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2015 포켓용 전기설비 기술자료집

2015 포켓용 전기설비 기술자료집

이순형, 유상봉, 정태규, 박용덕 (지은이)
기다리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2015 포켓용 전기설비 기술자료집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2015 포켓용 전기설비 기술자료집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전기전자공학 > 전기설비
· ISBN : 9788973743599
· 쪽수 : 223쪽
· 출판일 : 2015-01-03

목차

Ⅰ. 전기설비의 대관업무 및 기준의 적용

1. 전기설비의 개요_1

2. 전기설비의 계획_2
2-1. 수변전설계의 계획 절차2
2-2. 인허가 업무 흐름도3
2-3. 인허가 사항 주요내용4
2-4. 전기안전관리 및 대관업무 요약4
2-4-1. 전기안전관리자 선임대상 및선임면제대상 전기설비4
2-4-2. 안전관리 대행기준8
2-4-3. 상주 선?해임신고시 첨부서류8
2-4-4. 대행 선?해임신고시 첨부서류10
2-5. 공사계획 신고 및 대관업무처리10
2-5-1. 자가용전기설비 공사계획신고10
2-5-2. 공사계획신고 대관업무 처리 11
2-6. 전기설비 설계, 감리13
2-6-1. 감리대상 및 제외대상13
2-6-2. 감리원배치(변경) 신고서류13
2-6-3. 책임감리원 및 보조감리원 자격기준14
2-6-4. 감리업자의 영업범위14
2-6-5. 공종의 구분14

3. 사용전검사 업무 개요_15
3-1. 사용전검사15
3-1-1. 일반사항15
3-1-2. 용어의 정의15
3-1-3. 수전설비 적용범위15
3-1-4. 자가용전기설비16
3-2. 검사 실시 범위18
3-2-1. 사용전검사 범위18
3-2-2. 사용전검사 범위 적용방법18
3-2-3. 수전설비 검사 범위19
3-2-4. 구내배전설비 검사 범위 및 적용방법19
3-2-5. 자가용발전설비 설치 수용가20
3-3. 자가용 공동 수전설비(모, 자거래) 검사20
3-3-1. 설치구분에 따른 검사 적용방법20
3-4. 각 업무별 적용대상20
3-4-1. 기본 적용대상20
3-4-2. 업무별 적용방법21
3-4-3. 전기수용설비와 비상용발전설비가 함께 있는 경우21
3-5. 용량증설에 따른 검사대상 적용방법22
3-6. 심야전력설비 적용방법22
3-6-1. 심야전력 및 제조업 적용방법23
3-7. 검사판정기준24
- 송배전설비
- 수전, 변전, 배전설비
- 기타
H형 주상 수전설비에 대한 검사처리 방법 28
변압기 절연유 구외 유출방지 시설기준 29
3-8. 보호계전기 시험기준30
3-8-1. 보호계전기 정정지침(한전 보호협조 기준)30
3-8-2. 수전회로용 보호계전기 정정30
3-8-3. 변압기 보호계전기 정정31
3-8-4. 수전 변압기 2차 메인 보호계전기 정정31
3-8-5. 콘덴서 보호계전기 정정32
3-8-6. 전동기 보호계전기 정정32
3-8-7. 저압회로 보호 정정33
3-8-8. MOTOR 용량 및 EOCR 선정 기준표34
3-8-9. 영상변류기 시설방법35
3-9. 지락차단장치 등의 시설관련 기술기준36
3-9-1. 지락차단장치 설치장소36
3-9-2. 지락차단장치 생략 가능한 경우36
3-9-3. 지락차단장치 등의 시설기준 적용방법37

※ 참고자료39
- 절연저항 기준
- 절연유 절연내력 및 산가도 시험기준
- 온도변화에 따른 판정기준(1)
- 온도변화에 따른 판정기준(2)
- 고압기기별 내용 연한 경과 교체기준

Ⅱ. 전기설비 계획

1. 부하의 추정 및 계획_44
1-1. 부하의 산정44
1-1-1. 사무용 빌딩 규모별 부하밀도[VA/㎡]44
1-1-2. 건물 용도별 부하밀도표[VA/㎡]44
1-1-3. 건물별 표준부하45
1-1-4. 건축물중 별도계산 할 표준부하45
1-1-5. 표준 부하에 따라 산출한 수치에 가산하여야 할VA 수45
1-1-6. 수구의 종류에 의한 예상부하45
1-1-7. 공동주택의 용량산정45
1-1-8. 판매시설의 용량 산정:LH공사기준46
1-2. 수용율46
1-2-1. 건축물의 수용율46
1-2-2. 건물의 종류별 전등 및 소형 전기기계기구부하 간선의 수용율47
1-2-3. 동력의 수용율47
1-3. 부등율47

2. SPACE 계획_48
2-1. 전기, 통신 관련 SPACE 계획48
2-2. EPS실 면적 산정48
2-3. 중앙감시실 면적 산정48
2-4. 구내통신실 계획49
2-4-1. 회선 수 확보 기준49
2-4-2. 구내통신실 면적 확보 기준49
2-5. 발전기실 계획50
2-5-1. 발전기실 크기 선정50
2-5-2. 발전기 부하의 용도별 수용율53
2-5-3. 발전기 출력특성 비교53
2-5-4. 디젤엔진과 가스터빈 엔진의 특성53

3. 초고속 정보통신 건물인증 심사기준 _ 54
3-1. 공동주택(아파트 - 1, 2등급)54
3-2. 공동주택(아파트 - 특등급)56
3-3. 공동주택(연립주택·다세대주택·기숙사·도시형생활주택 - 1, 2등급)58
3-4. 공동주택(연립주택·다세대주택·기숙사·도시형생활주택 - 특등급)59
3-5. 업무시설(1, 2등급)60
3-6. 업무시설(특등급)61
3-7. 오피스텔(1, 2등급)63
3-8. 오피스텔(특등급)64

Ⅲ. 전기설비 기술자료

1. 수변전설비 관련기기_66
1-1. 최대사용전압기준66
1-2. POWER FUSE66
1-2-1. FUSE의 정격66
1-2-2. 파워퓨즈의 정격 표준치67
1-2-3. 주변압기 파워퓨즈 선정67
1-2-4. 한류형 파워퓨즈의 정격전류 선정67
1-2-5. 변압기보호용 한류형 파워퓨즈 정격선정표68
1-2-6. 비한류형 파워퓨즈(방출형)의 정격전류 선정69
1-2-7. 변압기 특성70
1-2-8. 건식 변압기의 소음기준<NEMA 기준>71
1-3. MOF 및 CT 관련71
1-3-1. MOF(계기용변성기)71
1-3-2. CT(변류기)72
1-3-3. 22.9kV-y급 전류비별 과전류강도73
1-3-4. 22.9kV-y급 전류영역별 과전류강도73
1-3-5. 계기용 변류기의 정격전류73
1-3-6. VCB 2차측 CT선정74
1-3-7. 고압 및 특고압 차단기74
1-3-8. 차단기의 정격전류 및 차단시간75
1-3-9. 3φ TR 용량에 따른 CT, FUSE, MOF 선정표76
1-4. 모선 및 폐쇄배전반77
1-4-1. 모선 및 충전부 높이77
1-5. 피뢰기 시설규격 및 기준77
1-5-1. 피뢰기 설치 및 규격77
1-5-2. 피뢰기 시설기준78
1-5-3. 피뢰기와 변압기의 이격거리78
1-5-4. 피뢰기의 정격전압78
1-5-5. 피뢰기의 정격79
1-5-6. 설치장소별 피뢰기 공칭방전전류79
1-6. 서지흡수기의 적용79
1-7. 특고압 주요기기의 용량 산출(예)80
1-8. 특고압 기기의 일반특성81

2. 과전류차단기_83
2-1. 저압간선을 분기하는 경우의 과전류차단기 시설83
2-2. 간선 및 분기회로의 허용전류 및 과전류차단기84
2-3. 전등간선의 과전류차단기85
2-4. 전동기용 과전류차단기(3Φ 380[V] 1대)86
2-5. 저압차단기 특성87
2-6. 변압기 2차측 과전류차단기 정격전류 선정(예시)88
2-7. 온도상승 허용한도<차단기 부품>89

3. 전선의 허용전류_90
3-1. 전선의 규격90
3-1-1. IEC와 KS에서 규정하는 도체 공칭단면적 호환표90
3-1-2. IEC와 AWG 전선 규격 조견표91
3-2. 공사방법의 구분91
3-3. 절연물의 허용온도와 보정계수93
3-3-1. 절연물의 최대허용온도93
3-3-2. 기중전선 온도보정계수 93
3-3-3. 지중덕트 설치시 보정계수94
3-3-4. 케이블 집합 보정계수95
3-4. 전선의 허용전류96
3-4-1. 전선관 적용시 허용전류96
3-4-2. 통풍형 트레이 적용시 허용전류100
3-4-3. 사다리형 트레이 적용시 허용전류102
3-4-4. 허용전류 간략화104
3-4-5. FR-8 및 FR-3 케이블의 허용전류(CV, HIV)105
3-4-6. 모선용 동대의 허용전류105
3-4-7. BUS BAR 규격별 허용전류106
3-4-8. 동(銅) 환봉(COPPER ROD)의 허용전류106
3-4-9. 6,600[V] 가교폴리에틸렌 절연 비닐외장 케이블의 허용전류107
3-4-10. 플렉시블 부스바 허용전류표108
3-4-11. 지중배전선로(22.9kV-y CN-CV, 22kV CV)전선굵기109
3-4-12. 가공전선로 22.9 kV-y 전선굵기 109

4. 전선관의 굵기 선정_110
4-1. 전선의 단면적 및 절연체110
4-1-1. 단심 비닐 절연전선110
4-2. 금속전선관(후강)112
4-3. 2종 금속제 가요전선관114
4-4. 경질 비닐(PVC) 전선관115
4-5. 합성수지제 가요관 및 CD관116
4-6. CV, F-CV 케이블의 전선관117
4-7. F-FR-8 케이블의 전선관118
4-8. F-FR-3 케이블의 전선관119
4-9. 22.9kV-y 동심중성선형 CV케이블(CN-CV)의전선관 선정121
4-10. UTP 케이블의 금속관121
4-11. UTP 케이블의 합성수지관122
4-12. CPEV/UTP 케이블의 합성수지관(인입의 경우)123
4-13. 파상형 경질 폴리에틸렌 전선관(ELP)124
4-14. 고발포 및 ECX 케이블의 합성수지관124
4-15. CVV 케이블의 금속관125
4-16. CVV 케이블의 합성수지관126
4-17. 22,9kV-y CN-CV 케이블의 단면적127
4-18. UTP Cat. 5 케이블의 단면적127
4-19. UTP Cat. 3 케이블의 단면적128
4-20. 케이블 트레이 규격 선정128

5. 역률개선용 콘덴서_130
5-1. 콘덴서 부설 용량 기준(역률 90% 개선시)130
5-1-1. 단상 유도전동기130
5-1-2. 200[V]급, 380[V]급, 3상 유도전동기130
5-1-3. 고압전동기에 설치하는 콘덴서의 용량(95[%] 개선 기준)131
5-1-4. 기타 저압 전기기계기구의 경우131
5-2. kVA와 μF간의 환산표131
5-3. 콘덴서 회로의 전선 굵기132
5-4. 고압 3상 유도전동기의 전선 굵기 132

6. 조명설비_133
6-1. 조도기준(KS A-3011)133
6-2. 광원의 종류와 특징134
6-3. 조도계산140
6-4. 형광램프의 특성 비교148
6-5. 녹색 에너지 설계기준149
6-6. 건축물의 에너지절약 설계기준 개정150
6-6-1. 전기설비 의무사항 4번150
6-6-2. 전기설비 성능지표 11번150
6-7. 빛 공해 방지법157
6-7-1. 빛 공해의 정의157
6-7-2. 빛 공해 관리대상157
6-7-3. 빛 방사 허용기준157
6-7-4. 빛 공해 방지위원회 심의대상158

7. 부하설비의 입력환산_159
7-1. 저압기기의 입력환산율159
7-2. 전자식 안정기의 경우(고역률형)160
7-3. 수은 및 메탈 할라이드 램프용 안정기161
7-4. 고압 나트륨램프용 안정기161
7-5. 유도전동기의 입력환산162

8. 승강기 관련사항_163
8-1. 승강기 적용 수용율163
8-2. 승강기 가속전류의 기준163
8-3. 승강기 전압강하 계수164
8-4. TRUNK TYPE ELEVATOR의 LAY OUT164

9. 신·재생에너지 활용_164
9-1. 신·재생에너지 보급지원제도164
9-2. 신·재생에너지 보조금 지원제도168
9-3. 발전차액 지원제도168
9-4. 기준가격 내역(지경부 고시 제2009-96호)169
9-5. 태양광발전설비 건설 허가 철차170
9-6. 태양광발전설비 시공 업무 FLOW171
9-7. 감리(시공) 업무 FLOW172
9-8. 풍력설비 업무흐름도173
9-9.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인증 규정174
9-10. 태양광(결정질) 모듈 제조사 비교표175
9-11. 계통연계형 인버터 비교표(국내)178
9-12. 에너지저장시스템 예(ESS)179

10. 교통신호기 시설기준_180

11. 한전 전기공급 약관_188
11-1 계절별 시간대 구분 188
11-2 표준시설 부담금 단가표188
11-3 적정 전선 환산표 189

Ⅳ. 전기안전 관리업무

1. 정전(휴전)작업_192
1-1. 정전작업의 기본192
1-2. 정전작업의 사전준비193
1-3. 정전작업시의 안전관리194

2. 절연유의 산가도 측정_196
2-1. 절연유의 산가도196
2-2. 산가도 측정순서196
2-3. 절연유 산가도 판정기준196

3. 변압기 점검항목_197
3-1. 건식변압기 일상 순시점검 항목197
3-2. 건식변압기의 정기점검 항목197
3-3. 유입변압기 일상 순시점검 항목197
3-4. 유입변압기 정기점검 항목198
3-5. 몰드변압기 무전압 탭 절환 방법198

4. 차단기 점검사항_201
4-1. 일상점검201
4-2. 정기점검201

5. 진공차단기 점검표_203
5-1. 이상 발생 시 조치204

6. 전동기의 고장과 대책_205

7. 발전기 고장의 원인과 대책_205

8. 콘덴서 점검내용 및 조치사항_207

9. 저압전기설비_208
9-1. 배 . 분전반 208
9-2. 배 선208
9-3. 배선용차단기(MCCB)208
9-4. 누전차단기(ELB)209
9-5. 전자개폐기(MG S/W)209
9-6. 전동기(MOTOR)210
9-7. 콘덴서210

10. 예비전원설비_210
10-1. 예비발전기210
10-2. 예비발전기 가동시 감전대책210

V. 참고자료_211
1. 전기기기 외함 보호등급 211
2. 변전설비 단선결선도 전기용어 215
3. 전기기기용 약호 216
4. 자동제어 기구번호 220

저자소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