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고등학교참고서 > 수능대비 > 기타영역
· ISBN : 9788974641160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15-08-25
책 소개
목차
서언 5
베트남어 어음체계 및 베트남어 문자표 6
Bai 1 |
Bai 2 |
Bai 3 |
Bai 4 |
Bai 5 |
Bai 6 |
Bai 7 |
Bai 8 |
Bai 9 |
Bai 10 |
Bai 11 |
Bai 12 |
Bai 13 |
Bai 14 |
Bai 15 |
Bai 16 |
Bai 17 |
Bai 18 |
Bai 19 |
Bai 20 |
단원평가 정답 및 해설 223
책속에서
머리말
한국외국어대학교에 베트남어과가 세워진 지가 내후년이면 50년이 된다. 1975년에 베트남
이 공산화 통일이 되면서 더 이상 베트남어를 쓸 기회가 없어졌다고 세차게 폐과를 주장했던 때가 엊그제 같은데, 베트남어는 2014학년도 대학수능부터 제2외국어 과목이 될 정도로 위상이 높아졌다. 이는 1987년 베트남의 개방 이후 지금까지 우리와 베트남의 관계가 넓고 깊어지는 가운데 국내의 베트남어 수요가 많아졌기 때문이다.
우리의 베트남 투자는 지금까지의 누계나 2014년 한 해의 통계를 보더라도 2-3위이다. 심지어 2014년 우리의 무역흑자 중 30% 이상이 베트남에서 비롯됐다. 이뿐만이 아니라, 우리의 베트남 투자 기업 중 삼성이 베트남에서 생산하는 상품은 베트남 GDP의 20%을 점했다. 그 동안 양국간 인적 교류도 날로 증가하여 베트남에서 활동하는 한국인과 기업은 각각 10만 명과 3,000개가 넘었다.
시장의 수요를 맞추기 위하여, 베트남어 교육은 베트남어과가 있는 기존의 2, 3개 대학뿐만 아니라 다수 대학에서 교양외국어과목으로 진행되고 있고, 이외에도 베트남어과의 유무에 상관 없이 대학의 부설기관, TV 교육방송, 사설 학원 등에서도 이뤄지고 있다. 국내의 베트남 유학생들 사이에 전해지는 “베트남인의 한국인에 대한 베트남어 교육이 최고의 아르바이트 자리다”라는 말도 베트남어 인기를 반영한다고 하겠다. 이는 한국외대 베트남어과 학생들에게도 예외는 아니다. 대학 수험생 중 베트남어를 제2외국어로 신청하는 수가 매년 수만 명인 것에 비하여, 이를 교육할 수 있는 기관이 극히 제한된 관계로 베트남어과 학생들의 베트남어 알바가 각광을 받기 때문이다. 우리 정부도 베트남어 교육의 내실화를 위하여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 베트남어를 가르치게 하였다. 4년전 충남외국어고등학교의 베트남어과 설립은 그 일환 중 하나이다.
하지만, 아직 국내에는 갑자기 높아진 시장의 베트남어 수요를 충족시켜 줄 인프라가 크게 부족하다. 첫째는 베트남어를 제대로 교육할 수 있는 강사진의 부족이다. 둘째는 베트남어 교육을 위한 다양하고 체계화된 교재의 부족이다. 이 때문에 베트남어를 학습하려는 수많은 대학 입시생과 일반인들의 고충은 크지 않을 수 없다.
이 책은 학교 등의 정규과정에서 베트남어 교육을 받을 수 없는 수많은 베트남어 수험생과 학습자들의 고충을 조금이나마 덜어주려는 목적에서 집필되었다. 이 책의 저자들은 다년간 대학에서 베트남어 교육뿐만 아니라 베트남학 교육에도 몸담고 있는 교수들로 구성되었다. 이외에도 본서의 저자들은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베트남어 교과서 집필은 물론, 국내에서 실시된 각종 베트남어 시험을 출제한 경험들도 있다. 따라서 이 책은 작금의 베트남어 학습자와 수험생들의 절박한 욕구를 상당히 충족시켜 줄 것으로 기대된다.
본서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베트남어 학습자가 꼭 알아야 할 베트남어 어음체계 및 베트남어 문자표이다. 둘째, 20개 과로 구성된 본문과 본문의 이해를 위한 문법과 어휘 등을 설명한 해설이다. 셋째, 학습자의 본문 이해를 알아보는 단원평가이다. 넷째, 학습자가 반드시 알았으면 하는 베트남의 일반적 문화이다. 다섯째, 학습자의 단원평가가 옳은가 그른가를 확인할 수 있는 정답 및 해설이다. 여섯째, 부록이다. 학습자의 각종 시험 준비를 돕기 위해 어휘, 문법, 독해, 문화 문제로 구성된 30문항과 30문항에 대한 정답 및 구체적 해설이다. 본서의 출간과 관련하여 저자들이 학습자들에게 당부하는 바는, 본서를 하나의 시각으로 만 보지 말라는 점이다. 본서가 수많은 이들의 다양한 요구를 다양한 차원에서 가치 있게 만족시킬 수 있도록 이용되기를 바랄뿐이다.
본서의 출판을 기꺼이 허락해준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원에 고마움을 표한다. 부족한 부분은 학습자의 비평과 충고를 수렴하여 차후에 보완할 예정이다.
2015년 6월
저자 일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