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일반
· ISBN : 9788970717449
· 쪽수 : 128쪽
· 출판일 : 2025-04-29
책 소개
목차
서문
1. 시작하면서
2. 종교개혁의 발생
1) 종교개혁이란 무엇인가?
2) 종교개혁의 전개
3) 종교개혁과 개혁교회의 형성
3. 재세례파의 개혁운동
1) 재세례와 재세례파
2) 재세례파의 기원과 유형
3) 스위스 형제단
4) 재세례파의 지도자들
5) 재세례파의 교의와 사상
6) 고난의 여정
4. 메노 사이먼스와 메노나이트
1) 메노 사이먼스의 생애
2) 저술과 사상
3) 메노나이트의 정신
4) 자유의 나라로: 메노나이트들의 이주와 교회의 확산
5. 메노나이트중앙위원회(MCC)
1) MCC 창립의 배경
2) MCC의 구호활동
6. 메노나이트의 한국에서의 활동
1) 달라스 보란의 내한과 한국에서의 사역 준비
2) 데일 네블의 내한과 MCC
3) 메노나이트중앙위원회 사역자들
4) 메노나이트중앙위원회의 구호와 교육 활동
7. 부산에서 순직한 MCC 간호선교사
1) 캐서린 딕
2) 베르타 코넬슨
8. 맺으면서
부록: 한국에서 일한 메노나이트 인물들
저자소개
책속에서
재세례파란 16세기 교회개혁 과정에서 보다 철저한 개혁을 추진하되 주류의 개혁자들과는 달리 국가교회 체제를 부정하고, 국가교회제도 하에서 강제되었던 유아세례를 반대하고 성인이 된 후 자신의 신앙고백 후에 받는 세례, 곧 ‘신자들의 세례’를 주창했던 집단에 대한 총칭이다.
국가교회로부터의 이탈은 반역죄에 해당했다. 곧 재세례교도들에 대한 박해가 시작되었다. 재세례를 주장하는 것 자체가 유죄였다. 심각한 탄압에도 불구하고 재세례운동은 각지로 확산되었다. 재세례파는 비폭력과 평화문제와 관련하여 크게 두 집단으로 구분될 수 있다. 첫째는 비폭력적이고 무저항적이고 평화주의적인 분파이고, 다른 한 부류는 폭력을 용인하는 집단이었다. 전자의 경우가 절대다수였고, 폭력적인 재세례파 집단은 곧 궤멸되었다. 1535년 이후는 평화를 옹호하는 집단이 남았는데, 그 대표적인 집단이 메노나이트였다.
재세례파가 강조하는 주요한 가르침은 다음의 몇 가지로 정리될 수 있다. 첫째, 성경에 대한 강조이다. 재세례파는 성경전체를 신약에서 조망한다. 구약은 신약에 대한 예비로 보기 때문에 이들의 성경에 대한 접근은 그리스도와 신약성경중심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