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건축공학 > 건축시공
· ISBN : 9788972975540
· 쪽수 : 404쪽
· 출판일 : 2007-12-26
책 소개
목차
책을 내면서
하우징 디자인과 MA 설계
근대 하우징 디자인과 총체성 문제
설계의 총괄 조정 필요성
새로운 하우징 디자인 방식의 등장:일본의 경우와 한국의 상황
MA 방식에 의한 하우징 디자인 유형
마스터플랜에 따른 개별 블록 건축가들의 협력 설계 - 목동 신시가지
설계경기에 의한 마스터플랜 선정과 블록별 분담 설계 - 분당 시범단지
국내 최초 MA 방식을 적용한 주거단지 - 용인 신갈 새처년 주거단지
MA에 의한 마스터플랜 및 개별 블록 설계 조정 - 용인 보라지구
MA에 의한 도시 계획 수립과 개별 블록 설계 조정 - 의왕 청계지구
디자인 코드에 의한 MA+LA+BA의 협력 설계 - 벨콜린 미나미오사와 단지
개별 건축가의 창의와 자율을 존중한 코디네이터 방식 - 넥서스 월드
사업 계획 조정위원의 디자인 가이드라인 작성과 디자인 통제 - 마쿠하리 베이타운 파티오스 1-6번가
키 센텐스에 의한 릴레이 디자인 - 오카야마 현영 나카쇼 단지 1-2기
경관 형성 가이드라인에 의한 MA의 설계 조정 - 어반 도네하라 4-5번가
디자인 어드바이저 중심의 디자인 회의방식 - 시노노메 캐널 코트 코단
디자인 가이드라인과 개별 건축가들의 디자인 회의를 통한 협력 설계 - HAT 고베 나타노하마
개별 건축가들의 개성 극대화를 위한 마스터플랜 및 설계 조정 작업의 최소화 - 아사 힐즈
마스터플랜 없는 개별 건축 설계의 자율 조정 - 기후현영 기타가타 주택
- 단위 평면 계획에서 출발한 주거단지 계획ㅡ상향식 계획방식의 적용 : 남 블록
- 포스트 모더니티 시대의 마을 모델 만들기 : 북 블록
일본 전문가들과 면담
MA 방식에 의한 프로젝트별 참여 전문가들과 면담
MA 설계 참여자들의 개별적 경험과 역할에 대한 면담
저자소개
책속에서
용인 보라지구
용인 보라지구는 MA가 설정한 개발 목표를 전체 단지 계획에 일관되게 적용시켜 단지 계획의 완성도를 높였다는 것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무엇보다도 당시까지 우리나라 주거단지에서 만들어내지 못했던 중.고.초고층의 층수 혼합에 의한 중첩 환경을 만들어 냈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 보라지구 전체를 중첩된 경관이 있는 주거단지로 만들어 보행자의 시점에서 걷는 즐거움을 더해 주고, 쾌적한 공간감을 만들어 낸 점은 매우 성공적이다. 아쉬운 점은 생활 가로의 보행 공간이 너무 협소하여 보행과 자전거 교통이 서로 혼재하고 있는 점이다. - 본문 119쪽에서
도시 디자인형 집합주택의 대표적 사례
파티오스 주거단지는 일본에서 도시 디자인형 집합주택의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21세기의 일본이 지향하는 국제적 수준의 집합주택지를 조성했다는 찬사가 있는 반면 일본 어느 곳에서도 그 뿌리를 찾을 수 없는, 그래서 상업적인 목적에만 주목한 인공적인 수입 주택지라는 혹평이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사업 계획 조정위원이었던 미노하라의 경우에는 "다양, 혼합, 분산, 변화라는 시대적인 화두에 민감하고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명쾌한 아이덴티티를 가진 주거지"라는 입장을 보이고 있는 반면에 아라타 이소자키와 함께 다양한 주거 건축의 변화를 추구하는 작업을 해오고 있는 야스카 하지메와 같은 건축가는 이와 같은 의견에 각을 세우면서 "일본 내 그 어느 곳에서도 뿌리를 찾을 수 없는 완벽한 인공물인 동시에 내놓지 말아야 할 대표적인 주택지"라고 폄하하고 있다. - 본문 216~219쪽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