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예체능계열 > 미술/디자인/사진
· ISBN : 9788975996658
· 쪽수 : 121쪽
· 출판일 : 2018-02-28
책 소개
목차
C h a p t e r 0 1 색 채 의 기 초
1. 빛과 색 010 2. 색채지각 012 3. 색의 분류 018 4. 색의 3속성 020 5. 색의 혼색 022
6. 색의 대비 효과 026
C h a p t e r 0 2 색 채 체 계 론
1. 먼셀표색계 Munsell color system 042 2. 오스트왈드 표색계 Ostwald Color System 048 3. NCS Natural Color System 053 4. PCCS 표색계 Practical Color Co-ordinate System 056 5. 색명법 059
C h a p t e r 0 3 색 채 관 리
1. 국제조명위원회 Commission Internationale de I'Eclarage: CIE System 072 2. 컴퓨터 자동배색 Computer Color Matching 075 3. 혼색계와 현색계 077 4. 색채오차 보정 078
C h a p t e r 0 4 색 채 마 케 팅
1. 색채 마케팅 082 2. 안전과 색채 087 3. 색채와 계절 087
C h a p t e r 0 5 색 채 디 자 인
1. 디자인의 개요 092 2. 디자인의 이해 093 3. 디자인 영역 094 4. 색채배색 101 5. 색채 이미지 109 6. 디자인사 113
* 참고문헌 120
책속에서
[저자서문]
2012년에 <색채 이론과 실기> 초판을 낸 이후 6년이 흘렀다. 이 책의 특징은 이론을 공부하고 이에 맞추어 실기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점이다. 실기에서는 색에 대한 접근을 쉽게 할 수 있도록 전문가용 색종이를 활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동안 전문가용 색종이의 색 체계에 일부 변화가 있었고 이러한 변화에 맞추어 색종이 번호를 수정할 필요가 있었다. 이밖에도 초판에서 부족했던 그림의 해상도를 높였고 미진한 내용에 대한 보완 작업이 이루어졌다.
색채는 예술, 과학, 생활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한 영역에서 폭넓은 학문적 이해가 요구되는 학문이다. 인간은 색을 감지하고 식별할 수 있는 시각 능력과 지각된 색에 연상과 상징을 부여하고 이를 느끼고 감동한다.
일상생활에서부터 공동생활에 이르기까지 어떻게 하면 자신의 색채이미지를 신선하고 개성 있게 표현할 수 있을까? 그것은 현대 생활에 접하는 비즈니스맨으로서 중요한 과제가 아닐 수 없다.
젊은 세대들에게는 대학에서 특수한 전공 분야의 깊은 지식도 필요하겠지만 한편으로는 문화인으로서 생활에 필요한 색채에 대한 상식을 함께 이해한다는 것 또한 전공 분야 못지않게 중요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색채디자인 통합 프로세스를 습득하여 색채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색채 전문가로 색채관련 산업에서 일하는 직업을 가진 사람, 즉「Color-coordinator」로 진출하는 것이 국가적으로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특히, 패션업체들이 브랜드 차별화에 주력하면서 스카우트 1순위로 부상했고 소재디자이너나 모델리스트들의 수요도 늘어나고 있다.
이 책은 색채디자인의 기본 상식을 바탕으로 하여 여러 분야(시각디자인, 패션디자인, 미용디자인, 건축디자인, 멀티미디어디자인 등)의 디자인 실무에 응용하고 스스로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의 향상시키고 컬러리스트 국가자격을 취득할 수 있도록 하였다. 특히, 색채 전문 교육을 위한 대학 전문 교재 활용 뿐 아니라 기초적인 색채이론을 밑바탕으로 한 색채 실기로 전공에 관련된 대학 교재로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젊은이들에게는 사회생활에서나 대인관계에서 자신의 이미지 관리에 큰 도움이될 것으로 믿는다.
이번 개정판을 통해서 더 세분화된 색 감각을 느끼고 그 감각을 내 것으로 만들어 색에 대한 감성을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라며, 더불어 색을 통해 아름다운 세상을 표현하는데 일조할 수 있는 인재로 성장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끝으로 이 개정판이 나올 수 있도록 도움을 주신 충남대학교 의류학과 소재기획실 연구원들과 충남대학교출판문화원에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NCS는 먼셀과 같이 색을 표시하는데 가장 많이 사용되는 표색계 중의 하나로 4원색 (또는 보색) 이론을 기초로 하고 있다.
NCS는 1964년부터 스웨덴 스칸디나비아 색채연구소의 Hard와 Sivik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1982년 스웨덴 국가 표준으로 채택되었고 최근에 유럽을 중심으로 하여 점차 그 사용자가 늘고 있다.
NCS는 비교적 새로운 표색계이지만 그 기원은 Hering 및 그 이전의 보색 (또는 4원색) 이론 옹호론자들의 이론에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그 원형은 오스트발트 Ostwald 표색계이다.
스웨덴의 표준 색체계로 여섯 가지의 심리원색인 백색 W , 흑색 B , 노랑 Y , 빨강 R , 파랑 B , 초록 G 의 구성비로 색을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