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도시/환경공학 > 도시계획/설계
· ISBN : 9788972975472
· 쪽수 : 353쪽
· 출판일 : 2007-08-27
책 소개
목차
1장 도시 집합주택의 계획 이념
1. 도시 집합주택 계획 패러다임의 전환
2. 집합주택 디자인의 3대 패러다임
3. 도시 집합주택의 공간 체계 구성 개념
2장 도시 집합주택의 계획과 밀도
1. 밀도의 개념과 유형
2. 밀도와 주거 유형
3. 밀도 지표와 주거 계획 요소
4. 국내 주거단지의 개발 밀도 특성
3장 동선 계획
1. 동선 계획의 목표 및 기존 관행
2. 보행 동선 계획 및 자전거 동선 계획
3. 차량 동선 계획
4. 보차 절충 계획 및 분리 계획
4장 공동생활 공간 계획
1. 공동생활 공간과 일상생활 동선
2. 공동생활 공간의 계획 방향
3. 공동생활 공간의 계획과 사례
5장 주거동 계획
1. 주거동 계획의 개념과 과정
2. 주거동 계획 사례
6장 단위주거 계획
1. 공동주택 단위주거 계획의 논리
2. 단위주거 계획 접근 방법별 이론과 사례
3. 한국적 생활 양식과 단위주거 계획
4. 단위주거 계획과 주거동 및 옥외 공간 계획의 연계
7장 접점 공간의 계획
1. 접점 공간 계획론
2. 접점 공간 계획 사례
참고문헌
사진 및 그림 출처
저자소개
책속에서
공간 연계성 확보
공간 연계성 확보란 각 공간들을 거주자들의 공간 이용 행태 및 생활 내용들을 고려한 다양한 계획적 조치 수단을 통해 서로 연결하는 것을 의미하며, 동선적 연계, 시각적 연계로 구분된다. 예를 들어 주거동을 계획할 때, 주변 시설 공간들과 시각적으로 연결되도록 주거동 출입구 위치를 계획한다면, 주거동 출입구는 단순히 출입 기능뿐 아니라 거주자들의 주거동 주변 옥외 생활 공간 이용 행위를 지원해주는 역할을 하게 될 것이며, 이를 통해 주거동 주변 옥외 생활 공간이 거주자들의 일상적인 공동생활 공간으로 확장될 수 있다.
거주자들의 동선을 활용해 공간들 간의 연계성을 확보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놀이터를 예로 들면, 놀이 기구 종류가 유사한 놀이터라 하더라도 자동차 도로에 의해서 보행자 동선이 단절되지 않거나 보행자 전용로에 연결되어 있는 놀이터, 혹은 거주자가 빈번히 이용하는 이동 동선에 배치된 놀이터의 이용률이 더 높다.
개별시설 공간들 간의 연계를 넘어서 주거단지 전체 공간으로 연계 범위를 확장한 개념이 '단지 전체 공간의 네트워크화'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주거단지 전체의 개별 공간들의 연계성을 확보함으로써 각 생활 공간들의 통합 및 네트워크화를 통해 단지 전체가 하나의 생활 영역으로 인식되도록 하자는 개념이다. 즉 각 시설 공간의 기능성 확보에 치중하던 계획 관행에서 탈피해 단지 전체 옥외 공간이 거주자들의 일상 공동생활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계획하기 위한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 본문 172~173쪽, '4장 공동생활 공간 계획'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