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이야기
· ISBN : 9788973162925
· 쪽수 : 504쪽
· 출판일 : 2008-01-17
목차
책을 펴내며
차례
제1부 분권시대 한국 지역경제론의 새로운 모색
제1장 국민경제의 지역구조론과 지역경제의 자립적 발전론의 모색
머리말 / 국민경제의 지역구조론 / 지역경제의 자립적 발전론 / 맺음말
제2장 지방자치와 지역경제의 내발적 발전의 길
머리말 / 한국경제의 발전양식과 지역사회경제의 당면문제 / 지역과 지역경제의 자립적 발전 / 지역경제의 내발적 발전과 주민자치의 방향 / 맺음말
제3장 한국사회의 발전방향과 지방분권화의 과제
머리말 / 한국사회 발전의 방향과 지방분권화 / 지방분권화의 기본방향 / 맺음말: 연구와 실천의 과제
제4장 지역적 불균등발전과 참여정부의 지역정책
머리말 / 지역간 불균등발전의 실태와 특징 / 지방분권운동와 새로운 지역정책의 전개 / 지방분권과 지역균형발전정책의 중간평가와 과제
제5장 지역균형발전정책의 새로운 구상
머리말 / 국가균형발전정책의 내용과 성격 / 지역균형발전정책의 방향과 과제
제6장 한국 대학의 위기와 발전방향―공정한 경쟁, 참여민주주의, 지역권역별 대학발전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머리말 / 한국 대학위기의 핵심 / 한국대학발전의 기본방향: 공정한 경쟁, 참여민주주의, 지역권역별 대학발전시스템의 구축 / 맺음말
제7장 도시지가형성의 매커니즘
머리말 / 자본주의적 도시화와 도시지대분석의 전제조건 / 도시지대의 형태와 지대ㆍ지가형성의 논리 / 맺음말
제8장 분권형 통일국가 토지소유시스템의 구상
머리말 / 남한 자본주의의 토지문제와 토지소유ㆍ이용시스템 / 북한 사회주의의 토지문제와 토지소유ㆍ이용시스템 / 남북한 통합경제시스템과 토지소유이용의 방향 / 맺음말
제2부 부산권 지역사회경제 연구
제1장 지역문제의 인식과 90년대 초 부산 지역사회경제의 성격
머리말 / 지역문제의 새로운 인식 / 부산지역 사회경제의 특징과 원인 / 맺음말
제2장 21세기 부산광역권 지역경제의 내발적 발전의 길
머리말 / 대도시권 지역경제의 내발적 발전의 길: 연구의 시각 / 부산광역권 지역사회경제의 위기 / 부산지역 지역개발정책의 특징과 문제점 / 부산광역경제권의 내발적 발전전략 / 맺음말
제3장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임금격차구조 개선방향과 과제
머리말 / 대ㆍ중소기업간 임금격차실태와 임금격차구조의 사회경제적 귀결 / 대ㆍ중소기업간 임금격차구조의 원인 / 대ㆍ중소기업간 임금격차구조 관련주체별 대응 / 대ㆍ중소기업간 임금격차구조의 개선방향과 과제
제4장 중소기업가 경영혁신과 경영이념
머리말 / 중소기업의 실천적 경영지침 확립의 의의 / 실천적 경영이념의 확립과 성문화의 방법 / 맺음말
제5장 울산창원지역 대기업 근로자의 생활상태 분석
머리말 / 생활비 구성과 임금수준 / 저축과 부채 / 주택 및 내구소비재 보유상황 / 기업의 복리후생 / 맺음말
제6장 여성근로자의 노동과정과 노동시장 실태 분석 - 80년대 말 신발ㆍ섬유산업을 중심으로
머리말 / 부산지역의 경제구조와 여성노동력의 존재형태 / 부산지역 여성근로자의 노동과정과 노동시장의 실태 분석 / 부산지역 여성노동문제 해결을 위한 당면과제
제7장 지역사회경제발전과 노동운동의 진로
머리말 / 지역문제의 핵심과 지역발전의 방향 / 지역문제ㆍ지역발전과 노동문제ㆍ노동운동의 관계 / 지방화의 관점에서 본 노동조합운동의 평가: 한국노총의 경우 / 노동조합운동의 새로운 모색
제8장 대도시 정주권 주민생활공동체의 실태조사 분석
머리말 / 주민생활공동체론: 연구시각과 연구모형 / 지역(주민)생활공동체의 실태조사 결과 분석 / 맺음말
제9장 주민자치시대 시민의 시정참여의 방향
지역사회의 발전과 시민참여의 기본방향 / 지방자치 선진지역의 시민참여모델: 주민참가제도를 중심으로 / 우리나라 시민참여의 현상과 문제점 / 맺음말
황한식 교수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