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요리/살림 > 패션/뷰티 > 스타일/패션
· ISBN : 9788970842738
· 쪽수 : 191쪽
· 출판일 : 2005-05-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패션이란 무엇인가?
오늘날의 패션 | 여성 패션 - 남성 패션 | 패션과 육체 | 우리 문화의 패러다임으로서의
패션
선사시대
인간 - 벌거벗고 태어난 동물? | 고대 문명 | 중세시대 의복 | 재단 기술의 등장
중세 후기와 르네상스
인간에 대한 묘사 | 상반된 감정이 공존하는 아름다움과 패션에 대한 찬미 | 중세 후기의
여성 패션 | 세기의 전환과 16세기 | 용병 패션 | 스페인 패션
바로크시대
17세기 | 청결과 위생 | 바로크시대의 패션과 육체 | 세기의 전환 이후 | 패션 저널
엠파이어와 비더마이어시대
자연으로 돌아가라? | 영국 패션 | 19세기 초의 남성 패션 | 비더마이어시대의 예고 |
세기의 중반
오트 쿠튀르의 탄생
새로운 노동 형태 | 오트 쿠튀르의 탄생 | 아멜리아 블루머 | * 찰스 프레드릭 워스
패션의 근대화
패션의 혁명 | 폴 푸아레 | 전쟁 전의 실루엣 | * 코코 샤넬
떠들석한 20년대
양성적인 청소년성 | 민주화 | 패션과 문화
우아한 여성상 : 30년대에서 50년대까지
형태의 변화 | 전쟁 시기 | 뉴룩과 50년대 | 새로운 사치 | * 크리스티앙 디오르
젊은이들의 패션 반란 : 60년대와 70년대
청소년성에 대한 숭배 | 오트 쿠튀르와 프레타포르테 | 70년대 | 노스탤지어 스탈이과
이국주의
포스트모던 패션 : 80년대와 90년대
성공에 대한 숭배 | 패션의 모범이 되는 미디어 | 포스트모던의 아방가르드 패션
참고 자료
용어 해설 | 참고 문헌 | 인명 찾아보기 | 사진 출처
옮긴이의 말
리뷰
책속에서
당대의 서술을 살펴보면 신여성에 대한 비판과 동일시되는 새로운 패션에 대한 비판이 지속적으로 발견된다. 여성의 '노출'은 부도덕과 동일시 되었으며 여성의 분명한 성적 자의식은 남성을 위협하는 것이었다. 남성들은 패션은 단지 외형적인 것이 아니라 새로운 육체적 자각을 일깨움으로써 인간의 행동으 변화시킨다는 것을 잘 알고 있었다.
많은 남성들이 신여성을 성생활에서와 마찬가지로 직장생활에서도 경쟁상대로 보았다. 여성은 자신의 파트너가 여성이건 남성이건 간에 파트너의 선택문제나 성적 경험을 포함한 자신의 경험에서 그들의 권리를 이전보다 더욱 강조하였다.
20년대의 베를린은 레즈비언과 게이의 하위문화로 유명하였다. 여성들은 여성 클럽에서 만나 서로 대화를 나누고 춤을 추고 연애를 즐겼다. 그들 중 다수가 어격한 남성적 헤어스타일에 남성용 턱시도를 착용하였으며 심지어 단안경을 끼기도 하였다. - 본문 134~135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