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경전/법문
· ISBN : 9788975342387
· 쪽수 : 160쪽
· 출판일 : 2018-04-30
책 소개
목차
서문
산스크리트어 관세음보살 42수 진언을 펴내며
무드라(Mudra) 또는 수인(手印)의 역사
무드라(Mudra) 또는 수인(手印)에 대하여
실담어(Siddham- 悉曇語)에 대하여
33관음보살(觀音菩薩)에 대하여
본문
제1장 관세음보살 42수의 유래
제2장 관세음보살 42수 진언 제목
제3장 관세음보살 42수 진언 해석
1. 관세음보살 여의주수 진언 (觀世音菩薩 如意珠手 眞言)
2. 관세음보살 견색수 진언(觀世音菩薩 絹索手 眞言)
3. 관세음보살 보발수 진언 (觀世音菩薩 寶鉢手 眞言)
4. 관세음보살 보검수 진언(觀世音菩薩 寶劒手 眞言)
5. 관세음보살 발절라수 진언 (觀世音菩薩 跋折羅手 眞言)
6. 관세음보살 금강저수 진언(觀世音菩薩 金剛杵手 眞言)
7. 관세음보살 시무외수 진언(觀世音菩薩 施無畏手 眞言)
8. 관세음보살 일정마니수 진언(觀世音菩薩 日精摩尼手 眞言)
9. 관세음보살 월정마니수 진언 (觀世音菩薩 月精摩尼手 眞言)
10. 관세음보살 보궁수 진언(觀世音菩薩 寶弓手 眞言)
11. 관세음보살 보전수 진언(觀世音菩薩 寶箭手 眞言)
12. 관세음보살 양류지수 진언(觀世音菩薩 楊柳枝手 眞言)
13. 관세음보살 백불수 진언(觀世音菩薩 白拂手 眞言)
14. 관세음보살 보병수 진언 (觀世音菩薩 寶甁手 眞言)
15 관세음보살 방패수 진언(觀世音菩薩 防牌手 眞言)
16. 관세음보살 월부수 진언(觀世音菩薩 鉞斧手 眞言)
17. 관세음보살 옥환수 진언(觀世音菩薩 玉環手 眞言)
18. 관세음보살 백련화수 진언(觀世音菩薩 白蓮花手 眞言)
19. 관세음보살 청련화수 진언(觀世音菩薩 靑蓮花手 眞言)
20. 관세음보살 보경수 진언(觀世音菩薩 寶鏡手 眞言)
21. 관세음보살 자련화수 진언(觀世音菩薩 紫蓮花手 眞言)
22. 관세음보살 보협수 진언(觀世音菩薩 寶?手 眞言)
23. 관세음보살 오색운수 진언(觀世音菩薩 五色雲手 眞言)
24. 관세음보살 군지수 진언(觀世音菩薩 軍遲手 眞言)
25. 관세음보살 홍련화수 진언(觀世音菩薩 紅連花手 眞言)
26. 관세음보살 보극수 진언(觀世音菩薩 寶戟手 眞言)
27. 관세음보살 보라수 진언(觀世音菩薩 寶螺手 眞言)
28. 관세음보살 촉루장수 진언(觀世音菩薩 ??杖手 眞言)
29. 관세음보살 수주수 진언(觀世音菩薩 數珠手 眞言)
30. 관세음보살 보탁수 진언(觀世音菩薩 寶鐸手 眞言)
31. 관세음보살 보인수 진언(觀世音菩薩 寶印手 眞言)
32. 관세음보살 구시철구수 진언(觀世音菩薩 俱尸鐵鉤手 眞言)
33. 관세음보살 석장수 진언(觀世音菩薩 錫杖手 眞言)
34. 관세음보살 합장수 진언(觀世音菩薩 合掌手 眞言)
35. 관세음보살 화불수 진언(觀世音菩薩 化佛手 眞言)
36. 관세음보살 화궁전수 진언(觀世音菩薩 化宮殿手 眞言)
37. 관세음보살 보경수 진언(觀世音菩薩 寶經手 眞言)
38. 관세음보살 불퇴금륜수 진언(觀世音菩薩 不退金輪手 眞言)
39. 관세음보살 정상화불수 진언(觀世音菩薩 頂上化佛手 眞言)
40. 관세음보살 포도수 진언(觀世音菩薩 葡萄手 眞言)
41. 관세음보살 감로수 진언(觀世音菩薩 甘露手 眞言)
42. 관세음보살 총섭천비수 진언(觀世音菩薩 總攝千臂手 眞言)
제4장 관세음보살 42수 진언 언어별 표기
1. 관세음보살 42수 진언 산스크리트 표기
2. 관세음보살 42수 진언 로마나이즈 표기
3. 관세음보살 42수 진언 산스크리트 한글 읽기
4. 관세음보살 42수 진언 해설 한글/한자 표기
5. 관세음보살 42수 진언 실담어 표기
6. 관세음보살 42수 진언 한글 해석
부록
- 용어 찾아보기
- 산스크리트(梵語) 발음
- 실담어(悉曇語) 발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이 책에서 관세음보살 42수 무드라는 손 또는 수(手)을 통하여 고대로부터 마음과 몸을 연결 시키는 동작을 통하여 하나의 에너지 또는 모습의 형태로 나타나는 인(印)을 표현하게 된다. 이것은 단순히 손인 산스크리트어의 하스타(Hasta)를 말하지만 우주의 표현을 말하고 몸의 전체 동작을 말하는 것이다.
관세음보살 42수 진언의 수행방법은 수인의 동작과 진언인 만트라를 통하여 부처님께 예배하므로서 수인의 동작과 진언이 깊은 뜻을 가지며 자신의 생각이 더욱 간절하게 예배하는 행위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수인의 동작과 진언이 깊은 뜻을 갖도록 자신 스스로 불보살(佛菩薩)과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에 대한 예배이면서 기원하는 수행방법을 정리하였다.
이 관세음보살 42수 진언은 우주의 진리와 상징을 손으로 표현하면서 순수한 소리인 만트라(Mantra)의 형태를 모두 가지고 있기 때문에 수인과 소리 둘 다를 외워 기억하고 낭송하는 이러한 수행방법을 통해 사바세계의 사람들에게 편안함과 희망을 주는 수단이 되기를 기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