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국문학사/국문학개론
· ISBN : 9788974908218
· 쪽수 : 530쪽
· 출판일 : 2003-07-30
목차
제1부 總論
1. 國文學의 槪念 = 14
2. 國文學의 장르 = 21
Ⅰ. 장르의 槪念 = 21
Ⅱ. 장르의 分類法 = 23
Ⅲ. 장르의 分類와 硏究課題 = 30
3. 國文學의 硏究方法 = 32
Ⅰ. 書誌·註釋的 方法 = 32
Ⅱ. 歷史主義的 方法 = 33
Ⅲ. 形式主義的 方法 = 35
Ⅳ. 社會·倫理的 方法 = 36
Ⅴ. 心理主義的 方法 = 37
Ⅵ. 神話·原型的 方法 = 38
Ⅶ. 比較文學的 方法 = 38
Ⅷ. 構造主義的 方法 = 39
제2부 詩歌文學
1. 古代詩歌 = 44
Ⅰ. 古代詩歌의 槪念 = 44
Ⅱ. 古代詩歌의 移行과 發展過程 = 44
Ⅲ. 古代詩歌의 構造와 性格 = 46
Ⅳ. 앞으로의 硏究課題 = 56
2. 鄕歌 = 58
Ⅰ. 鄕歌의 名稱과 갈래 = 58
Ⅱ. 鄕歌의 形成과 展開 = 62
Ⅲ. 鄕歌의 作家와 그 性格 = 63
Ⅳ. 鄕歌의 內容과 修辭 = 67
Ⅴ. 鄕歌의 形式 = 77
3. 俗歌 = 81
Ⅰ. 俗歌의 名稱과 範圍 = 81
Ⅱ. 俗歌形成의 歷史的 背景 = 85
Ⅲ. 俗歌의 作家와 享有階層 = 89
Ⅳ. 俗歌의 內容과 修辭 = 93
Ⅴ. 俗歌의 形式과 律格 = 102
Ⅵ. 앞으로의 硏究課題와 方向 = 107
4. 景幾體歌 = 109
Ⅰ. 名稱과 갈래 = 109
Ⅱ. 範疇와 作品槪觀 = 115
Ⅲ. 生成過程과 享有階層 = 118
Ⅳ. 形式·律格과 內容 = 124
5. 樂章 = 130
Ⅰ. 樂章의 槪念과 갈래 = 130
Ⅱ. 樂章의 形成과 展開 = 132
Ⅲ. 作家와 作品 = 132
Ⅳ. 形式과 律格 = 133
Ⅴ. 內容과 修辭 = 134
Ⅵ. 앞으로의 硏究課題 = 137
6. 時調 = 139
Ⅰ. 名稱과 갈래 = 139
Ⅱ. 起源과 形成時期 = 143
Ⅲ. 作家와 享有階層 = 150
Ⅳ. 形式과 律格 = 152
Ⅴ. 內容上의 特徵 = 156
7. 歌辭 = 162
Ⅰ. 歌辭의 名稱 = 162
Ⅱ. 歌辭의 장르 = 166
Ⅲ. 歌辭의 發生 = 170
Ⅳ. 歌辭의 發達 = 176
Ⅴ. 歌辭와 儒敎 = 181
Ⅵ. 作家와 作品 = 186
8. 雜歌 = 190
Ⅰ. 雜歌의 名稱과 槪念 = 190
Ⅱ. 雜歌의 形成과 展開過程 = 191
Ⅲ. 雜歌의 類型과 그 特徵 = 197
Ⅳ. 앞으로의 硏究課題 = 201
9. 開化期 詩歌 = 203
Ⅰ. 장르問題의 提起 = 203
Ⅱ. 分類樣相 = 204
Ⅲ. 장르의 變形 = 215
Ⅳ. 提示形式 = 217
Ⅴ. 敎訓性과 聽者指向 = 220
Ⅵ. 마무리 = 225
10. 現代詩 = 226
Ⅰ. 槪念과 起點問題 = 226
Ⅱ. 現代詩의 展開 = 228
제3부 散文文學
1. 古小說 = 240
Ⅰ. 古小說의 槪念과 範圍 = 240
Ⅱ. 古小說의 形成과 展開 = 242
Ⅲ. 古小說의 類型·構造·主題 = 254
Ⅳ. 古小說의 作者·讀者·流通 = 265
2. 開化期 小說 = 274
Ⅰ. 開化期의 設定 = 274
Ⅱ. 開化期 小說의 槪念 = 275
Ⅲ. 開化期 文學社會學 = 277
Ⅳ. 開化期 小說의 意味構造 = 283
3. 現代小說 = 290
Ⅰ. 現代小說의 名稱과 槪念 = 290
Ⅱ. 作家와 讀者 = 292
Ⅲ. 國權喪失期의 小說的 指向 = 293
Ⅳ. 現代小說의 類型과 文體 = 298
Ⅴ. 硏究方法과 展望 = 301
4. 現代批評 = 303
Ⅰ. 現代批評의 意味 = 303
Ⅱ. 現代批評의 흐름 = 304
Ⅲ. 現代批評의 特性 = 312
Ⅳ. 앞으로의 批評課題 = 314
5. 古典隨筆 = 316
Ⅰ. 名稱·槪念과 갈래 = 316
Ⅱ. 發生 및 展開過程 = 317
Ⅲ. 作者와 享有階層 = 319
Ⅳ. 內容과 主題 = 320
Ⅴ. 앞으로의 硏究課題 = 327
6. 現代隨筆 = 328
Ⅰ. 語源的 考察 및 槪念 = 328
Ⅱ. 隨筆과 에세이 = 331
Ⅲ. 現代隨筆의 種類 = 333
Ⅳ. 現代隨筆의 發生 및 展開過程 = 338
Ⅴ. 앞으로의 硏究課題 = 342
제4부 漢文文學
1. 韓國漢文學 = 344
Ⅰ. 槪念과 範圍 = 344
Ⅱ. 漢文學의 樣式 = 345
Ⅲ. 漢文學의 흐름 = 350
2. 漢文學批評 = 370
Ⅰ. 漢文學批評의 槪念 = 370
Ⅱ. 漢文學批評의 흐름 = 371
Ⅲ. 漢文學批評의 資料와 敍述形態 = 374
Ⅳ. 漢文學批評의 樣相 = 376
Ⅴ. 마무리 = 384
3. 傳文學 = 386
Ⅰ. 傳의 槪念 = 386
Ⅱ. 傳의 一般的 構成形式 = 387
Ⅲ. 傳의 類型 = 389
Ⅳ. 傳文學의 展開 = 393
Ⅴ. 硏究成果와 展望 = 398
4. 野談 = 400
Ⅰ. 名稱과 장르 = 400
Ⅱ. 形成過程과 展開 = 403
Ⅲ. 作家와 享有階層 = 407
Ⅳ. 類型構造 = 409
Ⅴ. 內容과 主題 = 411
Ⅵ. 硏究의 展望 = 414
제5부 口碑文學
1. 說話 = 418
Ⅰ. 說話의 全般的 特徵 = 418
Ⅱ. 說話의 갈래 = 419
Ⅲ. 神話 = 421
Ⅳ. 傳說 = 427
Ⅴ. 民譯 = 431
2. 民謠 = 436
Ⅰ. 民謠의 名稱과 槪念 = 436
Ⅱ. 民謠의 갈래 = 439
Ⅲ. 民謠의 發生과 展開 = 443
Ⅳ. 歌唱形式과 律格 = 447
Ⅴ. 民謠의 內容 = 452
Ⅵ. 앞으로의 硏究課題 = 456
3. 판소리 = 457
Ⅰ. '판소리'란 말의 뜻 = 457
Ⅱ. 판소리의 갈래적 性格 = 458
Ⅲ. 판소리의 形成과 展開 = 460
Ⅳ. 판소리의 構成과 演行 = 463
Ⅴ. 판소리 辭說의 文學的 特性 = 465
Ⅵ. 판소리 唱의 音樂的 性格 = 468
Ⅶ. 傳承 판소리 作品들 = 469
Ⅷ. 판소리의 全般的 性格 = 471
4. 民俗劇 = 473
Ⅰ. 民俗劇의 槪念 = 473
Ⅱ. 演戱의 歷史와 탈놀음의 形成 = 473
Ⅲ. 탈놀음의 갈래와 地域的 分布 = 478
Ⅳ. 탈놀음의 公演方式 = 480
Ⅴ. 탈놀음의 表現形式과 主題 = 481
Ⅵ. 꼭두각시놀음 = 485
5. 巫歌 = 489
Ⅰ. 巫歌의 槪念 = 489
Ⅱ. 巫歌의 資料 및 硏究 = 490
Ⅲ. 巫歌의 文學的 性格 = 492
Ⅳ. 巫歌의 갈래 = 494
Ⅴ. 巫歌硏究의 方向과 課題 = 501
찾아보기 = 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