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언어학
· ISBN : 9788975814495
· 쪽수 : 410쪽
· 출판일 : 2012-08-20
책 소개
목차
제1장 인지언어학의 패러다임
1.1 인지언어학의 패러다임
1.2 인지과정의 창발성(創?性)
1.3 인지언어학 분석의 경험적 기반
1.4 기호체계로서의 문법
1.5 이론언어학과 과학적 타당성의 기준
제2장 일상언어의 게슈탈트성
2.1 게슈탈트와 인지의 주관성
2.2 게슈탈트 효과와 지각(知覺) 메커니즘
2.3 그림·바탕의 분화와 반전
2.4 일상언어의 게슈탈트성
2.5 게슈탈트적 언어관
제3장 기호적 문법관과 사태인지 모델
3.1 일상언어의 기호계(記號系)와 인지능력
3.2 인지문법의 기본적 틀
3.3 기본문법 카테고리의 인지적 규정
3.4 인지문법의 기호적 문법관
3.5 언어구조의 게슈탈트적 합성
3.6 구문 스키마의 패턴
3.7 사태 인지와 구문 네트워크 모델
3.8 타동성·비타동성의 사태 인지와 구문
3.9 기호계(記號系)의 배경화와 사태 인지
3.10 인지도식과 기술·설명의 경험적 기반
제4장 구문 확장의 인지적 기반
4.1 인지능력과 구문 확장
4.2 게슈탈트 지각과 그림·바탕의 분화/반전
4.3 스캐닝과 구문의 분포 관계
4.4 인지구문과 시각의 쌍방향성
4.5 이미지 스키마와 구문 확장
4.6 이미지 스키마의 인지적 변용
4.7 인지과정과 이미지 스키마 변용
4.8 비유와 구문 확장 네트워크
4.9 생태적 문법관과 구문 네트워크
제5장 말의 창조성과 구문확장
5.1 규칙의 해체와 말의 창조성
5.2 기본적 인지능력
5.3 카테고리화 능력의 다양한 양상
5.4 복합 네트워크 모델
5.5 용법기반 모델의 어프로치
5.6 확장과 카테고리화의 과정
5.7 용법기반 모델에서 본 확장 사례의 다양한 양상
5.8 융합 네트워크 모델
5.9 구문의 실재성과 항(項)구조 규정의 문제점
5.10 기본구문 패턴과 융합적 확장
5.11 게슈탈트적 시점과 숙어의 재규정
5.12 숙어의 의미와 통어조작의 상호관계
5.13 숙어와 글자 그대로의 의미의 상호작용
5.14 용법기반 모델과 말의 창조성
5.15 구문의 기생적(寄生的) 확장
5.16 구문의 수사적 확장
5.17 구조적 의미와 구문의 통어적 패턴
5.18 말 유희 및 확장 표현의 창조성
5.19 일상언어의 창조성
제6장 어용론에서 본 구문현상의 다양한 양상
6.1 어용론과 구문연구
6.2 발화행위와 구문
6.3 인접한 짝(隣接?)을 이룬 문장과 발화의 상황 의존성
6.4 어용론, 수사학에서 본 인접한 짝을 이룬 문장의 연결성
6.5 인접한 짝을 이룬 문장 연결의 단락성(短絡性)
6.6 글로벌 구문과 인접한 짝을 이룬 문장
6.7 화법과 구문의 인용 메커니즘
6.8 어용론적 제약과 구문현상
6.9 관용적 구문의 다양한 양상
제7장 인지언어학의 문법 연구와 금후 전망
7.1 인지언어학의 구문연구
7.2 용법기반 모델과 구문 습득
7.3 기호적 문법관과 문법의 인지적 제약
7.4 동적 네트워크와 생태적 문법관
7.5 구문 연구의 금후 전망
역자 후기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