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리눅스 7.2 네트워크 & 웹 서버 무작정 따라하기

리눅스 7.2 네트워크 & 웹 서버 무작정 따라하기

(Redhat)

신재훈 (지은이)
길벗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7개 3,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리눅스 7.2 네트워크 & 웹 서버 무작정 따라하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리눅스 7.2 네트워크 & 웹 서버 무작정 따라하기 (Redhat)
· 분류 : 국내도서 > 컴퓨터/모바일 > OS/Networking > 리눅스
· ISBN : 9788975600838
· 쪽수 : 800쪽
· 출판일 : 2002-02-05

책 소개

네트워크 구축은 물론 프록시 서버, 웹 서버, 메일 서버 등 8가지 서버 서비스를 자세하고 쉽게 살펴볼 수 있다. 초고속망에서의 인터넷 공유는 물론 웹 서버 구축까지 자신감을 준다.

목차

첫째마당. 리눅스가 왜 필요한가?

01. 리눅스와 네트워크의 만남
01.1 네트워크를 알면 리눅스가 보인다
- 네트워크란?
- 네트워크로 할 수 있는 일
- 네트워크의 두 가지 방식 - 클라이언트와 서버, 그리고 P2P
- 리눅스는 만능 운영체제?
- 어떤 배포판을 선택할 것인가?
- 홈 서버 이렇게 만든다
01.2 네트워크를 위한 장비 - 선택과 구입 요령
- 이더넷 카드
- 이더넷 케이블
- 네트워크 중계기 - 허브와 스위치

02. 리눅스 설치를 위한 "묻지마!" 매뉴얼
02.1 설치하기 전에 이건 꼭 체크하세요
- 설치 전 알아두어야 할 정보
- 네트워크 정보 알아보기
02.2 칸막이 공사하기 - 파티션
- 하드디스크 분할
- 파티션 작업 과정
- 꼭 알아두어야 할 파티션 상식
- FIPS로 리눅스가 살 집 마련하기
- FDISK로 리눅스가 살 집 마련하기
02.3 리눅스 설치하기
- 설치 진행 과정
- CD-롬 부팅을 위한 바이오스 설정
- CD-롬으로 부팅이 안 된다면
- 리눅스 설치 시작
02.4 리눅스 문제 해결하기
- 문제 해결을 위한 권한 부여
- 부트로더에 이상이 있어요!
- root 암호를 잊어버렸어요!
- X 윈도우 화면을 제대로 볼 수 없어요!
- 인터넷을 사용할 수 없어요!
- X 윈도우를 빛내기 위한 사운드 카드 설정
- 내 컴퓨터에서 리눅스를 삭제하려면

03. 리눅스 기초 명령
03.1 최초의 명령, 최후의 명령
- 로그인과 로그아웃
- 다양한 시스템 종료 명령들
03.2 사용자 관련 명령 배우기
- root와 다중 사용자 개념을 알자
- 간단한 사용자 정보 알아보기
- 사용자 계정의 추가와 삭제 - useradd와 userdel
- 사용자 그룹의 추가와 삭제 - groupadd와 groupdel
03.3 사용자 계정 만들기 실습
- 사용자 계정을 만들고 그룹에 등록하기
03.4 파일 관리 명령 배우기
- 리눅스 파일, 이렇게 다르다
- 파일 열람하기 - ls
- 파일의 접근 권한 - 퍼미션
- 파일의 권한 변경 - chmod
- 파일의 내용 보기 - cat, more, less
- 파일 관리 명령 - rm, cp, mv, find
- 파일 관리를 쉽게! 미드나잇 커맨더
03.5 디렉토리 관리 명령 배우기
- 디렉토리란?
- 리눅스에서 디렉토리의 의미
- 디렉토리 확인 및 이동 - pwd, cd
- 상대경로와 절대경로
- 디렉토리 만들기와 삭제하기 - mkdir, rmdir
- 특정 그룹의 사용자를 위한 디렉토리 만들기
03.6 효율적인 명령 사용에 대한 조언
- 빠른 입력의 열쇠 - 탭 키
- 효율적인 명령 입력 - 특수 문자 *
- 프로세스 관리 - 백그라운드, 포그라운드
- 여러 명령을 동시에 해결하기 - 파이프
03.7 vi 에디터 사용하기
- vi 시작하기
- vi 10분간 체험하기
- 다양한 vi 명령
03.8 CD, 플로피 디스켓, 윈도우 파일 마운트하기
- 마운트하기 전에 알아둘 일
- CD 마운트하기
- 플로피 디스켓 마운트하기
- 윈도우의 파일 마운트하기
- 반드시 배워둘 umount
03.9 패키지 관리하기
- RPM으로 패키지 관리하기
- 압축파일 관리하기

둘째마당. 실제로 구축해 보는 리눅스 홈 서버

04. 홈 서버 인터넷에 접속하다
04.1 내 컴퓨터가 인터넷에 접속하기까지
- 생소한 네트워크 용어와 친해지기
- 인터넷 접속을 위해 무엇을 해야 할까?
- 네트워크 설정 파일들을 알아보자
04.2 첫 번째 이더넷 카드 인식하기
- 이미 이더넷 카드가 인식되어 있는 건 아닐까?
- 네트워크 모듈 확인하기
- PCI 방식의 이더넷 카드 네트워크 모듈 설치하기
- ISA 방식의 이더넷 카드 네트워크 모듈 설치하기
- 마무리를 위한 /etc/modules.conf 파일의 편집
- 루프백 인터페이스 추가하기
04.3 네트워크 설정을 통해 인터넷 접속하기
- 전용선에서의 인터넷 연결
- 인터넷의 닻을 올려라
- 왜 내 컴퓨터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않은 것인가?
04.4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 사용하기
- 리눅스 사용이 어려운 이유
- ADSL의 두 가지 인증 방식 - PPPoE와 PPPoA
- ADSL 사용하기
- CATV 서비스 사용하기 - DHCP 클라이언트 설정
04.5 전화선을 통해서 인터넷 접속하기
- 초간단 모뎀 설정
- 통신 프로그램 미니컴으로 PC 통신 사용하기
- 전화선으로 인터넷 접속하기 - PPP 설정

05. 홈 랜 구축하기
05.1 홈 랜 구축 이렇게 한다
- 리눅스 서버에는 뭔가 특별한 것이 있다
- 홈 랜을 구축하는 순서
05.2 반드시 알아 두어야 할 네트워크 명령어
- ifconfig를 이용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 및 확인
05.3 두 번째 이더넷 카드
- 두 번째 이더넷 카드 인식하기
- 두 번째 이더넷 카드에 네트워크 정보 설정하기
05.4 클라이언트 설정하기
- 클라이언트 컴퓨터에서 이더넷 카드를 인식하기
- 이더넷 카드의 네트워크 환경 설정 및 테스트하기
05.5 라우팅과 IP 매스커레이드 설정하기
- 라우팅 설정하기
- ipchains로 하는 IP 매스커레이드 설정
05.6 클라이언트에서 리눅스 서버로 접속하기
- 리눅스 서버의 텔넷 설정
- 윈도우 9x의 텔넷 프로그램으로 리눅스 서버에 접속하기

셋째마당. 리눅스 서버, 네트워크 서비스를 시작하다

06. 네트워크 서비스를 시작하기 전에
06.1 네트워크 서비스의 이해
- 네트워크 서비스의 동작 방식
- 데몬들의 보금자리
- 네트워크 서비스 설정 파일
06.2 인터넷 슈퍼 데몬 xinetd
- xinetd의 시작과 종료
- xinetd 어떻게 설정하나
- TCP 랩퍼에 의한 접근 제어
06.3 어떤 네트워크 서비스를 할 것인가?
- 골라 먹는 재미가 있다? 네트워크 서비스!

07. 스트레스 없는 웹 서핑을 위한 프록시 서버
07.1 프록시 서버 설치 및 설정하기
- 프록시 서버란 무엇인가?
- 스퀴드 설치하기
- 스퀴드 설정하고 시동하기
- 클라이언트 웹 브라우저의 설정
- 리눅스 서버 웹 브라우저의 설정

08. SSH로 리눅스 서버의 보안 확보하기
08.1 SSH가 무엇일까?
- SSH는 무엇에 쓰이는 물건인고?
- 이제 텔넷은 버려라
08.2 최신 OpenSSH 설치하기
- 낡은 OpenSSH를 청소하자
- 최신 OpenSSH로 무장하자
- OpenSSH를 이용한 리눅스 주무르기
- inetd 모드로 SSH 실행하기
- 클라이언트에서 리눅스 서버로 접속하기

09. 삼바! 삼바! 삼바!
09.1 삼바란 무엇인가?
- 삼바가 왜 필요한가?
09.2 삼바 설치 및 기초 설정하기
- 이미 설치되어 있는 건 아닐까?
- 설치 CD로부터 삼바 설치하기
- 삼바 환경 설정을 위한 /etc/samba/smb.conf 파일의 수정
09.3 삼바로 다양한 파일 공유 서비스하기
- 윈도우의 파일을 리눅스로 복사하기
- 윈도우의 공유 디렉토리를 리눅스에서 사용하기
- 윈도우에서 리눅스 디렉토리 사용하기
09.4 삼바로 프린터 공유 서비스하기
- 리눅스 서버에 프린터 설치하기
- 프린터 공유를 위한 smb.conf 파일 편집하기
- 윈도우에서 공유 프린터 설정하기

10. FTP 서버 운영하기
10.1 ProFTP 서버 설치하기
- FTP는 뭐고 FTP 서버는 또 뭐냐?
- ProFTP 설치를 위한 WuFTP의 삭제
- ProFTP 패키지 다운받아서 설치하기
10.2 ProFTP 환경 설정하기
- 일반적인 FTP 설정
- 익명 FTP 서버 설정
10.3 클라이언트에서 FTP 서버에 접속하자!
- 일반 계정으로 FTP 서버에 접속하기
- 익명 접속자가 FTP 서버에 접속하기

11. 아파치 웹 서버로 셋방살이 끝내기
11.1 아파치를 시동하기까지
- 웹 서버는 뭐고 아파치는 또 뭐냐?
- 아파치 패키지 설치하기
- 아파치 기본 설정하기
- 아파치 시동하기
11.2 아파치 웹 서버 파워 업!
- APM은 무엇인가?
- APM 다운로드하기
- 기존의 패키지 삭제
- MySQL 설치하기
- 아파치와 PHP 설치하기
- APM 연동 환경 설정과 시동 테스트하기
11.3 웹 서버에 제로보드 설치하기
- 제로보드 게시판
- 제로보드 다운받기
- 제로보드 설치하기
11.4 실전! 리눅스 서버에 내 홈페이지 마련하기
- 클라이언트에서 홈페이지 만들어 리눅스 서버에 올리기
11.5 유동 IP로 웹 서비스하기
- 유동 IP로 하는 웹 서비스
- 웹 서버의 기본 포트 번호 바꾸기
- DNS2Go로 다이나믹 DNS 등록하기
- DNS2Go 설정하기

12. 메일 박스 구축하기
12.1 메일 서버의 이해
- 메일 서버를 이해하자
- 나도 메일 서버가 있었으면 좋겠다?
12.2 메일 박스 설정하기
- IMAP 서버 설치하고 inetd 방식으로 운영하기
- 패치 메일 설정하기
12.3 메일 클라이언트 사용하기
- 메일을 주고받기 위한 아웃룩 설정
- 나에게로 쓰는 편지

13. 팩스 서버 구축하기
13.1 hylafax 설치하고 설정하기
- 팩스 서버에 대해서 알아보자
- hylafax 다운로드하고 설치하기
- 팩스 모뎀 설정하기
- faxsetup으로 팩스 서버 설정하기
13.2 팩스 클라이언트 설정하기
- 리눅스 서버에서 팩스를 주고받는 것이 불편한 이유
- 팩스 클라이언트 WHFC 설치하고 설정하기
- 팩스를 보내기 위한 PostScript 프린터 설정하기
13.3 WHFC를 이용해서 팩스를 주고받자
- WHFC로 클라이언트에서 팩스 받기
- WHFC로 클라이언트에서 이미지 파일 전송하기
- WHFC로 클라이언트에서 텍스트 전송하기

14. 배틀넷마저 내 손으로 운영하다!
14.1 배틀넷 설치하기
- 배틀넷이란 무엇인가?
- bnetd 다운받기
- bnetd 리눅스 서버에 설치하기
14.2 bnetd 설정하고 시동하기
- bnetd 설정하기
- bnetd 서버 시동하기
14.3 내가 구축한 프리 배틀넷에 접속하기
- 리눅스 서버에서의 접속
- 배틀넷에서 놀아보자!

15. 리눅스 서버를 위한 유용한 유틸리티
15.1 네서스로 네트워크 보안의 허점 찾아내기
- 네서스란 무엇인가?
- 네서스 다운받기
- 네서스 설치하기
- 네서스 사용자 등록하기
- 네서스 클라이언트 실행하기
15.2 리눅스 서버 모니터링하기
- 모니터링 프로그램들
15.3 복잡한 리눅스 서버 설정 한방에 끝내기
- linuxconf에 대하여
- linuxconf 설치하고 실행하기
- linuxconf의 메뉴 설명
15.4 크론으로 무인 서버 관리 시스템 만들기
- 작업 스케줄러 크론
- 입력된 스케줄 정보 이해하기
- 크론에 작업 스케줄 등록하기

16.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조언
16.1 시스템의 정보를 알아내라
- /proc 디렉토리
- 하드웨어의 정보
- 하드디스크의 정보
16.2 리눅스 서버의 로그 파일을 체크하라
- 로그 파일이란 무엇인가?
- 리눅스 서버에는 어떤 로그 파일들이 있는가?
- 로그를 관리하는 데몬 - syslogd
- 로그 파일 모니터하기
- 어떤 로그들을 의심해야 하는가?
16.3 시스템 보안! 내부의 적을 경계하라
- 진짜 적은 내부에 있다!
- 물리적 보안
- 침입한 흔적을 알아내라
- 일반 사용자의 권한 축소
- 파일의 허가권 점검하기
16.4 웹 서버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
- 대관절, 더 좋은 서버, 더 빠른 회선을 사용하라굽쇼?
- 웹 서버로만 사용하라
- 웹 서버로 서비스할 컨텐츠를 가볍게 만들어라
- 웹 서버의 설정 내용을 최적화하라
- 이도 저도 안 된다면 웹 호스팅을 의뢰하라

넷째마당. X, 실체를 드러내다

17. GUI로 변신, X!
17.1 X 윈도우 너는 누구냐?
- X 윈도우 시스템
- X 윈도우와의 첫 만남
17.2 그놈 참 잘∼ 생겼다!
- GNOME의 바탕 화면
- 윈도우의 작업 표시줄 - 패널
17.3 파일 관리자 노틸러스 다루기
- 노틸러스를 뜯어보자!
- 재미있는 노틸러스의 가장자리 창
- 노틸러스로 파일 관리하기
- 특정 디렉토리 설정하기
- 노틸러스 속성 편집하기
17.4 그놈을 내 맘대로!
- GNOME 환경 설정 도구
- 데스크탑 소개
- 겉모습 설정
- 소밀 창 관리자
- 주변장치에 대한 설정
- 멀티미디어 - 사운드 효과
- 문서 및 파일의 처리 - Document Handlers
- Session
- X 윈도우 꾸미기
- 최적화, 오 예스!
- 유용한 프로그램
- 애플릿

저자소개

신재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학교를 다니면서 전공은 제쳐두고 리눅스에 빠져 살다가 공부한 내용을 정리한다고 글을 쓰기 시작했다. 『Fedora 리눅스 네트워크 & 웹 서버 무작정 따라하기』(길벗), 『초보 시스템 관리자를 위한 크노픽스』(에이콘), 『우리 집 네트워크 입문&활용』(길벗)을 집필했으며 『리눅스 시스템 관리 완벽 가이드』(에이콘)를 번역했다. 지금은 폐간된 리눅스 전문지 ‘리눅스 매거진’의 객원 기자로 활동했고 데비안 기반 Knoppix의 한글화 프로젝트를 운영하기도 했다. 집필 활동 외에 틈틈이 교육용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