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가톨릭 > 가톨릭 신학
· ISBN : 9788971083826
· 쪽수 : 550쪽
· 출판일 : 2024-11-28
목차
전제
책머리에
제1장 세례성사
I. 유아 세례 예식 서술
1. 유아들을 맞이하는 예식
2. 말씀 전례
3. 세례 예식
4. 마침 예식
II. 구마 기도와 예비 신자 성유 도유
III. 세례수 축복: 세례는 생명, 죽음, 자유, 거룩함, 성령의 선물, 성부와 성자와 성령께 봉헌
1. 기도 본문
2. 기도의 삼위일체적 구조
3. 기도에 대한 설명
가) 첫 부분: 하느님 아버지의 업적에 대한 기억
나) 두 번째 부분: 성령 청원
다) 세 번째 부분: 하느님 아들의 중개를 통한 전구
IV. 축성 성유 도유: 왕 사제직의 세례
1. 축성 성유 도유 기도
2. 기도에 대한 해설
가) 성경에서의 사제직
나) 임금 같은 사제직과 세례 성사
V. 촛불 켜줌: 빛나는 세례
1. 촛불 켜줌에 수반하는 주례자의 말
2. 조명인 세례에 대한 신약의 계시
3. 거룩한 교부들에서의 조명(깨달음)으로서의 세례
4. 로마 미사 경본에서의 조명인 세례
VI. 귀와 입의 열려라 예식: 그리스도의 말씀을 듣고 믿음을 고백할 수 있는 능력의 세례
1. 열려라(에파타) 예식의 기도
2. 기도에 대한 해설
부 록
새 세례대와 세례 샘의 축복 예식에서의 세례에 대한 교리
1. 새 세례대나 세례 샘 축복 기도 본문
2. 기도에 대한 설명
가) 하느님 아버지께 찬미
나) 세례 샘의 기능
다) 성령 청원
라) 세례 받은 이를 위한 간구
제2장 견진성사
I. 축성 성유의 축성에서 그리스도인의 성사적 실존
1. 축성 성유의 첫 번째 축성 기도
2. 축성 성유 축성 기도의 구조
3. 축성 성유 축성 기도에 대한 설명
가) 기름과 관련된 하느님 아버지의 활동에 대한 기억
나) 성령 청원
다) 하느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의 중개를 통한 간구
II. 견진 성사 전례
1. 예식 서술
2. 예식의 요소들에 대한 설명
가) 성령 청원과 안수
나) 축성 성유 도유와 견진 양식문
다) 견진 후 사명
III. 견진성사의 공동집전
제3장 성체성사
I. 새로운 감사기도의 구조
II. 감사기도 제3양식
1. 기도 본문
2. 기도 해설
가) 첫째 부분: 하느님 아버지께 찬미
나) 두 번째 부분: 하느님 아버지께 감사
III. 감사기도 제4양식
1. 기도 본문
2. 기도 해설
가) 첫째 부분: 하느님 아버지께 찬미
나) 둘째 부분: 하느님 아버지께 감사
부록
미사 밖에서 하는 영성체와 성체 신비 공경 예식
1. 예식의 부분들
2. 미사 밖에서 하는 영성체와 미사와 함께하는 성체 공경의 관계
3. 성찬례와 하느님 말씀
4. 성찬례의 삼위일체적 구조
5. 성찬례, 세상에서의 과제이며 종말론적 긴장
제4장 고해성사(참회와 화해의 성사)
I. 고해성사의 세 예식의 공통 구조
1. 고해자를 맞이함
2. 말씀 전례
3. 성사적 화해
4, 고해자 파견
II. 사죄경의 양식들
1. 사죄경의 첫 번째 양식
가) 화해의 삼위일체적 측면
나) 화해의 교회적 측면
2. 사죄경의 두 번째 양식
가) 첫 부분: 성부 호칭
나) 둘째 부분: 성자 호칭
다) 셋째 부분: 성령 호칭
1.1.1.1.
III. 기도와 예식의 지침에서의 고해 성사의 측면들
1. 고해성사의 삼위일체적 차원
가) 고해성사 예식 지침에서의 삼위일체적 차원
나) 고해성사 예식의 기도들에서의 성부, 성자, 성령
다) 고해성사 거행의 본문에서의 삼위일체 신비
2. 고해성사와 성찬례
3. 고해성사와 교회
가) 예식 지침에서의 교회적 차원
나) 기도문들에서의 교회적 차원
다) 성사 거행에서의 교회적 차원
4. 고해성사와 마지막 현실에 대한 긴장: 종말론적 차원
5. 고해 성사와 세상에서의 임무
제5장 병자성사
I. 병자성자 예식 구조
1. 시작 예식
2. 말씀 전례
3. 병자성사
4. 마침 예식
II. 병자 성사의 측면들
1. 병자 성유 축복
가) 병자 성유 축복의 중요성
나) 병자성유 축복기도
다) 병자성유 축복기도문 설명
2. 병자성사 기도
3. 병자 도유로 인하여 그리스도에 일치
III. 병자성사의 공동집전
제6장 성품성사
I. 서품 예식의 구조
1. 소개 및 준비 예식
2. 중심 예식
3. 설명의 예식
II. 서품 기도의 교리
1. 서품 기도의 구분
2. 서품 기도 해설
가) 주교 서품 기도
나) 사제 서품 기도
다) 부제 서품 기도
III. 서품된 성직자들의 존재와 직무에서의 성령
IV. 성품 성사와 성찬례의 공동 집전
1. 성찬례의 공동 집전
2. 성품 성사의 공동 집전
3. 신학적 고찰
제7장 혼인 성사
I. 미사 때 거행하는 혼인 예식의 서술
1. 시작 예식
2. 말씀 전례
3. 혼인 예식
4. 성찬 전례
II. 몇몇 전례문에 대한 해설
1. 세례에 대한 기억
가) 첫 형식
나) 두 번째 형식
다) 세 번째 형식
라) 시작 권고
마) 성수에 대한 찬미와 감사의 기도
바) 성수 예식
2. 합의
가) 네 복음과 바오로 서간에서의 환영의 말(lambanein accipere)
나) 요셉과 마리아의 혼인과 연관된 환영의 말
다) 혼인 예식에서의 환영의 말
3. 혼인 축복
가) 축복의 가치와 의미
나) 첫째 축복 양식문
다) 기도의 설명
4. 혼인 감사송 2
가) 감사송 본문
나) 감사송 해설
결론
직무와 성화
성유 축성 미사의 감사송에서의 사제직에 대한 가르침
1. 성유 축성 미사의 감사송 본문
2. 감사송 해설
가) 성부는 성자를 성령의 기름 부음으로 사제로 세우셨다.
나) 그리스도께서는 당신의 사제직을 교회에게 전해주셨다.
3. 직무 사제들의 사명
가) 성체성사
나) 하느님의 말씀
다) 성사들
4. 직무 사제들의 영적 존재
가) 직무자들의 그리스도 모델
나) 신앙과 자애로운 사랑의 증거
참고문헌
옮기고 나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