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16세기 서구인이 본 꼬라이

16세기 서구인이 본 꼬라이

박철 (지은이)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지식출판원(HUINE)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200원 -5% 0원
800원
14,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16세기 서구인이 본 꼬라이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16세기 서구인이 본 꼬라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88974647049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11-12-30

책 소개

16세기 세스뻬데스 신부는 일본에서 선교활동을 펼치던 중 당시 임진왜란을 겪으며 일본인 대명들의 도움으로 서구인 최초로 한국 땅을 밟았다. 국내문헌에는 그를 임진왜란 중 일본군 종군신부라고 기술하고 있지만 저자는 그가 임진왜란을 신부로서 중도적 입장과 선교사 정신에 따라 객관적으로 기술하고 있음을 강조하면서 한국 땅에서 평화의 정착을 기원하였다고 기술하고 있다.

목차

이 책을 읽는 독자에게 v
자료 목록 xv

제1장 한국 방문 최초의 서구인
1. 세스뻬데스의 출생/ 2
2. 마드리드 시장의 아들/ 11
3. 세스뻬데스의 예수회 입회/ 18
4. 세스뻬데스의 성품/ 30

제2장 세스뻬데스의 한국 방문
1. 세스뻬데스의 선교활동/ 36
2. 세스뻬데스의 방한/ 44
3. 한국체류 중의 활동/ 48

제3장 한국 땅에서 남긴 세스뻬데스의 4통의 편지
1. 한국 땅에서 쓴 서간문 제1신/ 62
2. 한국 땅에서 쓴 서간문 제2신/ 68
3. 한국 땅에서 쓴 서간문 제3신/ 73
4 한국 땅에서 쓴 서간문 제4신/ 74

제4장 한국 천주교와 세스뻬데스
1. 한국인들을 위한 복음전파 / 81
1) 한국인 포로들을 천주교도로 개종/ 81
2) 세스뻬데스와 한국인 포로들/ 85
3) 세스뻬데스가 구출한 한국아이/ 87
2. 루이스·데·구스만의 문학적 증언/ 89
1) 선교사들의 이야기/ 91
2) 남해안의 12개의 요새/ 92
3) 소서행장과 가등청정의 반목/ 95
3. 세스뻬데스 신부의 역사적 평가/ 97

제5장 일본에서의 선교활동
1. 일본 천주교의 시작/ 101
1) 예수회 선교활동과 사베리오/ 101
2) 일본 소년사절단의 유럽방문/ 103
3) 일본 문화에 천주교의 기여/ 105
2. 세스뻬데스의 선교활동/ 108
1) 규슈 지방에서 활동/ 108
2) 교토 지방에서 활약/ 112
3) 히데요시와의 만남과 증오/ 114
4) 나가사키 대순교의 증언/ 118
5) 고꾸라에서 마지막 활동/ 119

제6장 일본 땅에서 쓴 세스뻬데스의 서간문
1. 1577년 서간문/ 123
2. 1578년 서간문/ 133
3. 1579년 서간문/ 135
4. 1585년 서간문/ 139
5. 1586년 서간문/ 151
6. 1587년 서간문/ 155
7. 1588년 서간문/ 158
8. 1589년 서간문/ 163
9. 1597년 서간문/ 168
10. 1601년 서간문/ 176

제7장 예수회 신부들의 눈에 비친 일본
1. 선교사들의 기록을 통한 증언/ 181
1) 사베리오 신부의 기술/ 181
2) 발리그나노 신부의 기술/ 184
3) 로뻬·데·베가의 문학적 증언/ 186
2. 세스뻬데스 신부의 문화적 충격/ 190
1) 뛰어난 일본어 구사/ 190
2) 일본 신앙에 대한 저항감/ 192
3) 히데요시의 잔인성/ 195
3 세스뻬데스의 눈에 비친 일본 군주들의 모습/ 199
1) 오다 노부나가(職田信長)/ 199
2) 도요또미 히데요시(豊臣秀吉)/ 203
3) 도꾸가와 이에야스(德川家康)/ 212

제8장 16세기 서구인이 본 꼬라이
1. 문헌적 의의/ 217
2. 섬나라 꼬라이 왕국/ 220
3. 복음전파의 첫 시도/ 224
4. 임진왜란과 꼬라이 왕국/ 228
5. 한국인에 대한 기술/ 233
6. 한국의 특산물/ 238
7. 거북선과 무기/ 241
8. 외부와의 접촉/ 244
9. 공예기술 /245
10. 언어와 종교/ 248

제9장 서구인이 본 임진왜란
1. 임진왜란의 역사적 배경/ 251
1) 한국과 일본의 관계/ 251
2) 히데요시의 야망/ 255
3) 스페인 총독에 대한 위협/ 260
4) 정명가도(征明假道)/ 263
2. 서구인이 기술한 임진왜란/ 267
1) 히데요시의 일본통일/ 269
2) 화려한 궁전과 요새/ 272
3) 히데요시의 중국 정복 야욕/ 277
4) 히데요시의 위협과 회유/ 281
5) 신비의 나라 꼬라이/ 286
6) 조선 침략과 부산성 싸움/ 289
7) 동래성 전투/ 292
8) 소서행장의 승전 서간문/ 294
9) 충주 전투/ 296
10) 서울 입성/ 299
11) 히데요시의 꼬라이 방문 계획/ 302
12) 바다에서 꼬라이 수군의 승리/ 308
13) 명나라군의 참전과 평양전투/ 310
14) 평화를 위한 노력과 협상/ 316

저자소개

박철 (옮긴이)    정보 더보기
스페인 왕립한림원 종신회원으로서 한림원 학술지 《뷸리틴》 편집위원을 맡고 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스페인어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을 거쳐 스페인 마드리드 콤플루텐세 국립대학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5년 모교에 부임한 후 아시아권의 대표적인 세르반테스 연구학자로 활동하였으며, 미국 하버드 대학교 로망스어학부 방문교수를 지냈다. 한국 외국어교육학회 회장, 한국 스페인어문학회 회장을 역임하면서 2004년 11월 서울에서 제11차 세계 세르반테스학회를 개최하였다. 2006년부터 2014년까지 한국외국어대학교 제8대, 제9대 총장을 지냈으며, 2014년 11월 한국 세르반테스 연구소 초대 이사장으로 선임되었다. 스페인 정부 문화훈장 기사장, 카를로스 3세 대십자훈장, 이사벨 여왕 대십자훈장을 수훈하였고, 루마니아 최고교육훈장, 헝가리 문화훈장, 폴란드 문화훈장 등을 수훈하였다. 저서로는 《한국 최초 방문 서구인: 세스페데스》, 《스페인 문학사》, 《돈키호테를 꿈꿔라》, 《노벨문학상과 한국문학》, 《독학스페인어 첫걸음》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세르반테스의 《개들이 본 세상》, 《모범소설》, 《이혼 재판관》, 그 외에 《스페인 역사》, 《한국천주교 전래의 기원》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서문]

대학원 시절 스페인 문학 작품을 연구하던 중 우연히 그레고리오·데·세스뻬데스(Gregorio de C?spedes) 신부에 관한 언급에 접하였다. 그 후 국내외 문헌에 세스뻬데스의 국적이나 한국방문에 대한 기술에 일관성이 없음을 알고서 필자는 그에 대하여 면밀히 연구하고 싶은 충동을 받았다. 우리한국 땅을 최초로 밟은 스페인 예수회 신부 세스뻬데스에 관한 연구는 역사적, 교회사적, 그리고 문학적 측면에서 그 의의를 갖는데, 필자는 그중에서 특히 세스뻬데스 신부가 16세기에 남긴 서간문들과 당시 서구 선교사들의 기록들을 스페인 문학사적 관점에서 발굴하여 분석하는 데 노력을 총집중하였다.

세스뻬데스 신부는 임진왜란을 계기로 한국 땅을 밟을 수 있었고, 이 불행한 사건을 직접 목격한 유일한 서구의 증인이다. 그러나 임진왜란이라는 불행한 역사의 그늘에 가린 채로, 그의 방한은 무시되거나, 아니면 올바르게 인식되지 못했다고 본다. 그러나 16세기에 최초로 글을 통하여 당시 한국의 올바른 모습을 서구에 알린 주인공들이 바로 스페인 신부 세스뻬데스와 그의 동료 선교사들이었음을 확실히 알아야 할 때가 왔다.
필자는 교회사에 대한 지식은 없었지만 스페인 문학을 전공하는 사람으로서의 사명감으로 16세기에 서구 선교사들이 남긴 서간문들을 유럽의 고문서 보관소(Archives)에서 발굴하였으며, 역사적으로 그들의 활동 연구에 도움이 될 자료를 모아서 정리하였다. 16세기 스페인 선교사들이 극동에서 남긴 서간문이나 기록들은 우리에게 뿐만 아니라 스페인 문학과 역사분야에도 큰 의미가 있고 스페인 학계에서도 새로운 연구로 평가받고 있다.
스페인 정부는 1991년 11월 9일 세스뻬데스의 문화 기념관을 라 만차 지방의 빌야누에바 데 알까르데떼 마을에 세운 바 있으며, 기념관 뜰에 태극기를 새겨 만든 세스뻬데스 방한 기념 조형물을 세워 한국 최초 방문의 역사적사건을 기념하고 있다. 1993년 그의 방한 400주년을 맞아 스페인 정부는 세스뻬데스 신부가 첫 발을 디딘 경상남도 진해시에 똑같은 조형물을 기증하
여 제막하였다.
세스뻬데스와 예수회 신부들은 16세기에 미지의 나라 꼬라이(한국)를 최초로 서구에 알린 역사적 주인공들이다. 이들은 꼬라이인의 문화적 우수성과 창의성을 높이 평가하였는데, 특히 거북선을 비롯해 임진왜란 당시 바다에서 꼬라이 수군의 승리를 상세히 적었으며, 육지에서도 꼬라이 병사들이 용맹스럽게 싸운 귀중한 기록을 남겼다.
그동안 국내에서는 세스뻬데스 신부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 외국학자들의 연구를 인용하여 소개한 정도에 불과했으며 원전을 통한 직접적인 연구가 보이지 않았다. 사실상 언어의 장벽 때문에 일반 역사학자들이나 기타 연구가들이 16세기 스페인 및 포르투갈 고자료에 쉽게 접근할 수 없는 현실로 볼 때, 필자는 이 분야의 16세기 문헌과 문학적 기록들을 읽으면서 어휘 하나하나의 뜻을 바로 해석하여 우리의 역사에 새로운 자료를 제공하고자 노력하였다.
연구 도중에「 1592년 일본 예수회 연례 보고서 부록」 편에 실린 스페인어
로 쓰여진 임진왜란의 기술을 발견하였는데, 한국인도 일본인도 아닌 제3자로서의 유일한 증인인 스페인 선교사들이 적은 이 역사적 기록은 실로 그 가치가 크다 하겠다. 이들의 귀중한 증언 속에서 우리는 임진왜란 역사에 대한 수치심보다는 우리의 선조에 대한 자부심과 긍지를 느낄 수 있음에 더욱 그러하다.
본서에서 최초로 소개한 글들과 자료들이 앞으로 임진왜란 역사나 교회사 연구에 조그만 기여가 되기를 바라면서, 세스뻬데스 신부에 관한 새로운 평가와 연구가 계속되기를 바란다.
이 연구를 위해 필자가 스페인, 포르투갈, 로마, 일본 등지를 다니면서 발굴한 자료들은 극히 작은 일부분일 뿐이다. 아직도 우리의 지난 역사를 밝혀주
는 수많은 자료와 글들이 유럽의 도서관이나 고문서 보관소에서 연구가들의 손길을 기다리고 있다는 것을 이 기회를 통해서 강조하고 싶다.
본 연구는 16세기 예수회 선교사들의 기록을 직접 인용한 관계로 그들이 쓴 표기 및 어휘의 표현 방식을 원문대로 쓰고자 노력하였다. 예를 들어서 도요또미 히데요시(豊臣秀吉)의 호칭을 선교사들이 기술한 대로 감바꾸도노(關白), 다이꼬사마(太閤樣), 파시마 지꾸젠도노(羽柴筑前守秀吉) 등으로 썼으며, 그 외에도 메아꼬(京都), 시모(九州), 쓰시마(對馬島), 고문가이(熊川), 꼬라이(朝鮮) 등을 원문에 표시된 그대로 원음으로 표기하였음을 밝힌다. 그 외에도 외국어 표기방법은 스페인어의 원음으로 쓰고자 노력하였다.
다만 하비에르(Javier) 혹은 어거스틴(Agust?n) 같은 호칭은 국내 가톨릭 용어에 맞추어 통일시키고자 “사베리오”와 “아우구스티누스”로 적었다. 또한 독자들의 이해를 돕고자 16세기 고본 자료들과 지도를 삽입하였다.
본 연구를 하는 동안에 지원해 준 스페인 외무성 당국자들에게 사의를 표하며, 그 외 여러 도서관, 고문서 보관소, 연구소 등 협조를 아끼지 않았던 동료학자들과 관계자들에게 심심한 감사를 표하는 바이다.

2011년 12월 미네르바에서
저자 朴 哲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