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한문/한자
· ISBN : 9788974189662
· 쪽수 : 484쪽
· 출판일 : 2010-08-20
목차
감수의 글
개정증보판을 펴내며
I. 한자의 유래와 변천
1. 한자의 유래
2. 한자의 변천
1) 갑골문자
2) 과두문자
3) 대전(大篆)
4) 소전(小篆)
5) 예서(隸書)
6) 해서(楷書)
7) 행서(行書 : 반흘림체)
8) 초서(草書 : 흘림체)
3. 한자의 3요소
4. 부수(部首)와 필순(筆順)
1) 부수(部首)
2) 필순(筆順)
II. 한자의 특성
1. 문(文)과 자(字)의 정의(定義)
2. 육서(六書)
1) 제자원리(製字原理 : 造字法과 用字法)
2) 육서(六書)의 응용
3. 한자어(漢字語)의 특성
1) 이음동의어(異音同義語)와 異字同音語)가 있다
2) 한 글자에 하나 이상의 음과 뜻이 있다
3) 글자 활용이 다양하다
4) 글자마다 성조(聲調)가 있다
5) 문자에 신비한 힘이 서려있다
III. 한자어의 구조
1. 한자어의 분류
1) 단순어(單純語)
2) 파생어(派生語)
3) 합성어(合成語)
2. 한자어의 품사(品詞)
1) 명사(名詞)
2) 대명사(代名詞)
3) 동사(動詞)
4) 형용사(形容詞)
5) 부사(副詞)
6) 접속사(接續詞)
7) 개사(介詞)
8) 종결사(終結詞)
9) 감탄사(感歎詞)
IV. 한문장의 구조와 형식
1. 한문장의 구조
1) 단문(單文)
2) 복합문(複合文)
2. 한문장의 형식
1) 평서형(平敍形 : 敍述文)
2) 부정형(不定形)
3) 금지형(禁止形 : 命令文)
4) 의문형(疑問形)
5) 반어형(反語形)
6) 사역형(使役形)
7) 피동형(被動形)
8) 가정형(假定形)
9) 비교형(比較形)
10) 감탄형(感歎形)
3. 한문장의 수사법
1) 대구법(對句法)
2) 연쇄법(連鎖法)
3) 점층법(漸層法)과 점강법(漸降法)
4) 중첩법(重疊法)
5) 쌍관법(雙關法)
V. 한문장의 해석법
1. 제 1 문장(서론)
1) 문장의 구조
2) 구조분석
3) 어순
4) 축자역
2. 제 2 문장(본론-1)
1) 문장의 구조
2) 구조분석
3) 어순
4) 축자역
3. 제 3 문장(본론-2)
1) 문장의 구조
2) 구조분석
3) 어순
4) 축자역
4. 제 4 문장(본론-3)
1) 문장의 구조
2) 구조분석
3) 어순
4) 축자역
5. 제 5 문장(본론-4)
1) 문장의 구조
2) 구조분석
3) 어순
4) 축자역
6. 제 6 문장(본론-5)
1) 문장의 구조
2) 구조분석
3) 어순
4) 축자역
7. 제 7 문장(결론-1)
1) 문장의 구조
2) 구조분석
3) 어순
4) 축자역
8. 제 8 문장(결론-終)
1) 문장의 구조
2) 구조분석
3) 어순
4) 축자역
VI. 한시(漢詩)의 이해
1. 한시(漢詩)의 갈래
1) 고체시(古體詩)
2) 근체시(近體詩)
2. 한시(漢詩)의 구성
1) 시상(詩想)의 전개방법
2) 시구(詩句)의 구조
3) 한시의 압운법(押韻法)
4) 한시의 평측법(平仄法)
3. 한시의 감상
1) 고체시
2) 근체시
VII. 허사의 이해
1) ‘可’의 용법 2) ‘假’의 용법
3) ‘却’의 용법 4) ‘蓋’의 용법
5) ‘固’의 용법 6) ‘故’의 용법
7) ‘苟’의 용법 8) ‘今’의 용법
9) ‘及’의 용법 10) ‘旣’의 용법
11) ‘豈’의 용법 12) ‘幾’의 용법
13) ‘乃’의 용법 14) ‘奈何’의 용법
15) ‘寧’의 용법 16) ‘能’의 용법
17) ‘但’의 용법 18) ‘當’의 용법
19) ‘徒’의 용법 20) ‘獨’의 용법
21) ‘得’의 용법 22) ‘等’의 용법
23) ‘令’의 용법 24) ‘莫’의 용법
25) ‘毋’의 용법 26) ‘無(无)’의 용법
27) ‘勿’의 용법 28) ‘未’의 용법
29) ‘方’의 용법 30) ‘凡’의 용법
31) ‘便(변?편)’의 용법 32) ‘復(부?복)’의 용법
33) ‘夫’의 용법 34) ‘否’의 용법
35) ‘不(부?불)’의 용법 36) ‘弗’의 용법
37) ‘非’의 용법 38) ‘匪’의 용법
39) ‘使’의 용법 40) ‘斯’의 용법
41) ‘數(삭?수)’의 용법 42) ‘嘗’의 용법
43) ‘尙’의 용법 44) ‘常’의 용법
45) ‘所’의 용법 46) ‘誰’의 용법
47) ‘雖’의 용법 48) ‘須’의 용법
49) ‘遂’의 용법 50) ‘孰’의 용법
51) ‘始’의 용법 52) ‘是’의 용법
53) ‘甚’의 용법 54) ‘安’의 용법
55) ‘也’의 용법 56) ‘耶(邪)’의 용법
57) ‘若’의 용법 58) ‘於’의 용법
59) ‘抑’의 용법 60) ‘焉’의 용법
61) ‘與’의 용법 62) ‘予(余)’의 용법
63) ‘汝(女)’의 용법 64) ‘如’의 용법
65) ‘亦’의 용법 66) ‘然’의 용법
67) ‘惡(오?악)’의 용법 68) ‘于’의 용법
69) ‘又’의 용법 70) ‘爲’의 용법
71) ‘唯 ? 惟 ? 維’의 용법 72) ‘猶’의 용법
73) ‘由’의 용법 74) ‘有’의 용법
75) ‘宜’의 용법 76) ‘矣’의 용법
77) ‘以’의 용법 78) ‘而’의 용법
79) ‘已’의 용법 80) ‘耳’의 용법
81) ‘爾’의 용법 82) ‘玆’의 용법
83) ‘者’의 용법 84) ‘自’의 용법
85) ‘將’의 용법 86) ‘哉’의 용법
87) ‘諸(저?제)’의 용법 88) ‘足’의 용법
89) ‘終’의 용법 90) ‘從’의 용법
91) ‘縱’의 용법 92) ‘卽’의 용법
93) ‘則(즉?칙)’의 용법 94) '曾‘의 용법
95) ‘之’의 용법 96) ‘至’의 용법
97) ‘只’의 용법 98) ‘直’의 용법
99) ‘且’의 용법 100) ‘此’의 용법
101) ‘頗’의 용법 102) ‘被’의 용법
103) ‘必’의 용법 104) ‘何’의 용법
105) ‘?(闔)’의 용법 106) ‘奚’의 용법
107) ‘兮’의 용법 108) ‘乎’의 용법
109) ‘或’의 용법 110) ‘況’의 용법
111) ‘噫 ? ? ? ?’의 용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