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예체능계열 > 체육
· ISBN : 9788975813870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10-02-22
책 소개
목차
문제 1. 체육원리의 의미
1. 체육원리의 학문적 성격
2. 체육원리의 구성과 연구 방법
참고문헌
문제 2. 현대 체육의 개념 변천
1. 신체를 위한 교육
2. 신체를 통한 교육
3. 독립된 학문으로서의 체육
4. Human Movement
5. 체육ㆍ체육학의 정체성 논의
참고문헌
문제 3. 체육의 정의와 목적, 목표
1. 체육의 정의
2. 체육의 목적, 목표
참고문헌
문제 4. 체육ㆍ스포츠의 가치
1. 운동의 생리적 가치
2. 운동의 심리적 가치
3. 스포츠의 사회적 가치 및 기능
참고문헌
문제 5. 건강추구의 의의와 체육학의 과제
1. 건강, Health의 어원
2. 건강의 의의
3. 건강추구의 주체
4. 체육교육 및 체육학의 향후 과제
참고문헌
문제 6. 스포츠론
1. 스포츠의 어원
2. Play, Game, Sport의 관계
3. 놀이, 스포츠의 분류와 체육과의 관계
4. 스포츠 휴머니티
5. 스포츠맨십
6. 스포츠 미학
참고문헌
문제 7. 스포츠와 법
1. 스포츠 법
2. 스포츠 범죄
3. 스포츠 사고의 유형과 대책
참고문헌
문제 8. 체육의 철학적 이해
1. 개요
2. 철학의 의미
3. 철학의 대상과 문제
4. 체육ㆍ스포츠에서 철학은 왜?
5. 주요 철학사조와 체육
6. 철학의 현실참여와 스포츠사회철학
참고문헌
문제 9. 인간주의 체육ㆍ스포츠
1. 서론
2. 현대 휴머니즘에 입각한 체육 및 스포츠의 본질
3. 현대 휴머니즘에 입각한 체육 및 스포츠의 목표
4.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문제 10. 체육학의 제 영역
1. 운동생리학
2. 생체역학
3. 스포츠심리학
4. Motor Learning, Control, Development
5. 스포츠사회학
6. 스포츠 마케팅
참고문헌
문제 11. 미래 스포츠의 전망
1. 미래 사회의 전망
2. 미래 스포츠의 형태
3. 미래 스포츠의 전망
4. 미래 스포츠의 연구 과제
5. 스포츠의 본질과 구조의 뉴 패러다임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우리가 전공하고 있는 체육원리는 어떻게 되어 있는가?
체육 현상에 대한 이론 구성에 여러 과학이 관계하고 있다는 사실은 역사적으로 증명되고 있다. 체육이 원래 과학의 영역이라기보다는 과학의 대상으로서 관찰되어야 하는 현실이고 인간을 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체육이론은 자연과학의 환원적, 화합적 과정이라고 하는 세로의 선과 인간에 관한 모든 학문의 영역 분담이라고 하는 가로의 선이 교차하는 십자로에 위치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위치는 주체성을 잃기 쉬운 위험한 십자로이다. 사방으로부터 여러 학문이라는 자동차에 실린 지식이 다가온다. 혼란을 피하기 위해서는 교통 정리가 필요하다.
십자로에 진입한 자동차는 지금까지의 관습상 ‘체육’이라고 하는 접두어를 달게끔 되어 있다. 체육철학, 체육사, 운동생리학, 생체역학, 체육심리학, 체육사회학, 체육교육학, 체육행정학 등의 학문이 이 십자로에 진입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이어질 전망이다. 또한 체육이라는 접두어 외에 ‘신체’ ‘운동’ ‘스포츠’ ‘체력’이라고 하는 접두어도 사용하게끔 되어 이 십자로는 입체적 교차의 모양을 이루고 있다. 하층의 교차를 신체, 가운데 층을 운동, 상층을 스포츠라고 하여 이 교차점 전체를 체육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교차점 속에는 여러 가지 지식이 산더미처럼 쌓여 있어 어수선하다. 이와 같이 혼란스러운 십자로를 정리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