모해 두었던 것이 오늘 이 책자의 살과 피가 되고 책자를 만들게 한 유인이 된 것이다. 그러나 이 책자는 결코 정통 영어 회화 교습서가 아님을 분명히 밝힌다.
본문 내용뿐만 아니라 부록으로 의학 용어 발음 외에 미국 영어 슬랭(slang), 그리고 잘못 쓰이는 Konglish 모음을 첨부한 것도 독자들이 병원 내에서 미국 영어를 더 원활히 잘하기 위해서는 숲도 보고 나무도 보아야 한다는 뜻으로 마련하였다. 슬랭 등의 일반인들의 말은 결국 그 사회의 반영 아니던가. 영어 같지만 영어가 아닌 Konglish도 우리의 올바른 영어 운용을 저해할 수 있다. 여러분의 실제적인 미국 영어 공부에 윤활유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에서다.
우리나라 의료인들이 지금까지 보고 듣고 배운 영어 단어가 ‘복통’, ‘대변’ ‘제대(臍帶)’ 같은 교과서적 영어이고, 실생활에서는 ‘배앓이’, ‘똥, 응가’, ‘배꼽’을 사용하고 보면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따를 수밖에 없다. 본 책자가 전문가와 일반 환자들 사이의 소통에 중점을 둔 이유이다.
요사이는 초등학교 전부터 영어 수업을 받고, 원어민 교사에 접하게 된다. 중?고등학교 6년, 그리고 대학교에서도 교양 과정에 영어가 낀다. 특히 병원에 종사하는 의사, 약사, 간호사, 기사 등의 교육과정에 영어로 쓰인 원서 교과서도 많이 접해본 우리이다. 그러나 우리는 외국인을 만나면 왜 영어 쓰는 것을 두려워하고 당황하는 것일까. 필자는 영문학자도 아니요 영어 전문가도 아니다. 단지 영어를 사용하면서 애먹었던 동변상련의 심정으로 본 책자를 엮어 나가고자 한다.
용감한 자만이 미인을 얻는다고 외국인은 물론 미국 본토인을 접할 때 ‘주눅 들’ 필요가 없다. 어차피 모국어 아닌 외국어이니까 서로가 이해한다. 용기와 자신감을 가지고 임해보자. 겁 없이 달려들 때 회화 실력은 확실히 올라간다. 일반적으로 한국 학생들은 조용하다. 외국어를 배울 때는 틀려도 좋으니까 자신 있게 말하고, 언제든지 질문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요사이 원어민 영어 강사를 흔히 대한다. 의학에 관한 한 그들도 무지하다. 또 수요는 늘고 해서 그 분들의 수준을 일률적으로 얘기 하기는 힘들다. 하여튼 원어민(native speakers)과 접촉할 기회를 늘리고 수시로 원어 듣기(hearing)에 익숙해야 한다. 듣기가 뚫려야 말하기(speaking)가 수월해지는 법이다.
본 책자의 초고는 2015년 봄 광주광역시 소재 정형외과 전문 병원인 첨단우리병원의 직원들에 대한 영어 강좌가 모티브가 되어 편집이 시작되었음을 특별히 밝히고자 한다. 따라서 일반인이 쓰는 용어, 어린애 말 등 소위 준비과정을 통하여 병원내 영어를 익히도록 했으며, 본론은 환자 동선을 따라 접수, 외래, 검사실, 입원 등의 순서로 병원 대화를 구성하였다. 미국 영어 대화의 범위를 한 차원 끌어올리기 위해 미국 병원 시스템, 슬랭, 약자, 제스처에 대해 언급하고, 말미에 부록으로 발음, 약자, 미국 슬랭 모음집을 첨부하였다.
2015. 8.
무등산을 바라보며 서재에서 김신곤
제Ⅰ장 병원에서 영어 대화 준비
제1절 소개 Introduction: 영어는 어려워!
영어는 결코 배우기 쉬운 언어가 아니다. 우리말과 달리 시제가 분명하다. 현재, 과거, 미래가 구분되어 있고, 현재도 현재 진행형과 완료형이 부가되는 것처럼 시제가 구분된다. 단-복수의 개념도 확실하고 정관사와 부정관사 사용도 엄격하다. 그러나 문장에서는 철저해야 되지만, 구어체에는 여유가 있다. 말과 대화의 일차 목적은 상호 의사소통이기 때문이다. 영어의 어려움과 우리말과 차이점을 간략히 정리해 보자.
1. 영어의 어려움
a. 어순의 차이
영 : 주어-동사-목적어. I love you.
한 : 주어-목적어-동사. 나는 너를 사랑해.
b. 단어의 악센트 Accent 와 문장의 억양 Intonation이 분명하다.
2개 이상의 음절(syllable)의 영어 단어인 경우 강세(accent, stressed syllable)는 한 곳에만 있다. 강세 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해 더 크게, 좀 더 길게 강조해서 발음해야 한다. *강세 부분을 강조하기 위해 고딕체로 표시한다.
연습: esophagus, duodenum, manometry, hemorrhage, hemorrhagic
단어 St. Louis 와 우리말 세인트루이스, 그리고 San Francisco 와 우리말 샌프란시스코는 별개의 단어처럼 들린다. *연습: cement 와 cemetery
문장에서도 ‘Beg your pardon.’ (실례합니다) 와 ‘Beg your pardon?(↗)’ (뭐라고 말씀하셨어요?)은 같은 단어로 구성되었지만 뒷 꼬리를 올림으로써 별개의 뜻을 지니게 된다.
c. 우리에겐 없는 발음이 있다.
p 와 f(ph) : copy 와 coffee
b 와 v : berry 와 very
d 와 th : deer 와 there
l 과 r : bill 과 beer. *pearl 발음이 어렵다.
d. church, milk, film, talk, heart 등 one syllable 단어를 우리는 처치, 밀크, 필름, 토크, 하트 등처럼 2 syllables로 발음 한다.
e. 구어체 연음 발음에 주목하라.* C) 구어체 연음 발음 및 별지 참조.
f. water, battery, computer 등에서처럼 accent가 없는 ‘t’는 ‘r’나 ‘n’ 발음이 난다.
(연습: litter, party, artificial, excited, quarter, interview, internet.)
g. o자 발음에 유의한다. dot, box 등의 단모음 o는
*
예 robot, coke, hold, hole, holy, hope, post, rope, smoke.
h. 영어 중에도 American English와 British English는 또 차이가 난다.
*25절 참조.
i. 영어에서 흔히 접하는 관용어법에 익숙해야 한다.
1) 안경, 가위, 양말 등 쌍으로 있는 물건은 ‘a pair(two pairs) of glasses (scissors, socks)’ 등으로 표현해야 한다.
2) ‘You come from Korea, don't you?’(한국에서 오셨지요) 처럼 알고 있지만 친밀하게 재확인하는 표현을 일상에서 많이 쓴다.
3) ‘Why don't you ~?’는 명령문에서 다소 격식을 갖추는 상황에서 많이 사용한다.
예 ‘Why don't you try this Tylenol? It's easier on the stomach than aspirin. (아스피린이 속을 불편하게 한다는 친구에게) 이 타이레놀을 들어봐요. 아스피린보다 한결 속이 편할 거야.
j. 구어체(colloquial)는 우리가 배워온 교과서체와 다르고, 일상에서 슬랭(slang)을 많이 쓴다. *부록 Ⅲ 미국 영어 슬랭 편 참조.
2. 영어 말하기의 실제
a. 영어로 말하기를 겁내거나 부끄러워 말라. 외국어이니까 당연하다.
b. 알아듣지 못했으면 분명히 하고 재확인하라
(I'm) Sorry. Beg your pardon?
c. 묻지 않으면 미국인은 남의 사생활 불간섭의 예의에 따라 대응하지 않고, 무응답이면 이해하는 것으로 오해할 수 있다. 물어보거나 도움을 청하면 미국인은 대부분 매우 친절하게 응대해 준다.
d. 긴/어설픈 문장보다는 핵심 단어로 분명하게 물어라.
예 역가는 길을 물을 때, Will you show me the way to the Railroad station, please.도 좋지만 실제로는 Railroad station, please. 라고
뒤의 핵심 단어만 말하면 더 얼른 알아먹고 기차역을 가르켜 줄 것이다.
*아래 ◆기차표 구입 에피소드 ◆ 참조.
e. 세계 공통 몸짓, 손짓(제스처)을 이용하라.
기차역 매표소에서 뉴욕 행 표 한 장을 원할 때 ‘New York!’ 이라 말하고 손가락으로 ‘일자 표시’하면 사무원은 알아차리게 된다.
f. ‘Please!’, ‘Excuse me!’, ‘I'm sorry!’, ‘Thank you!’, 쓰는데 인색하지 말라.
조금만 감사해도 ‘Thank you!’, ‘Thanks’, ‘Thanks a lot’, ‘Thank you very much’, ‘I appreciate you’ 등을 쓴다. 상대편의 감사 표시에 ‘You're welcome!’, ‘You bet!’, ‘sure!’, ‘Not at all!’ 등으로 답례한다. 친구 사이라도 부탁할 때는 ‘Could you ~, please?’ 등으로 격식을 차리는 것이 예의다.
g. 문법, 시제, 관사, 단-복수 등에 너무 얽매이지 마라. 정확한 상호 의사소통을 이루는 문어체와 달리, 구어체는 현장에서 의사 전달이 되면 된다.
h. 영어권의 문화, 관습, 관행, 예절에 익숙토록 한다. 언어는 문화의 소산이다. 상대방이 빨리 한 단어처럼 말해도 상황을 알면 이해가 빨라진다.
(계산대에서) ‘Cash or charge?’ 현금이냐 카드 결제냐?
(fast food점에서) ‘For here or to go?’, 여기서 드실래요, 포장할까요?
(동전 toss에서) ‘Head or tail?.’
우리 가위바위보처럼 술래 결정하기 위해 머리(앞면)냐 꼬리(뒷면)냐?
(술 살 때, 수표로 지불할 때) ‘any ID?’ 운전면허증이나 여권 등(신분증) 없어요?
(Halloween day에 애들 소리침) ‘Trick or treat!’ 장난칠까요, 과자 줄래요!
(hotel front desk에서) ‘Double or twin?’ 2인용 큰 침대요 1인용 침대 둘이요?
(여객기내에서 식사 배정 시) ‘Fish/ Chicken or beef?’
생선/닭고기로 드릴까요. 쇠고기 요리를 드실래요?
i. 국제적인 표준 도량형과 달리 미국인은 무게는 pound(lb), ounce(oz), 길이는 inch, feet, yard, mile, 부피는 pint, quart, half gallon, gallon, 온도는 화씨(F, Fahrenheit)에 길들여져 있다.
j. 가끔 명사에 유럽어처럼 남녀 성을 붙이기도 한다.
주유소에서 ‘기름 가득 채워주세요’는 ‘Fill her up, please.’
k. 친절하고 정중하게 ‘Would you ~?’, ‘Could you ~?’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대개 미국인은 ‘will’, ‘can’ 으로 대신한다.
i. 숫자 0(zero)는 alphabet O로 부른다.
007은 double O seven으로, AAA는 triple A로 발음한다.
m. 관용적으로 쓰이는 약자에 유의하자.
의사나 의료인들은 직업적으로 약자를 많이 쓴다. 그러나 직업인이 아니라도 바쁜 현대 사회에서 약어를 쓰게 된다. 문자 메시지에서는 도를 넘게 사용한다.
*참조: 21절. 약자 및 부록 Ⅱ-별지 1. 실생활에서 접하는 약어.
n. 미국인은 yes, no의 단답형이나 무미건조한 상투적이고 남 따라하는 대화를 싫어한다. 유머러스하고, 빗대어 또는 반어적으로 까지 꾸며 응대하기를 좋아한다. 화제도 정치, 종교 등은 금기시하며, 스포츠, 문화행사, 파티 등의 얘기를 즐긴다.
3. 구어체 연음 및 연음 단축어 발음(별지 참조)
우리나라 말도 선생님을 쌤, 메일을 멜로 발음하고 글로 쓰기까지 한다. 연음 발음을 익힘으로서 듣기와 말하기가 한결 부드러워 진다.
몇 가지 예를 들어보자.
I want to go. ⇒ I wanna go. 가고 싶어
I am going to do something. ⇒ I'm gonna do something 해야 할 일이 있어
got you ⇒ gotcha 이해했어 how do you do ⇒ howdy 안녕
how are you doing? ⇒ how're you doin? 잘 지내?
a hell of a ⇒ helluva 지독히 kind of ⇒ kinda 일종의
That's the boy! ⇒ Attaboy! 그러면 그렇지, 잘 해!
Who's done it?, Who done it? (Who did it?) ⇒ Whodunit? 누가 그랬어?
4. 말이 막히거나 얼른 이어가지 못할 때
우리도 ‘어, 어’, ‘저어, 저’, ‘그러니깐 ~’, ‘뭐더라 ~’ 한다. 비교적 달변인 미국인도 ‘you know’, ‘well’, ‘you see’, ‘alright’, ‘by the way’(그런데 잠깐), ‘say’ 등등을 쓰나 큰 의미를 부여할 필요가 없다. 듣는 사람이 지루하고 말을 더듬는 것처럼 느끼기 때문에 가능한 사용을 자제하는 것이 좋다.
5. 감탄사 Exclamation
우리의 대화를 듣게 되면 ‘어머(나/니)!’, ‘저런!’, ‘그럴 수가!’ 등의 감탄사를 흔히 듣는다. 감정 표출이 풍부한 서양인은 상황에 따라 더 다양한 감탄사를 쓴다.
‘Oh man/boy/god ~!’,
‘Gosh!’, ‘Goodness!’, ‘Oh my!’, ‘Jesus!’,
‘Oh my dear/god/goodness, ~!’,
‘Holy cow/socks/mackerel/smoke ~!’ , -----
상대방의 말을 받아서 긍정적인 뜻을 나타낼 때 쓰는 것; ‘Great!, Marvelous, Wonderful, Excellent, Beautiful, Splendid, Gorgeous, Super!’
부정적일 때는; ‘Oh, no!, No way!, I doubt it!, Impossible!, Uh, oh!, Oops!’ 등을 쓴다.
기차표 구입 에피소드
한 한국인 교수가 Washington, D.C.에서 New York 행 기차표를 구입하기 위해 매표창구에서의 사건이다. 문법적으로 무장한 이 분은 뉴욕 행(行)에 어떤 관사를 써야하나 하고 생각한 후 점잖게 ‘May I have a ticket at New York.’ 했더니 사무원이 8(eight)장의 표를 주었다. 순간 부사 사용의 오류로 생각하고 ‘I want a ticket for New York.’ 라고 정정했더니 4(four)장을 주더라나. 순간 뉴욕행은 부사 to가 맞나보다 생각하고 ‘A ticket to New York’ 했더니 2(two)장을 주더라나. 당황해서 ‘No, no!’하고 ‘New York!’하고 손가락 하나 펴 보이니 그때는 표 한 장 주더라나.
별지: 구어체 연음 및 단축어 모음
우리나라 말도 선생님을 쌤, 메일을 멜로 발음하고 글로 쓰기까지 한다. 자주 접하는 연음 발음이 압축되고 듣기 편한 말로 변화되는 것이다. 컴퓨터 언어에서는 ‘축하’는 ‘추카’이다. 연음발음이나 단축형 말이 한 때 점잖하지 못한 젊은이들의 언어 버릇으로 간주되기도 하였다. 영어에서 연음 발음을 익힘으로서 듣기와 말하기가 한결 부드러워진다.
ain't ← am not, are not, is not
Attaboy! ← That's the boy! 그러면 그렇지, 잘 한다!
an' ← and
bran-new ← brand-new 한 번도 사용하지 않은, 방금 나온 신상
can't ← cannot * can't의 발음은
'cause ← because
C'mon! ← Come on! 자 어서!
Doin what? ← Doing what?
don'be (a litterbug) ← don't be (a litterbug!) 쓰레기를 버리지 마시오!
※ litterbug: 공공장소에 쓰레기를 버리는 사람을 비하해서 쓰는 표현.
litter은 동사형으로 ‘쓰레기를 버리다’라는 뜻이다.
dunno ← don't know
d'ya
I'm gonna do something ← I am going to do something.
gimme ← give me (예 Gimme a break! 한번만 봐줘!. Gimme some of that popcorn! 그 팝콘 좀 줘! ← Give some of that popcorn to me)
getcha ← get you
gotcha ← got you
gotta ← got to
He's
hello pardner ← hello partner 여보게 친구
helluva ← a hell of a 대단한
howdy ← how-d'ye-do ← how-do-you-do ← how do you do
howe'er ← however
kinda ← kind of 좀(=a little bit), ~한 편이다 *My vision is kinda
blurry. 눈이 좀 침침합니다.
lookit ← look at
needn't ← need not
ol' days ← old days *good ol' days 과거 좋았던 시절
outta
2. ought to
pardner ← partner
thru ← through
'til ← until
wanna ← want to *I wanna go. ← I want to go 난 가고 싶어.,
You don't wanna know. 모르는 게 나아.
*wannabe: 닮고자하는 사람. 팬.
whatta ← what are
what've
Whodunit? ← Who's done it?, Who done it? (Who did it?)
*whodunit: 추리 소설/영화
won't
you are ⇒ yo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