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예체능계열 > 체육
· ISBN : 9788975995767
· 쪽수 : 269쪽
· 출판일 : 2016-04-27
책 소개
목차
01 체육의 처음과 그 의미 9
chapter1. 체육의 처음 11
chapter2. 체육의 개념: 체육을 말하는 다양한 용어들 41
02 철학으로 보는 체육 53
chapter3. 철학의 눈으로 체육을 보다 55
chapter4. 현대철학으로 본 체육 87
chapter5. 학문으로써의 체육 99
03 한국의 체육문화 107
chapter6. 생활 속의 체육문화 109
chapter7. 체육의 꽃, 전문체육 139
chapter8. 교육으로써의 체육 153
chapter9. 체육정책의 이해 183
chapter10. 미래의 체육 205
04 체육학 연구 217
chapter11. 체육학 연구법: 체육을 보는 방법 219
chapter12. 체육의 자연과학적 접근 243
chapter13. 체육의 인문.사회과학적 접근 253
저자소개
책속에서
학교체육의 시작이 체조를 위주로 출발하면서, 체조는 오늘날까지 체육교육의 필수 내용으로 자리 잡고 있다. 체조는 구츠무츠가 추구한 바대로 신체의 조화로운 발달을 목표로 했지만, 국민의 신체 및 체력단련 수단으로 강조해온 것이 특징이다.
우리나라의 체육교육 역시 출발점에서부터 이런 영향을 받았다, 대한제국 서기 고종황제는 학생을 위한 체조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학교에서 체조를 가르칠 것을 명했다. 이때 체조교육은 학무아문이 아닌 군부軍部(현재의 국방부와 유사)에서 관장하게 했는데, 이런 조치는 학교 체조과목에서 병영식 체조와 검술 등 군인체조를 교육하는 계기가 되었다. 1895년 고종이 공포한 교육입국조서에 따른 신학제는 사범학교, 소학교에서 체조과목을 가르치도록 명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