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글로벌 공공외교 기관과 활동

글로벌 공공외교 기관과 활동

이상환, 권재범, 김현규, 서인원, 조용성, 박광기, 강유덕, 김효정, 박재적, Feta Simon (지은이)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지식출판원(HUINE)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3,750원 -5% 0원
1,250원
22,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글로벌 공공외교 기관과 활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글로벌 공공외교 기관과 활동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국제정치학
· ISBN : 9791159018954
· 쪽수 : 388쪽
· 출판일 : 2022-04-11

책 소개

세계 주요국의 공공외교 기관과 그 활동을 살펴보며 우리가 벤치마킹할 점이 무엇이 있는지를 찾아내는 교재다. 연구 대상으로서 한반도 주변 4대 강국과 공공외교의 역사적 경험이 많은 유럽의 영국, 프랑스, 독일, 그리고 중견국 호주 등을 살펴보고 있다.

목차

서문 5
I부. 글로벌 공공외교 기관의 현황과 역할 10
II부. 세계 주요국의 공공외교 기관과 활동 46

제1장. 미국의 공공외교 기관과 활동 48
제2장. 중국의 공공외교 기관과 활동 82
제3장. 일본의 공공외교 기관과 활동 116
제4장. 러시아의 공공외교 기관과 활동 146
제5장. 독일의 공공외교 기관과 활동 176
제6장. 프랑스의 공공외교 기관과 활동 206
제7장. 영국의 공공외교 기관과 활동 240
제8장. 호주의 공공외교 기관과 활동 268
III부. 한국의 공공외교 기관과 활동 292
IV부. 한국의 공공외교 개선을 위한 제언 326

참고문헌 366
저자 소개 384

저자소개

이상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학력사항 미시간주립대학교(Michigan State University) 정치학박사(Ph.D.) 미시간주립대학교(Michigan State University) 정치학석사(M.A.)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치학사(B.A.) 일반 경력사항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외교부 정책자문위원 교육부(한국연구재단) 대학혁신통합사업관리위원 Korean Journal of International Studies 편집장(Editor-in-Chief) (역임)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치행정언론대학원장/연구산학협력단장/학생복지처장/글로벌정치연구소장/외무고시반 지도교수 등 미시간주립대학교 아시아연구센터 풀브라이트방문학자(Fulbright Visiting Scholar) 한국연구재단 정치학분야 RB 한국국제교류재단 글로벌시티즌십 프로그램 사업 주관교수 한국국제교류재단 공공외교역량강화대학 사업 주관교수 제24회 세계모의유엔대회(Harvard-HUFS WorldMUN) 주관교수 제17회 전국대학생모의유엔대회(한국외대) 주관교수 대통령 외교안보자문위원 청와대 국가안보실 정책자문위원 통일부 정책자문위원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국민권익위원회 자문위원 미래창조과학부 국제화사업추진위원 한국도핑방지위원회 국제위원 국립외교원 설립 추진위원 서울동부지역 산학단장협의회 회장 국립 창원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육군 정훈장교(중위)로 군복무 학회 경력사항 한국국제정치학회 회장 한국정치정보학회 회장 International Studies Association 정회원 American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정회원(Governing Board Member, International Political Science Committee) Midwest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정회원 International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정회원 기타 경력사항 외무-행정-입법-사법고등고시 출제/채점/검토/면접 위원 법학적성시험(LEET) 출제위원 대입 수학능력시험 기획/출제/검토자문 위원 중등교사임용시험 출제/검토 위원 중등교과서(정치와법/법과정치/정치) 검정/연구 위원, 심의위원장 교육부 대학평가위원(장)(대학혁신사업·에이스사업·링크사업·대학구조개혁평가 등) 수상 한국외국어대학교 우수교원표창(연구업적, 2004-2005-2006-2007-2008) 연구실적 “패권과 패권국, 그리고 글로벌 패권질서: 미·중 패권경쟁의 동학” 「정치정보연구」 26-2 (2023). “세계화와 탈세계화 그리고 국제관계의 변화” 「정치정보연구」 25-3 (2022). “미국·중국 간 통화 패권경쟁과 국제정치경제질서 전망” 「정치정보연구」 24-3 (2021). “Post COVID-19 시대의 국제정치: 탈세계화, 디지털화 그리고 신냉전 질서의 도래” 「정치정보연구」 23-3 (2020). “The United States and Asia in 2023: In Search of Global Shared Interests” Asian Survey 64-2 (2024),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CA, USA). “The United States and Asia in 2022: Looking for Shared Values or Interests” Asian Survey 63-2 (2023),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CA, USA). 외 국영문 연구논문 120여 편. 「국제관계개론」. 박영사 (2022). 「글로벌 공공외교 기관과 활동」. HUINE (2022). 「국제정치경제: 시각과 쟁점」. 박영사 (2021). Issues and Perspectives in the Korean Peace Process. Korean Association of International Studies, HUINE (2021). 외 국영문 저역서 40여 권.
펼치기
강유덕 (지은이)    정보 더보기
파리정치대학(Sciences Po) 경제학 박사 한국외국어대학교 Language & Trade 학부 교수 한국외국어대학교 EU연구소 소장 [저·역서 및 논문] 『국제경영학』 (공저, 2025) 『EU의 통상정책』 (공저, 2022) 「Public Attitudes Towards Globalisation and Socio-Economic Factors: Empirical Evidence From the Eurobarometer Survey」 (2025) 외
펼치기
박광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 대전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 한국정치정보학회 회장 역임(명예회장).
펼치기
권재범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 전북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조교수.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정치외교 학과 BK21 4단계 연구팀 계약교수(2020-2022) 대표 저서 및 논문 -『신남방정책·신북방정책 추진전략과 정책과제』(2020). - 『유네스코 공동등재를 활용한 남북 문화유산협력』(2021). -“When the Kangaroo Encounters the Flying Dragon: The Growth of Balancing Elements in Australia's China Policy.” Pacific Focus 35(3) (2020): 491-529 -“Taming Neighbors: Exploring China’s Economic Statecraft to Change Neighboring Countries’ Policies and Their Effects.” Asian Perspective 44(1)(2020): 103-138
펼치기
김현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정치연구소 책임연구원. 한국정부 국비유학생 (2015), 중국정부 우수재중유학생(2019). 대표 저서 및 논문 -“???域合作?域下的互?互通?究.” 『???究??』 (2021), 41. -“CSSCI 상위 학술지에 게재된 한반도 연구의 경향 분석: 최근 5년간 국제 정치학 분야 18개 주요학술지를 대상으로.” 『중국지식네트워크』 (2021), 17.
펼치기
서인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 연구학술팀장 『글로벌 공공외교 기관과 활동』(공저,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콘테츠원, 2022), 『독도 영토주권과 국제법적 권원 Ⅲ』(공저, 동북아역사재단, 2022), 「육지측량부 제작 지도의 독도영유권인식에 대한 고찰」(『영토해양연구』 제14호, 2017) 등
펼치기
조용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 상트페테르부르크국립대학교 박사과정 수료. 대표 저서 및 논문 -『2016년 폴란드 인사노무관리 안내서』(2016). 서울:노사발전재단 -“Effects of a Threat and Alliance on International Cooperation: Comparison of Inter-Korean and Turkish-Armenian Railway Project”, RUD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2021), 23(2)
펼치기
김효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 경희대학교 국제개발협력연구센터 연구교수. 대표 저서 및 논문 -“정책 과정 내 관료화 현상의 결정 요인 연구: 한국 국제개발협력 정책에 대한 공공선택론적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2021), 30(4). - “기업의 ESG 실행과 평가의 괴리 가능성 연구: ESG 평가 지표 분석을 중 심으로.”『국가정책연구』 (2021), 35(4). -“분쟁과 자연재해 상황에서 HDP Nexus 이행방안 연구.” 『국제개발협력 연구』 (2021), 13(1).
펼치기
Feta Simon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박사과정. Lecturer, Governance and International Relations, Faculty of Social Sciences, Uganda Christian University.
펼치기

책속에서

I부
글로벌 공공외교 기관의 현황과 역할

공공외교란 외국 국민과의 직접적인 소통을 통해 우리나라의 역사, 전통, 문화, 예술, 가치, 정책, 비전 등에 대한 공감대를 확산하고 신뢰를 확보함으로써 외교 관계를 증진하고, 우리의 국가 이미지와 국가 브랜드를 높여 국제 사회에서 우리나라의 영향력을 높이는 외교 활동을 말한다. 정부 간 소통과 협상 과정을 일컫는 전통적 의미의 외교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문화·예술, 원조, 지식, 언어, 미디어, 홍보 등 다양한 기제를 활용하여 외국 대중에게 직접 다가가 그들의 마음을 사고, 감동을 주어 긍정적인 이미지를 만든다는 것이 공공외교의 기본 개념이다.
공공외교는 주로 외국의 대중을 그 대상으로 하지만, NGO·대학·언론도 여론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공공외교의 대상에 포함된다. 또 한, 최근에는 외교 정책에 대한 자국민의 이해와 지지가 중요해짐에 따라, 자민과 단체·기관도 공공외교의 범주에 포함하는 경향이 있다. 공공외교는 정부 주도하에 외국 국민의 이해와 신뢰를 증진하는 외교 활동이다. 그러나 공공외교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주체들의 자발적 참여가 필요하다. 국민 개개인, NGO, 기업, 지방자치단체, 각급 정부 기관 등 다양한 수준의 행위자들이 상대 국가의 행위자들과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가운데 서로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 이를 통해 상호 교류와 협력을 더욱 돈독히 할 때 비로소 공공외교의 효과가 발휘될 수 있는 것이다.
공공외교라는 용어는 냉전이 한창이던 1965년 미국의 전직 외교관이자 터프츠대(Tuf ts University) 플래쳐스쿨(The Fletcher School) 학장인 에드먼드 걸 리온(Edmund Gullion) 이 ‘에드워드 머로우 공공외교 센터(Edward R. MurrowCenter for Public Diplomacy)’를 설립하면서부터 사용되기 시작했다. 당시의 공공외교는 냉전 질서 속에서 하드 파워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상대방 국가의 정책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해당국의 여론을 움직이려는 정책이었다. 이후 1990년대 냉전이 종식되면서 공공외교에 관한 논의도 일시적으로 감소하는 듯했으나, 2001년 9·11 테러, 민주주의의 세계적 확산, 통신수단의 혁명적 발전, 세계적 금융위기 등으로 군사력과 경제력이 핵심을 이루는 하드 파워가 한계에 봉착하고 정부 간 외교뿐만 아니라, 외국 국민에게 직접 다가가는 외교의 중요성이 증가하면서 새로운 외교 패러다임으로 공공외교가 다시금 재조명되기 시작했다.
오늘날의 공공외교는 문화·예술, 스포츠, 가치관과 같은 무형의 자산이 지닌 매력을 통해 상대국 대중의 마음을 사로잡는 소프트 파워를 추구하는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20세기의 공공외교가 두 차례의 세계대전과 동서냉전 프레임을 배경으로 등장했다면, 21세기의 공공외교는 9·11 이후 하드 파워의 한 계가 드러나면서 소프트 파워의 중요성 부각, 세계화의 급속한 진전과 민주화의 확산으로 다양한 비국가 행위자가 외교의 주체로 등장, 소셜 미디어·소셜 네트워크 등 뉴미디어 매체의 비약적인 발달로 시공간의 격차 해소, 정보 민주화가 확산하면서 대중에 의한 대중을 향한 개방형 외교의 중요성 확대 등 외교 패러다임이 변화하는 과정에서 재부상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선진국에 비해 공공외교에 한발 늦게 뛰어든 편이나, 2010년을 ‘공공외교의 원년’으로 선포하고, 기존의 정무외교·경제외교와 함께 공공외교를 대한민국 외교의 3대 축으로 설정하고, 공공외교 강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