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고대사 > 신라/통일신라
· ISBN : 9791192376530
· 쪽수 : 380쪽
· 출판일 : 2025-07-01
책 소개
목차
머리말 … 4p
제1장 통일신라
통일신라의 기틀을 확립한 문무왕과 신문왕 … 18p
◆ 설총의 〈화왕계〉 … 32p
통일신라의 전성기를 구축한 효소왕과 성덕왕 … 35p
◆ 수로부인 설화와 수로왕 설화의 유사성 … 58p
통일신라의 전성기를 완성한 효성왕과 경덕왕 … 62p
◆ 고구려 유민 이정기 일가의 일대기 … 84p
모반의 시대, 흔들리는 통일신라 … 92p
◆ 호국삼룡과 여의주 … 114p
장보고와 청해진 … 118p
◆ 조신의 꿈 … 130p
망국으로의 길 … 134p
◆ 당나라에서 벌어진 쟁장 사건 … 143p
제2장 발해
발해를 건국하기까지 … 150p
◆ 고구려를 계승하고 당나라를 모방한 발해 … 166p
발해를 건국한 대조영 … 173p
영토를 넓히고 당과 대결한 무왕 … 179p
◆ 발해 뗏목탐사대 … 192p
문왕의 치세 … 197p
◆ 당나라의 명장으로 활약한 고구려 유민들 … 208p
혼란 속의 발해 … 217p
해동성국의 시대 … 223p
◆ 홍라녀 전설 … 238p
발해의 멸망 … 242p
◆ 백두산 폭발과 발해의 멸망 … 254p
발해 부흥운동과 계승국 … 257p
◆ 발해사에 대한 인식 … 263p
제3장 후삼국시대
후백제가 건국되다 … 272p
후고구려의 성립 … 281p
◆ 통일신라 말기의 호족과 선종 … 296p
왕건의 조상 … 301p
◆ 효녀 지은과 효종랑 … 311p
삼국의 동상이몽 … 314p
궁예의 몰락 … 323p
자웅을 겨루는 왕건과 견훤 … 333p
통일을 이룩한 고려 … 346p
◆ 왕건의 부인들 … 369p
참고 문헌 … 373p
지도1 통일신라와 발해의 국경 … 8p
지도2 통일신라의 행정구역 … 28p
지도3 혜초의 여정 … 51p
지도4 당 후기 절도사들의 난립 … 86p
지도5 김헌창의 난 … 107p
지도6 청해진과 신라방 … 122p
지도7 대조영의 발해 건국 … 157p
지도8 발해의 행정구역과 말갈부족의 위치 … 163p
지도9 발해의 당나라 공격 … 187p
지도10 발해 무왕 시대의 대외정세 … 188p
지도11 소그디아나 지역 … 212p
지도12 발해의 특산물 … 227p
지도13 통일신라와 발해의 국제교통로 … 236p
지도14 발해의 멸망 … 252p
지도15 후삼국시대 호족의 난립 … 273p
지도16 통일신라 5교 9산의 성립 … 299p
지도17 후삼국시대 … 362p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삼국통일전쟁이 끝나자마자 신라는 당과의 전쟁에 돌입했다. 당은 한반도를 모두 차지하려는 야욕을 드러냈고 신라는 이에 대항했다. 전쟁이 거의 연이어 발생한 탓에 나당전쟁을 통일전쟁의 일환으로 보는 사람도 있으나 이는 잘못된 견해라고 생각한다. 삼국은 이미 통일되었고, 통일신라는 새로운 적으로 대두한 당나라와 싸워 승리했다. 이 전쟁이 바로 나당전쟁이다. 오히려 이 전쟁으로 고구려와 백제의 유민이 신라라는 체제 아래 재편되었고, 세 나라의 백성이 전선에 투입되어 하나의 공동체라는 의지를 다질 수 있었다. 또한 이 전쟁을 계기로 한반도와 만주에 끼치던 당나라의 지배력이 약해졌고, 그 틈에 고구려의 계승국인 발해가 성립될 수 있었다.
머리말
신라는 일본 천황과 황후는 물론이고 황태자와 친왕들에게도 선물을 보냈는데, 이는 조공을 바치는 제후국의 행위가 아니다. 조공을 받고 답례를 하던 당나라가 신라 왕족들에게 이런 식으로 물품을 하사했다. 한편 《삼국사기》에서는 일본에 사신을 보낸 기록이 별로 나오지 않는다. 반면에 《일본서기》 같은 일본 측 문헌에서는 신라 사신의 방문이 상세히 적혀 있다. 즉 신라 사신의 방문이 일본에 무척 중요한 일이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신라와 일본은 양국을 오가는 사신의 성격을 두고 동상이몽으로 해석했다. 두 나라의 오해는 결국양국 관계를 파탄시킨다. 양국 관계가 악화하는 시점은 조금 더 시간이 흐른 뒤였다.
제1장 통일신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