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선교/전도
· ISBN : 9788974193492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16-05-13
책 소개
목차
ChapterⅠ. 들어가는 말
ChapterⅡ. 조선에서 시작된 전도행전의 배경
1. 19세기 후반의 웨슬리안 성결운동의 전도 정신
2. 19세기 후반의 미국의 복음주의 운동의 전도 정신
3. 만국성결연맹의 전도 정신
1) 만국성결연맹의 창립자들이 가지고 있던 전도 정신
2) 만국성결연맹의 창립목적과 활동에 나타난 전도 정신
4. 동양선교회가 가지고 있던 전도 정신
1) 동양선교회의 창립자들이 가지고 있던 전도 정신
2) 동양선교회의 창립 목적과 활동에 나타난 전도 정신
ChapterⅢ. 전도행전의 실제적 모습들
1. 복음전도관 시대에 펼쳐진 전도행전
1) 초기 복음전도관의 전도(1907-1910년)
2) 후기 복음전도관의 전도(1911-1921년)
3) 복음전도관 시대 전도의 특징
2. 성결교회 시대에 펼쳐진 전도행전
1) 지방(순회) 전도대를 통한 전도
2) 시장전도대를 통한 전도
3) 장막전도대를 통한 전도
4) 이성봉 목사의 부흥회를 통한 전도
5) 성결교회 시대의 전도의 특징
3. 경성성서학원을 통해 펼쳐진 전도행전
1) 경성성서학원의 전도 지향적인 모습
2) 전도의 실제적인 모습들
3) 경성서서학원의 전도 특징
4. 전도부인을 통해 펼쳐진 전도행전
1) 초기 성결교회 전도 활동에 있어서 전도부인의 중요성
2) 전도부인의 구체적인 전도
3) 전도부인의 전도 특징
ChapterⅣ. 전도행전의 구조적 틀이 되었던 전도방법들
1. 직접 전도 방법
1) 개인전도
2) 대중전도
2. 간접 전도 방법
1) 시청각을 통한 전도
2) 문서를 통한 전도
ChapterⅤ. 전도행전의 열매인 회심자들의 유형분석
1. 회심의 과정을 중심으로 한 회심자 유형 분석
1) 위기 혹은 돌변의 회심
2) 점진적인 회심
3) 재통합의 회심
4) 계획된 회심
2. 회심이 가져다주는 효과에 따른 회심자 유형
1) 변화(tranmformation)의 유형
2) 변경(alternative)의 유형
3) 격변(pendulumlike)의 유형
3. 회심의 유형을 통해 나타난 회심의 동기
1) 신유의 경험을 통한 회심
2) 축귀(逐鬼)를 통한 회심
3) 여성들이 가지고 있던 가정 문제 해결을 통한 회심
4) 절망을 통한 회심
5) 부흥회(집회)를 통한 회심
6) 절대자 추구를 통한 회심
7) 기타 다른 동기를 통한 회심
ChapterⅥ. 전도행전의 동력이 되었던 전도교육
1. 전도의 의미와 중요성에 관한 교육
1) 전도의 의미에 대한 교육
2) 전도의 중요성에 대한 교육
2. 전도의 이유와 동기에 대한 교육
1) 전도의 이유에 대한 교육
2) 전도의 동기에 대한 교육
3. 전도 방법과 성령이 하시는 역할의 중요함에 관한 교육
1) 전도 방법에 관한 교육
2) 성령이 하시는 역할의 중요함에 관한 교육
4. 전도자와 효율적인 전도에 관한 교육
1) 전도자에 대한 교육
2) 효율적인 전도에 대한 교육
ChapterⅦ. 글을 마치면서
각주·참고문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