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과교육론 > 사회/역사교육 전공
· ISBN : 9788972882480
· 쪽수 : 361쪽
· 출판일 : 2005-03-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한국 - 민족주의사관에 의거한 역사 (이시와타 노부오)
민족주의사관의 좋은 점과 나쁜 점
민주화운동 중에 일어난 새로운 시도
한국의 교과서에서
중국 - 생생하고도 사실적인 기술 (나타니 사다오)
항일전쟁의 승리에 대한 서술
역사에 대한 무관심
중국의 교과서에서
싱가포르 - 1980년대 '교과서 문제'가 불러일으킨 '변화' (다카시마 노부요시)
일본에 대한 엄격한 기술
전후세대에게 역사를 전한다
싱가포르의 교과서에서
베트남 - 역사교육과 '과거의 기억' (후루타 모토오)
교과서의 '도이모이'
되살아나는 '전쟁의 기억'
베트남의 교과서에서
인도네시아 - 독립을 쟁취했다는 자부심 (니시무라 시게오)
호랑이의 압정과 악어의 압정
역사의 하이라이트, 독립운동시대
인도네시아의 교과서에서
독일 - 역사를 현대의 문제로 생각한다 (구로다 다미코)
어린이의 사고력을 키우는 교재
비판적 사고력을 기른다
독일의 교과서에서
폴란드 - 역사의식은 가정에서 형성된다 (사쿠라이 요시노)
양차 세계대전이 교차하는 20세기의 역사
민족의식의 강조보다는 사실 기술이 중심
폴란드의 교과서에서
영국 - 세계를 다각적으로 이해하는 인식력을 기른다 (고시다 다카시)
교과서 자유발행제
자부심과 패배감이 뒤섞인 딜레마
영국의 교과서에서
네덜란드 - 가해와 피해의 선명한 구분 (도미나가 야스요)
나치스에 관한 상세한 기술
식민지에 관한 기술이 거의 없다
네덜란드의 교과서에서
미국 - 토론 중심의 역사수업 (오시아 교코)
미국 교과서 속의 태평양전쟁
일천 페이지가 넘는 기술
미국의 교과서에서
일본 - 배우는 쪽의 시점 (이시와타 노부오, 고시다 다카시)
단성형 일본사의 문제점
발전하는 근현대사 기술
교사의 역사관이 문제다
정리 - 역사교과서는 어떻게 존재해야 하는가 (아시와타 노부오, 고시다 다카시)
세계의 역사교과서를 접하고
민족주의 사관을 넘어선다는 것 등
맺음말
옮긴이의 말
참고 문헌
리뷰
책속에서
우리는 보다 객관적인 관점을 유지하기 위하여, 우선 해당국의 역사교과서를 연구하는 전문가에게 각 나라 교과서 기술의 개요와 배경에 대해 강의하게 했다. 그리고 인터뷰 형식으로 해당국의 역사인식이나 교육 상황에 대해서도 들었다. 그리고 각국의 마지막 부분에서 해당국의 역사교과서 일부를 번역하여 실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