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동양사일반
· ISBN : 9788971415443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01-02-28
책 소개
목차
시간과의 경쟁 - 20세기 동아시아의 혁명과 "팽창"
Ⅰ. 20세기 동아시아의 조금한 "시간과의 경쟁"
Ⅱ. 굴절된 국민국가 건설 : 중국의 헌정과 당치
Ⅲ. 통치 구조의 정향의 의미 : 집권과 분권
Ⅳ. 반식민지에서 대국으로
Ⅴ. 20세기 일본의 팽창 : 힘과 문화
Ⅵ. 여론
동아시아의 실체와 그 전망 - 역사적 접근
Ⅰ. 머리말
Ⅱ. 중심질서와 소중심질서
Ⅲ. 침략과 저항의 역사 경험
Ⅳ. 문화적 공통 경험
Ⅴ. 동아시아의 연대 - "아시아주의"론
Ⅵ. 결론
근현대 동아시아의 사회변혁 - 하나의 단상적 연구노트
Ⅰ. 혁명과 개혁
Ⅱ. 중국에 있어서의 사회변혁
Ⅲ. 결어 : 중국·일본·한국의 비교
근현대 동아시아에서의 기독교도 - 그 존재양태의 개관
Ⅰ. 머리말
Ⅱ. 사회적 불우자·불만자로서의 기독교도
Ⅲ. 개혁자로서의 기독교도
Ⅳ. 민족주의자로서의 기독교도
Ⅴ. 이웃으로서의 기독교도
Ⅵ. 결어
19세기 후반 조선 왕조의 대외 위기의식 - 제1·2차 중영전쟁과 이양선 출몰에의 대응
Ⅰ. 머리말
Ⅱ. 제1차 중영전쟁과 그에 대한 반응
Ⅲ. 제2차 중영전쟁과 그에 대한 반응
Ⅳ. 이양선의 출몰과 그에 대한 반응
Ⅴ. 결론
동아시아의 대학과 그 학문적 전통 - 학위제·대학원 제도와 관련하여
이충재(1888~1942)의 중국 경험과 한국 - 1920년대 한국에 있어서 하나의 지남으로서
만주에서의 만보산사건(1931)과 한국 언론의 대응 - 상이한 민족주의적 시각
Ⅰ. 머리말 ...175
Ⅱ. 만주에서의 일본의 "특수 지위"와 재만한인의 문제
Ⅲ. 만보산사건의 바랭과 한국 언론의 보도
Ⅳ. 『조선』·『동아』의 상이한 보도 태도의 배경
Ⅴ. 맺음말
신언준(1904~38)과 격동중국(1927~35)의 현장 보고
대만사의 소묘 - 그 민주화 역정
Ⅰ. 중화민국 이전의 대만(1) - 일본 통치 이전의 대만
Ⅱ. 중화민국 이전의 대만(2) - 일본의 통치
Ⅲ. "광복"과 갈등(1) - "접수"의 갈등
Ⅳ. "광복"과 갈등(2) - 2·28사건
Ⅴ. 국민당의 전제공포통치
Ⅵ. 민주화 운동의 전개(1) - 계엄통치하의 운동
Ⅶ. 민주화 운동의 전개(2) - "당외" 활동
Ⅷ. 민주진보당의 성립
Ⅸ. 계엄 해제에서 "조용한 혁명"으로
20세기 중국의 집권론과 분권론 - 중공의 입장과 관련하여
홍콩 반환의 역사적 고찰
호적과 장개석 - 전통문화관의 차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