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기초의학 > 병리학
· ISBN : 9788973866991
· 쪽수 : 611쪽
· 출판일 : 2017-08-01
목차
제1장 병리학 서론/03
제1절 병리학 개요 04
제2절 질병의 개요 05
1. 질병의 원인과 항상성 05
2. 질병에 대한 개인 차이와 반응 06
제3절 병리학의 유래 08
1. 원시 사회 08
2. 고대 사회 08
3. 중세 사회 08
4. 근현대 사회 09
제4절 병리학의 분류 10
1. 해부병리학 11
2. 임상병리학 12
3. 세포병리학 12
제2장 세포, 조직손상과 적응/15
제1절 세포의 구조와 기능 16
제2절 조직의 종류와 기능 18
1. 상피조직 19
2. 결합조직 20
3. 근육조직 20
4. 신경조직 20
제3절 세포 손상인자 20
1. 저산소증 22
2. 화학물질과 약물 22
3. 물리적 인자 23
4. 감염성 인자 23
5. 면역 또는 염증반응 23
6. 유전적 장애 23
7. 영양 불균형 23
제4절 세포 손상의 종류 24
1. 가역적 손상 24
2. 비가역적 손상 25
3. 세포 사멸 28
4. 세포적응 31
5. 기타 변화 36
제3장 혈액 및 체액순환장애/39
제1절 국소적 순환장애 40
1. 충혈과 울혈 40
2. 곁순환(측부순환) 41
3. 출혈 42
4. 혈전증 46
5. 파종혈관내응고 48
6. 허혈과 경색 51
제2절 전신적 순환장애 53
1. 부종 53
2. 쇼크 56
3. 고혈압 60
제4장 염증과 재생 및 수복/63
제1절 염증의 개요와 징후 64
제2절 염증의 원인과 증상 65
1. 염증 유발기전 65
2. 염증 관여 세포 68
3. 염증유발인자 70
4. 염증에 의한 증상 74
제3절 염증의 분류와 형태학적 양상 74
1. 급성염증 74
2. 만성염증 77
3. 염증의 특수한 형태 81
제4절 재생과 수복 83
1. 재생 83
2. 수복 85
3. 화생 85
제5절 상처치유와 육아조직 85
1. 상처치유 86
2. 상처치유 기전 88
3. 상처치유 이상 89
제5장 면역계 질환/91
제1절 면역의 개요 92
제2절 면역계의 구성 94
1. 면역 관련 세포의 종류와 기능 94
2. 면역계 보조인자 98
제3절 면역반응 100
1. 과민반응(알레르기) 100
2. 이식거부반응 106
3. 자가면역질환 108
제4절 면역결핍증 110
1. 일차(원발)면역결핍증 110
2. 후천면역결핍증후군 111
3. 만성질환이나 약물요법에 따르는 면역결핍 112
4. 연령증가에 의한 면역결핍 113
제6장 감염병/117
제1절 감염원의 분류와 특징 118
1. 프리온 119
2. 바이러스 120
3. 세균 121
4. 클라미디아, 리케차, 미코플라스마 121
5. 곰팡이균(진균) 122
6. 기생충류 123
제2절 감염경로 및 잠복기간 123
1. 감염경로 123
2. 잠복기간 125
제3절 병원균의 전파 125
1. 병원균의 숙주 내 전파 125
2. 병원균의 숙주 외 전파 126
제4절 병원균의 감염 유발기전 127
1. 박테리아에 의한 감염 127
2. 바이러스감염 128
제5절 감염에 대한 방어기전과 반응 129
제6절 감염의 다양한 현태 130
1. 균주들의 숙주 면역회피 130
2. 기회감염 130
3. 항균화학요법, 내성균, 균교대현상 130
4. 감염병의 호발균 및 균혈증 132
제7절 감염질환 132
1. 박테리아질환 132
2. 바이러스질환 138
3. 곰팡이균 질환 141
4. 원충감염 질환 142
5. 윤충감염 질환 144
제8절 예방과 병원내감염 대책 148
제7장 유전질환 및 선천이상/151
제1절 유전이상 152
1. 정상 핵형 152
2. 돌연변이 153
제2절 세포유전병 153
1. 염색체 수의 이상 153
2. 염색체 구조의 이상 154
제3절 세포유전적 질환 155
1. 상염색체를 침범하는 세포유전적 질환 155
2. 성염색체를 침범하는 세포유전적 질환 156
제4절 유전적 질병의 원인 157
1. 선천 원인과 질환 157
2. 유전과 환경의 상호작용으로 발생하는 선천이상 160
제5절 유전병의 진단 164
제8장 종양(신생물)/165
제1절 종양의 분류와 명명 166
1. 양성종양 167
2. 악성종양 168
3. 혼합종양 169
4. 기타 종양 169
제2절 종양의 발생요인 170
1. 지리적 및 인종적 요인 170
2. 환경 및 습관 170
3. 연령, 유전성 또는 후천적 전암질환 170
제3절 잠재적 발암인자 171
1. 화학적 발암인자 172
2. 물리적 발암인자 173
3. 바이러스 또는 세균성 발암인자 173
제4절 종양의 발생기전 175
1. 분자생물학적 발암기전 175
제5절 종양의 형태학적 양상 178
1. 육안적 형태 178
2. 조직학적 형태 179
제6절 양성종양과 악성종양의 구분 179
1. 종양의 성장속도 179
2. 종양의 성장양상 180
3. 종양의 분화 및 역형성 180
제7절 종양의 전이 181
1. 혈행전이 182
2. 림프전이 182
3. 체강내성(파종성) 전이 183
제8절 종양과 숙주의 상호작용 183
1. 종양이 숙주에 미치는 영향 183
2. 숙주의 종양에 대한 작용 185
제9절 종양의 진단 186
1. 세포학적 검사 186
2. 조직학적 검사 186
3. 기타 검사 187
제9장 대사이상과 중증질환 및 환경 병리/189
제1절 대사질환 분류 190
1. 당질 대사이상 190
2. 단백질 대사이상 193
3. 지질 대사이상 194
4. 핵산 대사이상 197
제2절 비만과 대사증후군 198
1. 비만 198
2. 대사증후군 200
제3절 중증 질환 200
1. 3대 사망원인 질환 200
2. 생명의 위기를 초래하는 손상 201
3. 특수한 중증 질환 201
4. 활력징후와 그 변화 202
5. 쇼크의 임상증상과 대응방침 203
6. 죽음의 징후 203
제4절 환경질환의 분류 204
1. 대기오염 질환 205
2. 수질오염 질환 208
3. 화학적 손상 질환 208
4. 물리적 손상 질환 211
제10장 노화질환과 신생아질환/215
제1절 노화의 가설 216
1. 소모설 216
2. 유전자설 217
제2절 노화와 장기의 형태학적 변화 219
1. 노화와 신경계(뇌) 220
2. 노화와 호흡기계(폐) 220
3. 노화와 심혈관계(심장) 221
4. 노화와 비뇨기계(신장) 221
5. 노화와 생식기계 221
6. 노화와 근골격계 222
7. 노화와 감각기계 223
8. 노화와 면역계 223
9. 노화와 피부계 223
10. 노화와 소화기계 223
제3절 노화관련 노인질환 224
제4절 신생아질환과 진단 225
1. 폐의 발육 226
2. 뇌의 발육 228
3. 신생아 감염병 229
제5절 출생전 진단 231
제11장 순환기계/235
제1절 심장의 구조와 기능 236
1. 심장질환 238
2. 고혈압성 심장질환 242
3. 심장속막염과 심장판막증 242
4. 심근질환 246
5. 심부전 249
6. 선천심장질환 251
7. 심낭질환 254
8. 종양 심장질환 255
제2절 혈관의 구조와 기능 256
1. 동맥경화증 257
2. 고혈압 260
3. 동맥류 260
4. 혈관염 262
5. 정맥류 및 정맥혈전 264
6. 혈관종양 264
제12장 호흡기계/267
제1절 호흡기의 구조와 기능 268
제2절 호흡기계 질환 270
1. 상기도: 비강, 부비동 및 비인두 270
2. 폐질환 271
3. 흉막 292
제13장 소화기계/297
제1절 구강·치아계통의 구조와 기능 298
1. 구강·치아의 구조와 기능 298
제2절 구강·치아계통 질환 299
1. 발육이상 299
2. 치아우식증 및 치주질환 300
3. 치수염 300
4. 치주질환 301
5. 구강점막의 질환 301
6. 각화병터 302
7. 종양병터 303
8. 치근단병터 304
9. 턱뼈낭 304
10. 종양성 구강·치아질환 304
11. 침샘질환 305
제3절 소화기의 구조와 기능 307
1. 식도질환 308
2. 위질환 312
3. 간질환 324
4. 담관계 질환 339
5. 췌장질환 341
6. 장질환 345
제14장 내분비계/359
제1절 내분비기관의 구조와 기능 360
제2절 내분비계 질환 362
1. 뇌하수체(하수체) 362
2. 갑상샘 364
3. 부갑상샘 371
4. 부신 374
5. 내분비계 췌장 380
6. 가슴샘 383
제15장 조혈계 및 림프계/385
제1절 조혈계의 구조와 기능 386
제2절 조혈계질환 388
1. 적혈구질환 388
2. 적혈구증가증 395
3. 혈소판질환 출혈장애-출혈소인 396
4. 백혈구질환 398
5. 형질세포질환 및 관련 질환 403
6. 조직구증 405
제3절 림프계의 구조와 기능 407
제4절 림프계 질환 408
1. 림프절질환 검사 408
2. 림프절 증식양상 409
3. 염증성 및 증식질환 409
제5절 비장의 구조와 기능 419
제6절 비장질환 419
1. 비장비대 419
2. 종양성 비장질환 421
3. 비장파열 422
제16장 비뇨기계/423
제1절 신장·요로의 구조와 기능 424
제2절 신장·요로질환 426
1. 신장질환의 양상 426
2. 선천성 신장기형 427
3. 낭성신장질환 427
4. 사구체질환(토리질환) 428
5. 세뇨관질환(신세관 및 사이질질환) 436
6. 신혈관질환 438
7. 요로폐쇄 440
8. 요관질환 444
9. 방광질환 445
10. 요도질환 446
제17장 생식계/449
제1절 남성생식기 구조와 기능 450
제2절 남성생식기 질환 450
1. 음경질환 450
2. 고환 및 부고환질환 452
3. 전립샘 질환 458
4. 남성 유방질환 461
제3절 여성생식기 구조와 기능 462
제4절 여성생식기 질환 463
1. 여성생식기의 감염질환 463
2. 외음 질환 464
3. 질 질환 466
4. 자궁경부 질환 467
5. 자궁체부와 자궁내막의 질환 472
6. 자궁관 질환 476
7. 난소 질환 476
8. 태반 및 임신 482
9. 임신영양막세포질환 484
10. 유방질환 487
제18장 신경계/495
제1절 뇌·신경계 구조와 기능 496
제2절 중추신경계 질환 498
1. 머리속압력 상승 관련 질환 및 뇌탈출 498
2. 뇌부종 499
3. 수두증 500
4. 뇌혈관질환 500
5. 중추신경계의 선천기형 506
6. 영양 및 대사장애질환 507
7. 말이집탈락질환 507
8. 퇴행질환 508
9. 감염질환 512
10. 외상 516
11. 중추신경계 종양 517
제3절 말초신경계 질환 522
1. 말초신경병증 523
제19장 근골격계/527
제1절 근육의 구조와 기능 528
제2절 근육질환 529
1. 근육질환검사 529
2. 근위축증 530
3. 근육염 530
4. 근육종양 530
5. 연부조직 종양 531
제3절 뼈의 구조와 기능 534
제4절 뼈질환 536
1. 골절 536
2. 골괴사 536
3. 골염증 537
4. 대사골질환 538
5. 뼈의 종양 541
제5절 관절의 구조와 기능 548
제6절 관절질환 549
1. 관절탈구 549
2. 관절운동의 이상 549
3. 관절 변성, 화생 550
4. 관절염 550
5. 관절 종양 553
6. 척추·척수질환 553
제20장 특수감각기관 및 피부질환/555
제1절 시각기관의 구조와 기능 556
제2절 시각기관 질환 556
1. 눈꺼풀질환 556
2. 결막염 556
3. 각막염 557
4. 포도막질환 557
5. 백내장 558
6. 녹내장 558
7. 망막질환 559
8. 종양성 시각질환 559
제3절 청각기관의 구조와 기능 560
제4절 청각기관 질환 561
1. 외이염 561
2. 중이염(가운데귀염) 561
3. 내이염 562
4. 순환장애 및 변성질환 562
제5절 기도의 구조와 기능 563
제6절 기도질환 564
1. 코안, 코곁굴, 코인두의 염증질환 564
2. 종양 565
3. 후두의 염증질환 565
4. 후두종양 및 종양모양 병변 565
제7절 피부의 구조와 기능 566
제8절 피부질환 567
1. 원발·속발병터 567
2. 습진피부질환 569
3. 감염피부질환 571
4. 물집질환(수포성질환) 572
5. 여드름 573
6. 구진 인설질환 574
7. 지방층염 575
8. 양성표피종양 576
9. 표피의 전암병터 및 암종 577
10. 피부부속기 종양 579
11. 진피종양 579
12. 색소장애 579
찾아보기/5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