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일어일문학
· ISBN : 9788975815911
· 쪽수 : 300쪽
· 출판일 : 2019-03-05
책 소개
목차
제1부 문법
제1장 조사
1. 「が」 = 이 / 가 (주격조사), 〜만 (접속조사)
2. 「は」 = 은 / 는
3. 주제를 나타내는 여러 가지 표현
4. 「の」 = 의 / 의 것 / 인
5. 「に」 = 에 / 에게 / 로부터
6. 「 で 」 = 〜 (안) 에 / 에서 / (으) 로
7. 「だけ」 와 「ばかり」
8. 부조사 (副助詞) 「も」 「まで」 「さえ」 「こそ」
제2장 품사 전환 (명사화와 접속사)
1. 명사화
2. 접속사
제3장 형식명사
1. 「の」
2. 「もの」
3. 「こと」
4. 「の」 vs 「もの」 vs 「こと」
5. 「ところ」
6. 「わけ」
7. 요약
제4장 의미영역 (지시어와 동사)
1. 지시어
2. 동사
제5장 시제 (tense)
1. 「る」 형 : 비과거 (현재, 미래, 시간 초월)
2. 「た」 형
3. 「る」 vs 「た」
4. 명령표현
제6장 수동 (자발 / 가능 / 존경)·사역표현
1. 「2자 한자어 + する / される」
2. 「〜 (ら) れる」 : 수동, 자발, 가능, 존경
3. 「〜 (さ) せる」 사역
4. 사역수동 「〜 (さ) せられる」 : (억지로)~하게 되다 / 당하다
제7장 모달리티 표현
1. 한국어와 1 : 1 대응이 불가능한 모달리티 표현
2. 한국어와 1 : 1 대응되는 모달리티 표현
3. 「はずだ」 vs 「に 違 いない」
제8장 가정표현
1. 「と」 「ば」 「たら」 「なら」
2. 가정표현 비교
제2부 어휘
제9장 한자어 / 외래어, 관용표현, 의성어 / 의태어
1. 한자어와 외래어 (カタカナ표기)
2. 관용표현
3. 의성어와 의태어
제3부 운용
제10장 수수 (授受) 표현
1. 사물
2. 행위
제11장 경어 및 호칭 (지칭)
1. 경어
2. 호칭 및 지칭
제12장 종조사
1. 「ね」
2. 「よ」
3. 「な (あ)」
4. 「さ」
5. 「の」
6. 「わ」
7. 「ぞ」
8. 「ぜ」
9. 「もの (もん)」
10. 「かしら」
11. 「や」
12. 「とも」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일본어를 처음 배우는 사람들은 한국어와 비슷한 문법체계 때문에 일본어가 쉽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필자의 경험에 비추어 보면, 일본어 초급 문법의 대표적인 고비인 동사 변화를 배우기 시작하면서 일본어가 어렵게 느껴지고 마침내 일본어를 포기하기에 이르는 학습자들이 많아진다. 모든 외국어가 그렇듯이 일본어 역시 배우면 배울수록 어렵게 느껴진다는 점에서는 예외가 아닌 것 같다.
비록 동사 변화라는 초급의 거대한 산을 넘었다 하더라도, 한자(漢字)의 음이 대부분 하나 뿐인 한국어와 달리 다양하게 읽히게 되는 한자, 장유유서의 전통을 갖고 나이에 따라 절대적인 존칭이 사용되는 한국어에 비해 상대적으로 사용되는 존대표현, 한국어에 비해 자주 사용되는 수동 표현 등 갈수록 학습자의 학습의욕을 저하시키는 장애물들이 등장한다. 결국 중급으로 올라갈 엄두도 못 내고 계속 초급에서 맴돌다 지쳐버리는 학습자가 속출하게 된다.
그러나 다른 외국어와 달리 일본어는 중급, 고급으로 갈수록 한국어와 유사한 문형 표현과 관용적 표현 때문에 깜짝깜짝 놀라는 경우가 많아진다. 예를 들면, “왔다리 갔다리 한다”라는 표현과 유사한 “?た り?たりする”가 있는가 하면, “풍전등화(風前の燈火)”와 같이 유사한 4자 성어를 사용하고, 매우 가까운 거리를 나타내는 “코 앞”이라는 의미의 “目(め)と鼻(はな)の先(さき)”라는 표현 등을 접하게 된다. 이러한 유사한 표현에 대해 굳이 시간을 할애해 학습하는 것은 시간 낭비일 뿐이다.
따라서 한국어를 모어로 사용하는 일본어 학습자가 전략적이며 효율적인 학습 효과를 얻고자 한다면, 한국어에 대해 갖고 있는 기존의 모든 언어적 지식을 충분히 활용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와는 다른 일본어의 언어적 특성과 체계를 정확히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 책이 그 해답을 제시해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