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종교학
· ISBN : 9788973692675
· 쪽수 : 435쪽
· 출판일 : 2011-02-28
목차
제1장 서 론
1-1. 한국 문화 속에서 이루어진 교회의 성장과 분열
1-2. 좋은 전통을 상실해 가는 한국 교회
1-3. 목표(Objective)
1-4. 연구의 의의와 범위
1-5.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론
1-6. 연구의 내용과 순서
제2장 신학적 틀
1-1. 지역 신학
1-2. 3단계 신학교육의 틀: 실제-이론-실제
제3장 한국교회
1-1. 기독교의 전래
1-2. 한국 교회의 성장의 개괄적 역사
1-3. 한국교회의 성장요인
1-4. 한국 교회의 성장에 대한 연구
제4장 정(情)
1-1. 정(情)에 대한 정의
1-2. 정(情)에 대한 어원적 의미
1-3. 문자적(이론적) 의미의 정(情)과 실제적 의미의 정(情)
1-4. 예술과 문학작품 속에 나타난 실제적인 정(情)의 의미
1-5. 정(情)에 관한 학문적 연구
1-6. 정(情)의 속성
1-7. 성리학에서의 정(情)
1-8. 맹자(盲者)의 4단(四端)과 중용(中庸)의 7정(七情)
1-9. 4단 7정론(四端七情論)
1-10. 이론적 시각에서의 정(情)에 관한 연구가 갖는 함축성
제5장 연구 방법론
1-1. 질적 연구 방법론
1-2. 연구 계획
1-3. 연구자
1-4. 연구 대상자(면접 참여자)
1-5. 면접 진행 절차(interview procedures)
1-6. 면접 자료 분석
제6장 연구 결과
1-1. 면접 참여자들이 이해하는 정(情)
1-2. 정(情)의 형성과정: 접촉의 기간과 빈도
1-3. 정(情)의 관계성 양상: 개인적 관계성
1-4. 정(情)의 관계성 양상: 개인적 관계성
1-5. 정(情)의 세가지 차원
1-6. 정(情)과 애착(Attachment)
1-7. 연구를 통해 발견된 점
제7장 신학 및 목회 상담에 관한 함축성
1-1. 정(情)과 가정
1-2. 정(情)과 사회경제적 환경
1-3. 정(情)과 한(恨)
1-4. 정(情)의 신학: 긴장과 갈등의 신학
1-5. 목회 상담과 치유 사역을 위한 함축성
1-6. 정(情)의 자아를 위한 목회 상담의 함축성
제8장 결 론
1-1. 연구의 가치와 의의
1-2. 연구의 한계점
1-3. 정(情)에 대한 미래의 연구 방향
참고문헌
별첨 A : 인터뷰를 위한 질문
별첨 B : 연구 참여자에게 보내는 편지
별첨 C : 연구 참여 동의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