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역사
· ISBN : 9788970279183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23-01-02
목차
┃발행의 글┃ 강병도
┃축하의 글┃ 존 & 노마 브라운
┃축하의 글┃ 김기현
┃저자의 글┃ 양명득
(1) 호주선교사 앤드류 아담슨
파송 배경
초량교회당 건축
여선교사와의 갈등
울산, 마산포, 거제 개척
첩 제도를 반대하다
1906년의 보고서
아담슨의 순회 전도
마산포교회와 창신학교 설립
호주선교사 공의회
아담슨의 교회 설립
아담슨의 별세와 추모
에필로그
<참고 도서>
(2) 호주선교사 데이비드 라이얼
선교사 가문
라이얼의 평등 신학
‘광림학교 설립자 겸 교장’
마산의 교회와 학교
노회장 라대벽
마산선교부의 전경
호주 회원들의 오해
라이얼의 업적
첫 호주유학생 김호열
에필로그
<참고도서>
(3) 호주선교사 이다 맥피
소명과 파송
마산포로 부임하다
의신여학교 개교
한국인들의 이름
변화의 해
순회전도자
남성과의 동등함
소아성경학교
마산선교부 보고서
호주의 경제 대공황
마지막 여정
선교사가 아닌 어머니
때 저물어서 날이 어두니
에필로그
<참고도서>
(4) 호주선교사 프레더릭 매크레이
진주의 장터
거창, 안의, 함양
거창선교부 설립
마산포선교부로 옮기다
10엔의 가치
약하지만 살아있는 교회
신사참배의 압박
창신학교의 운명
에필로그
<참고자료>
프레더릭 매크레이 화보
(5) 호주선교사 아서 알렌
오직 나의 영으로
하동, 남해, 곤양
광림남학교 교장
진주의 새 교회당
뜻밖의 신문기사
교회 개척
코리안 어웨이크닝
마산 호신학교 교장
자랑스러운 밴드부
갑작스러운 죽음
추모사
학교의 마지막 날들
에필로그
<참고 도서>
(6) 호주선교사 메이지 테잇
‘가문의 전통을 이를 것’
마산의 순회전도자
전도부인을 예우하다
세 번째 임기
십자가 깃발을 들고
7명의 전도부인
네 번째 환송예배
신사참배 거부운동
예레미아 선지자 같이
한국교회의 분열 속에서
에필로그
<참고도서>
(7) 호주선교사 에셀 딕슨
거창으로 부임하다
배돈기념병원으로
다시 부름을 받다
한국인 위원에 관한 토론
마지막 여정
거창의 유아보건소
거창이 어디 있어요
<참고자료>
(8) 호주선교사 스텔라 스코트
‘거창의 주교’
명덕여자강습소
마산의 구경거리
순회전도 중에 만난 여성
거창선교관
거창교회
존속이냐 폐쇄냐
명덕유치원과 학교
거창의 명물
능력의 집
독신의 여선교사
선교사 봉급 삭감
거창보건소 봉납예배
명덕여학교와 거창교회
마지막 여행
거창선교부 재산
에필로그
<참고도서>
(9) 호주선교사 엘리자베스 던
태즈메이니아에서 통영으로
한산도 수련회
거창의 형제들이 어떠한가 방문하자
곽남순
호주로 귀국하라
해방 후, 다시 한국으로
꿈인가 생시인가
한국전쟁 – 일본으로 피신하다
전쟁 후
마산선교부 복구
백발의 할머니
에필로그
<참고도서>
(10) 호주선교사 존 브라운
성장 배경
한국선교와 교단 관계
마산의 자수 판매 프로젝트
거제 염소 분양
장로회신학대학 강의
민주화와 노동운동
호주연합교회에서
원주민과 함께
몇 번의 전환점
에필로그
<참고도서>
저자소개
책속에서
호주선교사 존 & 노마 브라운
“호주선교기념관 건립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또한, 이에 맞추어 ‘호주선교사
열전 – 마산과 거창’ 도서가 출판되어 축하드립니다.”
창신기독학원 학원장 강병도
“130여 년 전 호주선교사가 이 땅에서 교회를 설립하는 한편 신교육을 위하여
창신학교를 설립했습니다. 일제 강점기에 78명의 호주선교사가 경남 부산에서
선교 활동하던 중 8명의 선교사가 목숨을 바쳐 순직(순교)하였습니다.”
문창교회 원로목사 김기현
“마산에서 3.1운동을 주도한 사람들은 주로 창신학교와 의신여학교 교사와
학생들이었는데, 이들은 문창교회 교인들로서 교회는 애국 운동의 정신적인
거점이 되었습니다.”
호주선교사 양명득
“어린 시절부터 세계의 많은 위인에 대하여 배워왔지만, 호주선교사를
알고부터는 이들만이 나에게 위인이고 성인이었습니다. 나의 핸드폰
배경화면으로 매일 만나는 이들의 모습은 지금까지 나에게 긍지이고 영감의
원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