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88972185857
· 쪽수 : 428쪽
· 출판일 : 2018-07-30
책 소개
목차
서문
제1부 ‘지구화 시대’의 글로벌 개발 거버넌스
제1장 지구화, 개발, 글로벌 거버넌스
1. ‘지구화’(globalization)의 두 얼굴
2. 지구화 → 글로벌 개발 위기?
3. 지구화 → 글로벌 거버넌스
4. 글로벌 거버넌스 → 지속가능한 개발
5. 지구화 → 글로벌 거버넌스 → SDGs
제2장 지구화 → 글로벌 위기?
1. 글로벌 금융, 식량, 기후변화 위기
2. 글로벌 ‘경제와 무역’ 거버넌스
3. 개발도상국의 성장과 대응
제3장 글로벌 거버넌스 → 지속가능한 개발?
1. 글로벌 ‘인간개발’은 진전되는가?
2. MDGs(밀레니움 개발 목표)의 성과
3. SDGs(지속가능한 개발 목표)의 비전
4. 인간개발을 위한 통합적 접근
제4장 지속가능한 개발의 파트너십
1. 글로벌 ‘개발원조’ 거버넌스
2. 글로벌 거버넌스 감시자 NGO
3. 글로벌 ‘다국적기업’ 거버넌스
4. 개발 파이낸싱: 임팩트 투자
제2부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글로벌 거버넌스
제5장 글로벌 ‘금융’ 거버넌스
1. 글로벌 금융위기 → 개발 위기?
2. 금융위기 → 긴축정책 → 사회안전망 위협
3. 글로벌 ‘금융’ 거버넌스
제6장 글로벌 ‘식량’ 거버넌스
1. 글로벌 ‘식량 위기’의 시대?
2. 개발도상국의 식량위기 대응 전략
3. 글로벌 식량 위기의 원인 분석
4. 글로벌 ‘식량안보’ 거버넌스
제7장 글로벌 ‘물’ 거버넌스
1. 글로벌 물 위기와 물 안보
2. 물-식품-에너지-기후변화
3. 물과 토지 투기 → 물과 식량 위기
4. 글로벌 ‘물’ 거버넌스
제8장 글로벌 ‘재난과 기후변화’ 거버넌스
1. 글로벌 ‘환경’ 거버넌스 어젠다
2. 글로벌 기후변화와 환경보존
3. 바이오연료 → 토지투기 → 식량위기
4. 글로벌 ‘기후변화’ 거버넌스
제9장 글로벌 ‘자원’ 거버넌스
1. 자원부유국의 ‘자원 저주’?
2. 글로벌 ‘자원’ 거버넌스: EITI
3. EITI 원칙과 실행기준
제10장 글로벌 ‘보건과 사회정책’ 거버넌스
1. ‘인간안보’의 사회정책
2. 글로벌 위기에 대한 사회정책
3. 글로벌 ‘보건’ 거버넌스
4. 글로벌 ‘HIV/AIDS’ 거버넌스
5. 글로벌 ‘사회보호’ 거버넌스
제11장 결론: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글로벌 거버넌스
1. 신제도주의와 ‘개발국가’의 한계
2. 신자유주의 → 글로벌 개발 위기
3. SDGs 이행을 위한 글로벌 거버넌스
참고 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지구촌은 점차 하나로 통합되는 지구화(globalization)의 과정에 있다. 정치, 경제, 문화 등 거의 모든 측면에서 지구화가 한창 진행되고 있다. 그런데 미국의 보호무역이 여러 국가들을 위협하며, 미국-중국 무역 전쟁을 일으키는 ‘반지구화’도 새로운 글로벌 동향이다. 이런 지구화와 반지구화가 인간개발을 비롯한 사회개발과 정치, 경제의 성장에 미치는 여러 영향들과 이에 대한 ‘글로벌 거버넌스’(global governance)를 탐구하는 것이 이 책의 목적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