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국제정치학
· ISBN : 9788974643256
· 쪽수 : 318쪽
· 출판일 : 2004-10-29
목차
서론 : 동유럽의 민주화 : 이행의 역동성과 확산
제1장 한국에서의 동유럽 민주화 연구의 현황과 전망 : <한국정치학회보>와 <국제정치논총>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1. <한국정치학회보>와 <국제정치논총>을 통해 본 한국에서의 동유럽 연구
2. <한국정치학회보>에 게재된 동유럽 민주화 연구논문에 대한 분석
3. <국제정치논총>에 게재된 동유럽 민주화 연구논문에 대한 분석
4. 주요 학술지에 게재된 동유럽 민주화 연구논문에 대한 비교분석
5. 개선된 동유럽 연구를 위한 제안
제2장 동유럽의 민주화 : 비자유민주주의의 확산?
1. 제3의 물결과 공산체제의 붕괴
2. 동유럽의 정치변동 과정
3. 동유럽 민주화와 비자유주민주주의의 확산
4. 평가와 함의
제3장 동유럽 탈공산주의체제의 사회적 자본과 민주주의
1. 사회적 자본, 경제발전 그리고 민주주의
2. 사회적 자본에 대한 이론적 논의
3. 동유럽의 민주화와 사회적 자본
4. 동유럽 사회적 자본의 민주주의에 대한 함의
제4장 체코슬로바키아의 민주화와 선거정치 : 프라하의 봄부터 벨벳혁명까지 이행의 동학을 중심으로
1. 체코슬로바키아의 탈공산화와 민주화
2. 프라하의 봄과 좌절된 민주화
3. 벨벳혁명과 민주화
4. 분리, 독립 이후의 정치지형과 과제
제5장 폴란드, 헝가리, 체코의 체제이행에 관한 연구 : 소유권 변화와 유럽연합의 가입과정을 중심으로
1. 소련의 붕괴와 동유럽의 체제이행
2. 선행 연구의 평가와 분석틀
3. 소유권 변화 유형과 양상
4. 유럽통합의 심화와 확대의 효과
5. 동유럽 체제이행의 의미와 한계
제6장 유럽연합의 확장과 동유럽 시민사회의 변화
1. 유럽연합의 확장과 시민사회
2. 동유럽 시민사회의 성숙도
3. 이익대표 체계의 변화와 수용
4. 노사관계의 변화
5. 소수자 인권 보호
6. 동유럽 시민사회 성숙을 위한 제언
제7장 시민사회와 민주화 : 동유럽 사례에 관한 연구
1. 시민사회와 정치변동
2. 시민사회와 동유럽 공산주의
3. 동유럽의 시민사회와 민주주의
4. 동유럽의 시민사회와 정치적 민주화에 대하여
제8장 동유럽 3개국의 민주화 수준과 부패 현상 : 폴란드, 헝가리, 체코를 중심으로
1. 탈공산주의 체제이행
2. 민주주의와 부패
3. 동유럽 3개국의 민주화 수준과 부패 정도
4. 동유럽 3개국의 부패현상과 반부패 정책
5. 동유럽 3개국의 실질적 민주주의 확립에 대한 전망
제9장 폴란드 민주화 과정 연구 : 제4의 물결인가?
1. 탈공산주의 국가와 민주화
2. 이행과 전환 : 제3의 물결론과 제4의 물결론
3. 폴란드의 민주화
4. 제3의 물결론의 사회과학적 유용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