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양식생물학

양식생물학

강경호 (지은이)
전남대학교출판부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6,200원 -10% 0원
900원
15,300원 >
17,100원 -5% 0원
0원
17,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개 16,2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양식생물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양식생물학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농축산생명계열 > 농림수산학
· ISBN : 9788968499784
· 쪽수 : 334쪽
· 출판일 : 2023-07-10

책 소개

양식 현장에서 부가 가치가 높은 유용 양식 종들을 중심으로 먹이 생물의 배양 기술과 수산 무척추 동물, 어류, 해조류 및 기타 수산 동물에 대한 종묘 생산부터 양성에 이르기까지의 완전 양식이 가능하도록 전 양식 과정의 정보들을 수록한 교재다.

목차

Ⅰ. 수산 양식의 뜻과 발달
1. 수계 생물의 생태적 분포 / 15
2. 수산 양식 / 16
3. 종묘 생산 / 18
4. 양성 / 20
5. 해적 생물 / 25
6. 양식종의 선택 / 25
7. 축양과 운반 / 26
8. 양식 방법 / 26
9. 양식 생물 관리 / 29

Ⅱ. 먹이 생물
1. 식물 플랑크톤 / 30
2. 동물 플랑크톤 / 40
3. 배합 사료 / 46

Ⅲ. 유전 및 육종
1. 유전ㆍ육종 / 52
2. 유전ㆍ육종 기법 / 52

Ⅳ. 어류
1. 넙치 / 57
2. 참돔 / 59
3. 은어 / 62
4. 뱀장어 / 65
5. 조피볼락 / 67
6. 참다랑어 / 73

Ⅴ. 갑각류
1. 꽃게 / 75
2. 보리새우류 / 79

Ⅵ. 패류
1. 굴 / 84
2. 담치류 / 100
3. 전복 / 102
4. 가리비 / 110
5. 새조개 / 119
6. 고막류 / 122
7. 키조개 / 129
8. 대합 / 132
9. 바지락 / 134
10. 나팔고둥 / 137

Ⅶ. 기타 수산 동물의 양식
1. 개불 / 144
2. 해삼 / 149
3. 성게 / 151
4. 문어 / 153
5. 우렁쉥이(멍게) / 155
6. 갯지렁이 / 160

Ⅷ. 해조류
1. 해조류의 산업적 특징 / 163
2. 김 / 166
3. 우뭇가사리 / 174
4. 톳 / 176
5. 미역 / 178
6. 다시마 / 184
7. 파래 / 187
8. 홑파래 / 188

Ⅸ. 부록
1. 수산 양식 기사 필기 기출 문제(2015-2021년) / 194
2. 수산 양식 기사 실기 기출 문제(2010-2022년) / 291

저자소개

강경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PhD, Ocean University of China [연구 분야] 양식 생물 번식 및 생태 복원 [강의 교과목] 도서생물학 해양복원생태학 양식개론 및 실습 먹이생물 배양 실습 스쿠버 다이빙 실습 양식생물 종묘생산학 양식전공영어 및 실습 무척추동물양식학 및 실습 [주요 경력 사항] 2023년 현재 전남대학교 양식생물학과 교수 아프리카 모로코 해양부 수산양식 전문가 남아메리카 페루 수산부 수산양식 전문가 중국 해양대학 해양생명학원 교환 교수 폴란드 W&M University 방문 교수 국립 수산과학원 겸직 연구관 [연구실 홈페이지] http://mobidic.chonnam.ac.kr
펼치기

책속에서

1. 수계 생물의 생태적 분포
1) Plankton (부유 생물)
물 속에서 수동적으로 부유하는 microscopic size의 미세한 생물군
(1) 종류
① Phytoplankton (Chlorophyll, Photosynthesis, 해양 생산의 기초)
② Zooplankton (rotifer, brine shrimp, copepoda etc,)
③ Holoplankton (일생 플랑크톤, 개복치, 해파리 대부분의 식물 및 동물 플랑크톤)
④ Meroplankton (한시 플랑크톤, 어패류의 알 및 유생)
(2) 크기에 의한 Plankton의 분류
① Ultraplankton (초미소 플랑크톤, 5 ㎛ 이하)
② Nanoplankton (미소 플랑크톤, 5∼60 ㎛)
③ Microplankton (소형 플랑크톤, 60∼500 ㎛)
④ Mesoplankton (중형 플랑크톤, 500∼1000 ㎛)
⑤ Macroplankton (대형 플랑크톤, 1∼10 ㎜)
⑥ Megaloplankton (초대형 플랑크톤, 10 ㎜ 이상)
2) Necton (유영 동물)
① 해류의 이동과는 관계없이 자력으로 물 속을 이동
② 어류, 오징어류, 해양 포유류
3) Benthos (저서 생물)
① 해양의 바닥에서 생활하는 생물
② 저서 식물(해조류), 저서 동물(게류, 고둥류, 조개류, 갯지렁이류)
③ 고착성 저서 동물(굴, 따개비, 우렁쉥이)
④ 이동성 저서 동물(게, 새우, 고둥류, 불가사리)

2. 수산 양식
1) 수산 양식의 뜻
수산 양식(aquaculture, aqua+culture)이란 일정한 구역이나 시설을 독점적으로 소유하면서 그 곳에서 자기가 선택한 유용 수중 생물의 생활과 환경을 잘 관리하여, 그 생물의 번식과 성장을 꾀하면서 자원 조성용 또는 상품용 단계까지 키워 내는 생산 방법
2) 수산 양식의 목적
(1) 수산 양식의 목적은 생산물의 이용 방법에 따라 ① 인류의 식량 생산 ② 자연 자원의 증강을 위한 방류용 또는 이식용 종묘 생산 ③ 수산 제품의 원료 또는 다른 산업용 재료의 생산 ④ 체험 어업(낚시, 조개 잡이)용 어패류 생산 ⑤ 미끼용 생물 생산 ⑥ 관상용 어류 ⑦ 유기물의 재활용
(2) 산업용 재료 또는 원료 생산 : ① 한천이나 카라기난 등의 생산을 위한 해조류 양식 ② 진주조개 양식에 의한 양식 진주 ③ 사료 생산을 위한 동물이나 해조류 양식 ④ 의약 원료 확보를 위한 수산 생물 양식
(3) 조개류의 경우, 생활사 전체 또는 유생 기간에 부착 기질에 부착 여부, 또는 일시적으로 부착하는가에 따라 ① 부착성 동물(굴, 담치류, 우렁쉥이) ② 비부착성 동물(대합, 바지락, 개량조개, 큰우럭, 우럭, 북방대합, 코끼리조개, 개조개) 및 ③ 일시 부착성 동물(고막류, 가리비, 키조개)로 분류
3) 수산 양식의 발달
(1) 수산 양식의 역사
① 세계적으로 가장 오래 된 양식에 관한 기록은 기원전 1800년경 이집트의 마에리스(Maeris) 왕이 연못에서 어류 사육
② 우리나라의 수산 양식 초기 : ❶ 김과 굴 양식 ❷ 본격적인 시작은 구한말 어업법이 실시되는 1910년대부터 수산 동물의 양식에 관심
(2) 천해 양식의 발달 과정
우리나라 천해 양식업의 발달 과정은 3단계로 구분할 수 있는데,
① 전기 발달기 : ❶ 광복 전인 1910년대부터 1940년대 전반기까지 ❷ 양식 생산량은 적었으나 여러 양식종을 양식 개발한 시기 ❸ 굴과 김 양식
② 광복 직후의 정체기
③ 후기 발달기 : ❶ 1960년대에서 현재까지, 해조류, 어류 및 무척추동물에 대한 양식 생산량 확대와 신품종 개발이 활발 ❶ 1960년대 : 김, 미역 등 해조류 중심의 양식 ❷ 1970년대 : 굴, 피조개 등 패류 양식업으로 발전 ❸ 1980년대 : 고소득 어・패류의 양식(넙치, 방어, 돔, 진주조개 등)으로 확대 ❹ 2000년대 : 고부가가치 양식 대상종의 양식 및 연구 개발(전복, 해삼, 넙치, 조피볼락 등)
(3) 천해 양식의 개요
① 해수와 담수를 비롯한 수계에서 행하여지는 수산 양식은 종묘를 생산→생산된 종묘를 양성하는 산업으로 크게 ❶ 종묘 생산과 ❷ 양성으로 구분
3. 종묘 생산
① 종묘 : 수산 양식의 기본이 되는 수산 생물
② 종묘 생산 방법 : ❶ 인공 종묘 생산 ❷ 자연 종묘 생산
1) 인공 종묘 생산
(1) 인공 종묘 생산의 특징
① 자연산 어미의 자원량 감소 ② 자연 발생량이 적어서 자연 종묘 생산이 어려운 경우
인공 종묘 생산과 자연 종묘 생산의 특징 및 장단점은?
(2) 인공 종묘 생산 과정
① 채란용 어미의 확보 : ❶ 성숙도 문제 고려 ❷ 자연 방란에 의한 채란시 건강 상태와 생식소 성숙 확인 ❸ 어미는 반드시 성숙 연령에 도달 ❹ 산란하기 전의 어미 선택
② 채란용 어미의 채집 및 관리 : ❶ 어미를 채포하거나 운반할 때에는,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하고 ❷ 방란 직전의 상태에 있는 어미
(3) 채란 및 수정법
① 자연 채란법 : ❶ 어미의 자연방란에 의해 채란, ❷ 비교적 쉽고 ❸ 일반적 사용
② 인위적 채란법 : ❶ 어류는 복부를 절개 ❷ 복부 압박 ❸ 패류는 생식소 절개
(4) 산란 유발 촉진법
① 간출이나 정자 등에 의한 자극 ② 수온 ③ 자외선 조사 ④ 호르몬 주사
(5) 알의 수정법
① 습식법(wet method) : ❶ 알을 물 속에 받아 놓은 상태에서 정자를 짜 넣는 방법
❷ 수정률 불량
② 건식법(dry method) : ❶ 알을 물에 넣지 않고 정자를 섞는 방법 ❷ 수정률 양호
③ 등조법(isotonic method) : ❶ 알과 정자의 양이 적은 경우 ❷ 체액 농도와 동일한 염분 용액에 알과 정자를 섞어 수정
(6) 부화 및 유생 사육
① 부화율은 수온, 염분, 탁도, 산소 및 물리적인 충격 등에 민감
② 부화 직후 초기에는 알 속에 저장된 영양 물질로 성장
③ 1-2일 후에 영양 공급이 제대로 안되면 폐사→위험기(critical period)
어류와 패류 및 무척추 동물 부화 개체의 초기 먹이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2) 자연 종묘 생산
(1) 채묘 예보
① 자연 채묘의 대상종은 자연 상태에서 어미의 자원량이 풍부해야 하며 ② 유생 발생량이 많은 종(예, 굴, 담치류 및 가리비류 등) ③ 자연 종묘 채집에 있어 어미 집단의 산란 시기에 유생의 출현량을 모니터링하여 자연 채묘의 적당한 지역, 수심 및 시기 예보
(2) 채묘 시설
① 치패(종묘)를 확보하기 위한 시설물 ② 부착성 치패의 인위적 채집을 위한 시설 ③ 채묘가 잘 될 수 있는 지역적 특성 및 부착 기질 선호도 파악
(3) 채묘 시설 종류
① 고정식 채묘(말목식) : ❶ 고정식 채묘는 유생 수나 부착 치패의 수가 적음 ❷ 해수의 유동 범위가 상하로 넓어 부착이 균일(채묘 용이) ❸ 부착 치패의 간출에 의한 환경 저항력이 강함 ❹ 수심이 낮은 조간대 지역
② 부동식 채묘(뗏목식, 연승식) : ❶ 수심이 깊은 곳 ❷ 부착층의 범위가 좁아 부착이 균일하지 못할 가능성 높음(채묘 어려운 점) ❸ 정확한 예보시 대량 채묘
③ 침설 수하식 채묘 : ❶ 수심 깊은 곳의 저층에 채묘기 설치(가리비, 키조개, 피조개)
④ 침설 고정식 채묘 : ❶ 수심이 낮은 저층에 채묘기 설치
⑤ 완류식 채묘 : ❶ 조간대에 나뭇가지 등을 세워 ❷ 해수의 흐름을 완만하게 조절 ❸ 비부착성 조개류에 이용, 바지락, 대합 등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