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청춘의 철학

청춘의 철학

서영식 (지은이)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
1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청춘의 철학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청춘의 철학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철학
· ISBN : 9788975995835
· 쪽수 : 431쪽
· 출판일 : 2016-08-31

책 소개

철학의 의미와 가치를 전달하는 청춘들의 철학서. 이 책은 철학은 나와 무관하다고 어렵기만 할 뿐이라는 기존의 선입견을 극복할 수 있도록 철학이 일상생활 속의 다양한 문제들과 어떤 연관 속에 있는지 논하고 있다.

목차

PART 1. 현실 속의 철학
제1강_왜 철학을 공부하는가?_10
제2강_인간이란 무엇인가?_18
제3강_사랑은 어디에서 오는가?_32
제4강_무엇을 알 수 있는가?_41
제5강_왜 윤리적으로 행동해야 하는가?_52
제6강_신은 존재하는가?_62
제7강_악은 피할 수 없는가?_69
제8강_악법도 법인가?_77
제9강_왜 법의 지배가 필요한가?_84
제10강_개인과 국가 사이의 조화는 가능한가?_130
제11강_정의로운 전쟁은 가능한가?_142
제12강_생명에 대한 윤리적 접근은 필요한가?_163
제13강_생명은 어떻게 진화하는가?_175
제14강_가상공간 속의 주체는 누구인가?_191
제15강_예술이란 무엇인가?_203

PART 2. 역사 속의 철학
제1강_고대철학Ⅰ-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_222
제2강_고대철학Ⅱ-소크라테스_229
제3강_고대철학Ⅲ-플라톤_236
제4강_고대철학Ⅳ-아리스토텔레스_259
제5강_고대철학Ⅴ-헬레니즘 철학_274
제6강_중세철학Ⅰ-헬레니즘 vs. 헤브라이즘_283
제7강_중세철학Ⅱ-아우구스티누스_289
제8강_중세철학Ⅲ-안셀무스_298
제9강_중세철학Ⅳ-토마스 아퀴나스_306
제10강_르네상스 철학Ⅰ-기원과 전개_319
제11강_르네상스 철학Ⅱ-마키아벨리_331
제12강_르네상스 철학Ⅲ-베이컨_341
제13강_근세철학Ⅰ-대륙 합리론_356
제14강_근세철학Ⅱ-영국 경험론_359
제15강_근세철학Ⅲ-칸트_369
제16강_근세철학Ⅳ-근대의 윤리논쟁 : 의무주의 vs. 공리주의_379
제17강_현대철학Ⅰ-근대와 현대의 경계 : 헤겔과 니체_386
제18강_현대철학Ⅱ-현대의 윤리적 담론_397
제19강_현대철학Ⅲ-현대의 다양한 사조들_405

저자소개

서영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충남대학교 지식융합학부 교수 충남대학교(철학)와 한국방송통신대학교(법학)를 졸업하였으며, 스위스 루체른대학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충남대에서 지식융합학부장과 리더스피릿연구소장을 맡고 있다. 리더십과 리더스피릿을 테마로 한 근래의 저서로는 『CNU와 충청학의 선구자들』(2025, 공저), 『인문학 리더십 강의 I』(2024, 공저), 『리더와 리더스피릿』(2023), 『역사와 고전의 창으로 본 21세기 공공리더십』(2023, 공저), 『70년 CNU의 리더스피릿』(2022, 공저), 『공공성과 리더스피릿』(2022, 공저), 『고전의 창으로 본 리더스피릿』(2021, 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모든 시기와 모든 세대, 그리고 모든 사유하는 개인은 자신의 문제에 대해서 스스로 해답을 찾아야 한다!

철학은 문학이나 예술과 같이 표면적인 현상의 배후에 숨어 있으며 세속적인 인식을 초월하는 실재에 대한 포착을 추구하지만, 다른 한편 자신의 사유내용을 철저한 근거제시를 통해서 객관적·보편적으로 정당화하는 작업에 가치를 둔다.
철학은 종교와 마찬가지로 자아, 인생, 죽음 그리고 세계의 문제들을 총체적인 시각에서 다루지만, 이 문제들에 대해 어떤 궁극적인 해답을 제시하기 보다는, 오히려 냉철하고 이성적인 태도로 물음에 접근함으로써 인간의 사유지평을 근원적인 차원에서 확장시키고자 한다.
과학이 미시적인 수준에서 자연을 관찰하고 정리하여 우리에게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한다면, 철학은 거시적인 관점에서 그와 같은 정보가 의미하는 바를 규명하거나, 그것이 우리 인간에게 도대체 어떤 가치를 내포하고 있는지 밝히는 역할을 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