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과정/교육평가
· ISBN : 9788974647346
· 쪽수 : 236쪽
· 출판일 : 2012-04-2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3
제1장 과학관, 어린이를 생각하다 11
1. 어린이 놀이 행태 ·· 11
1) 어린이 놀이 특징 ___ 11
2) 어린이 놀이 유형 ___ 17
3) 어린이 놀이기구 ___ 20
4) 어린이 놀이 공간 ___ 22
2. 어린이 교육체험 ·· 27
1) 일반적인 의미의 체험 ___ 27
2) 존 듀이(John Dewey)의 ‘생활 경험(Life experience)’ ___ 28
3) 조셉 파인 2세(B.Joseph Pine Ⅱ)와 제임스 길모어(James H. Gilmore)의 ‘고객 체험의 4요소’ ___ 29
제2장 과학관, 교육형 테마파크를 꿈꾸다 36
1. 어린이 과학교육 ·· 36
1) 어린이 과학 교육의 목적 ___ 36
2) 놀이를 통한 어린이 과학 교육 ___ 37
2. 어린이 과학관과 테마파크 ·· 39
1) 과학관의 역사 ___ 39
2) 어린이 과학관의 개념 ___ 45
3) 어린이 과학관의 유형 ___ 58
4) 테마파크와 어린이 과학관의 관계 ___ 63
3. 테마파크형 어린이 과학관 연출 ·· 78
1) 체험형 전시의 개념 ___ 79
2) 전시매체의 종류 ___ 81
3) 테마파크형 어린이 과학관의 연출방식 ___ 85
제3장 과학관, 테마파크처럼 둘러보다 102
1. 과학교육을 기대하는 유형 둘러보기 ·· 104
1) 국외 ___ 104
2) 국내 ___ 118
2. 테마파크적 특징을 적용한 유형 둘러보기 ·· 134
1) 소설과 환경연출이 결합된 사례 ___ 134
2) 향수, 환경연출, 그리고 쇼이벤트가 결합된 사례 ___ 139
3. 관람후기 ·· 142
1) 주제연출 및 전시구성 ___ 142
2) 동선체계 ___ 149
3) 관람 반응 ___ 149
4) 테마파크적 특성 ___ 150
제4장 과학관, 테마파크를 만나다 152
1. 테마파크형 어린이 과학관 계획 배경 ·· 153
1) 환경분석 ___ 155
2. 테마파크형 어린이 과학관 설계하기 ___ 155
2) 건설 방향 도출 ___ 163
3) 소재 분석 ___ 166
4) 개념 도출 ___ 167
5) 주제 설정 ___ 170
6) 세부연출 및 스토리텔링 ___ 186
2. 테마파크형 어린이 과학관 설계하기 ·· 155
나가며 218
참고문헌 221
찾아보기 226
저자소개
책속에서
과학관과 테마파크는 교육과 놀이를 대표하는 공간 콘텐츠다. 이 책에서는 에듀케이션적인 성격인 강한 과학관에 엔터테인먼트적인 성격이 강한 테마파크의 특성을 접목하여 테마파크스러운 사건이 일어나는 과학교육공간의 모델을 제시해보는 것을 주 내용으로 하며, 향후 어린이 과학관의 구축모델을 제시한다.
<과학관, 테마파크를 만나다>는 최근 EBS 애니메이션 ‘뽀로로’, ‘코코몽’, ‘토마스와 친구들’과 같은 영상콘텐츠를 기반으로 한 테마파크나 전시관이 활발하게 만들어지는 데 맞춰 시의상으로도 적절하고, 잘 알려진 이야기를 바탕으로 쉽고 재미있게 과학의 원리를 놀이로 습득할 수 있는 과학교육놀이 공간의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는 바람과, 실제로 국내에서도 활발하게 기획 및 건립되기를 바라는 마음의 표출이다.
- 저자의 머리말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