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가톨릭 > 가톨릭 성서 > 성서의 이해
· ISBN : 9788976354570
· 쪽수 : 204쪽
· 출판일 : 2025-09-09
책 소개
목차
서문 _004
여는 말 _008
추천의 말 _022
한국어판 여는 말 _024
일러두기 _027
성경과 정의
1. 입문 _033
2. 성경, 문화, 정의 _036
3. 정의를 위하여 ‘본문과 함께’ 읽기 _041
3.1. 히브리 성경과 오경에 나오는 정의: 개관 _042
3.2. ‘옳고 정의로운 것을 행하라’: 정의와 예언서 _048
3.2.1. “공정을 추구하고, 억압받는 이를 보살펴라”: 이사야서 _048
3.2.2. “공정과 정의를 실천하고”: 예레미야서 _053
3.2.3. “폭력과 억압을 치워 버리고, 공정과 정의를 실천하여라”: 에제키엘서 _055
3.2.4. “다만 공정을 물처럼 흐르게 하고”: 소예언서 _057
3.3. “가난한 이에게 귀를 기울이고”: 정의와 지혜문학 _065
3.4. 복음 선포의 본질적 요소로서의 정의: 루카복음과 마태오복음 _069
4. 21세기 세계화된 세상에서 정의를 찾아 성경 읽기: 새로운 관점들 _075
5. 정의를 위하여 ‘결을 거슬러’ 성경 읽기 _081
5.1. 생태적 정의Ecological Justice _083
5.2. 젠더 정의Gender Justice _090
5.3. 재생산 정의Reproductive Justice _100
5.4. 인종 정의Racial Justice _107
5.5. 계급과 경제 정의Class and Economic Justice _113
5.6. 장애에 관련된 정의Disability Justice _119
5.7. 지정학적 정의Geopolitical Justice _125
5.8. 연령 차별에 관련한 정의Ageism Justice _128
5.9. 종교 간 정의Interreligious Justice _133
6. 정의의 하느님을 탈식민화하기 _137
7. 결론 _141
주 _143
참고 문헌 _146
성경의 문학비평
1. 입문 _151
2. 문학적 접근법들 _155
3. 문학적 비평의 장단점 _191
참고 문헌 _198
옮긴이의 말 _199
책속에서
의미는 어떤 렌즈를 통해 해석되고, 누구의 의미가 ‘올바르고’ ‘타당한’ 것으로 여겨지는가? 독자들은 성경을 통해 정의에 대해 무엇을 배우는가? 현재의 세계화된 세상의 맥락에서 성경 본문을 읽을 때에 전면으로 드러나는 불의와 억압은 어떤 면모를 지니고 있는가? 권력을 가진
자와 가지지 못한 자는 누구인가? 누가 발언권을 지니고, 누가 침묵하며, 누가 지워지는가? 우리는 본문을 변방인의 관점으로, 변방인과 함께 읽고 있는가, 아니면 특권을 누리는 자리에서 읽고 있는가? 정의의 관점에서 성경을 읽는 것이 오늘날 세상에 필요한 정의를 위한 활
동을 하도록 어떻게 우리를 이끄는가? 이러한 질문들은 정의와 성경에 관한 주제를 다루는 이 글의 중요한 길잡이가 될 것이다.
19세기 이후로, 성서학자들은 역사비평적 접근을 성경 본문을 소화하는 중심 접근법으로 삼아 왔다. 이 접근법은 해석자 자신이 처한 사회적 상황이나 그들의 해석 및 편견들을 고려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독자와 본문 사이에 단절이 생길 수 있으며 현대의 세계화된 세상의 관점에서 성경을 읽는 데 부정적 영향을 줄 수도 있다.
이 글은 현대의 학자들과 해석학적 접근법들을 탐구하면서, 시대의 징표 중 몇몇을 강조하고, 정의를 지향하며 성경을 어떻게 접해야 하는지에 관한 질문들을 제기하였다. 이를 통해 다양한 사회적 장소와 신앙과 비신앙적 관점을 포함하여 여러 관점을 가진 전 세계의 공동체들이 성경을 읽고, 듣고, 해석하는 방식에 대하여 우리 모두가 다시 한번 생각해 보자고 초대한다. 성경은 오늘날 세계에서 펼쳐지는 하느님의 신비와 정의의 실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우리가 성경과 삶의 텍스트를 ‘결을 거슬러’, 텍스트 앞의 세계에서, 그리고 주변부로부터/주변부와 함께, 비판적이고 맥락적으로 읽을 때, 온 세상 피조물만이 아니라 하느님을 위해서도 정의는 이루어질 것이다.



















